"의료·제약 AI 활용 본격화…적절한 표준·기준 정립 필요"

표준 정립, 규제과학 관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꼽혀
"SW 업데이트 후 임의 배포…규제기관은 다르게 보여"
"의약품 개발 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평가 대비해야"
"의약품 개발뿐 아니라 AI 쓰는 제조 공정도 마찬가지"
"기술 꾸준히 발전…유연하고 포괄적인 규제 정립 필요"

문근영 기자 (mgy@medipana.com)2024-12-14 05:58

(사진 왼쪽부터) 이형기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교수, 표준희 한국제약바이오협회 AI신약융합연구원 부원장, 정규환 삼성융합의과학원 교수. 사진=문근영 기자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전문가 사이에서 규제기관 역할 중요성을 강조하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의약품, 의료기기 등 의료제품 개발 시 인공지능(AI) 활용이 증가하고 있기에, 상황에 맞는 적합한 규제가 필요해서다.

이형기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교수는 13일 한국FDC규제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의료제품 개발 시 인공지능을 활용할 때) 규제과학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건 표준을 정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이 교수가 표준 정립을 언급한 이유는 의료제품 성능이 중요하지만, 안전성을 입증하지 않은 상태에서 업데이트(Update)나 업그레이드(Upgrade) 후 대중이 사용하는 건 문제라고 볼 수 있어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사례는 해당 내용을 설명한다. 이 교수는 "흔히 엔지니어링을 하시는 분들은 얼마든지 소프트웨어(SW) 버전을 바꾸는 게 가능하나, 규제기관 관점에선 전혀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실시간은 아니지만, 애플 워치처럼 신체 변화를 알려주는 메디컬 디바이스(Medical device)에 내재된 소프트웨어를 회사가 임의로 허가받은 것과 다르게 업그레이드하고 그냥 배포했는데, FDA가 경고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엔지니어가 볼 땐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는 일이지만, FDA 관점에선 아무리 기술적, 기계적으로 업데이트가 된 것이라도 실제 성능,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하는 걸 문제라고 본 것"이라고 덧붙였다.

표준희 한국제약바이오협회 AI신약융합연구원 부원장은 같은 장소에서 표준 정립이 의료제품 평가 시 중요하다는 데 동의하며, 의약품 개발 시 인공지능 활용을 규제기관이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 대비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발표자로 나선 표 부원장은 "기업에서 개발자가 독성을 예측하거나 상호작용을 개선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실험을 그런 기술로 대체했을 때 평가하는 게 굉장히 어렵다"며 평가 기준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미국 FDA는 의약품을 개발할 때 인공지능으로 일부 대체한 경우, 해당 모델과 데이터까지 모두 받아서 한 번 더 검증을 거친다"면서 "심지어 모델 등을 제출한 업체에 개선안까지 코멘트한다"고 설명했다.

표 부원장은 의약품 개발뿐 아니라 제조 공정도 마찬가지라고 덧붙였다. 이날 표 부원장은 "의약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합성 자동화, 공정 연속화 등 다양한 AI 기술이 본격적으로 들어오는 중"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그런 부분과 관련해 품질 관리 측면에서 과거와 달리 어떤 기준을 마련할 것인지 고민이 필요한 것 같다"고 제언했다.

정규환 삼성융합의과학원 교수는 두 발표자 발언과 비슷한 의견이라면서, "규제기관이 너무 많은 우려를 갖고 아주 타이트한 규제를 만들기보다 유연하고 포괄적인 규제를 정립해야 한다"고 주장을 펼쳤다.

AI 의료기기 개발 관련 내용을 발표한 정 교수는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중 생성형 AI를 활용한 제품이 기존 의료기기와 다른 게 있다고 설명하며, 안전성 측면에서 우려가 있는 건 사실이라고 운을 뗐다.

정 교수는 "어차피 똑같은 인공지능이니까 비슷한 거 아니냐고 볼 수 있겠지만 아웃풋이 비정형이기 때문에, 안전성 측면에서 오용할 여지가 있고, 유효성 평가도 상당히 어려운 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특정 프로덕트(Product)만으로 평가하기엔 기술이 꾸준히 발전할 것이기에 어려울 것이라고 본다"면서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 좀 더 유연하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결과물에 대해서만 평가하는 게 아니라, 미국 FDA처럼 미리 가정하고 개발을 비롯해 검증 등 전체적인 절차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인 관심을 두면서 관리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보기

식약처, 'AI 의료기기 임상 가이드라인' 공동 개발

식약처, 'AI 의료기기 임상 가이드라인' 공동 개발

식품의약품안전처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싱가포르 보건과학청(HSA)과 '인공지능 의료기기 임상시험 가이드라인'을 공동 개발해 11일 공개했다. 같은 날 각 기관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한 이번 가이드라인은 인공지능(AI) 중 기계학습 기반 의료기기 임상시험 수행에 관한 지침이다. 식약처는 ▲임상시험 설계 ▲환자 및 시험 데이터 셋 선택 ▲임상 참조 표준 선택 및 임상데이터 해석 ▲1차 유효성 평가 변수 및 결과분석에 대한 일반 원칙 등 내용이 가이드라인에 담겼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한국과 싱가포르에서 수행하는 인공지능 의료기기 임상

"신약개발에 '인공지능' 활용 시, 전략 필요하다"

"신약개발에 '인공지능' 활용 시, 전략 필요하다"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인공지능(AI) 기술 발전 속도가 증가하는 가운데, AI를 신약 개발에 사용하는 과정에서 전략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선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31일 '제7회 AI 파마 코리아 컨퍼런스'에서 미국이 주도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능가하는 연구도 바람직하나, 현재 사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신약 개발에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첫 번째 전략으로 국내 인적자원이 AI를 활용하는 게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한국에 실력을 갖춘 화학자, 생물학자가 존재하기에, 이같은 강점을 살려 새로

심전도 노화 분석 인공지능(AI) 딥러닝 모델 개발

심전도 노화 분석 인공지능(AI) 딥러닝 모델 개발

AI가 분석한 심전도 노화 정도를 바탕으로 심방세동 발병 위험성 예측이 가능해졌다. 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 심장내과 정보영‧유희태 교수, 조승훈 강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유승찬 교수, 대학원 의생명시스템정보학과 엄수정 석사과정 졸업생은 심방세동 위험성 및 조기 발병률을 예측하기 위한 심전도 노화 분석 인공지능 딥러닝 모델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심장학 분야 권위있는 학술지인 유럽심장학회지(European Heart Journal, IF 39.3)에 게재됐다. 심장 박동을 전기 신호로 기록하

인공지능 기반 관상동맥 중재시술 효과, 세계 첫 입증

인공지능이 분석한 최적 스텐트 크기를 기반으로 한 관상동맥 중재시술 효과가 입증됐다. 5일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심장내과 안정민 교수팀이 인공지능이 분석한 최적의 스텐트 크기를 기반으로 관상동맥 중재시술을 시행한 결과, 혈관 내부를 직접 들여다보는 고해상도 영상기구를 이용한 관상동맥 중재시술만큼 좁아졌던 혈관이 충분하게 확장돼 안전하게 치료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를 세계 처음으로 최근 발표했다. 심장을 원인으로 한 사망·심근경색·혈전증 등 주요 임상사건 발생률도 0%였다.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

인공지능, 병원경영·임상실험·수술영상분석 등 곳곳서 쓰인다

인공지능, 병원경영·임상실험·수술영상분석 등 곳곳서 쓰인다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인공지능(AI)과 자동화기술이 병원 경영 분야는 물론 임상실험나 수술영상분석 등 다양한 의료 분야에 활용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Gramner사의 Anand S CEO는 2일 대한병원협회 주최로 열린 '2024 국제병원 및 헬스테크박람회(KHF 2024)'에서 병원 경영의 재구상 : AI가 주도하는 헬스케어 운영의 미래'를 주제로 한 기조강연을 통해 이 같은 의견을 내놨다. Anand S CEO는 "의료 분야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통해 대규모 언어모델(LLM : Large Langu

식약처, ‘의약품 개발 시 인공지능 활용 안내서’ 발간

식약처, ‘의약품 개발 시 인공지능 활용 안내서’ 발간

‘의약품 개발 시 인공지능(AI) 활용 안내서’가 발간됐다. 28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의약품 개발 시 인공지능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기술적·윤리적 측면에서 AI 기술 적용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담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안내서는 후보물질 발굴, 비임상시험, 임상시험 등 의약품 개발 단계별 AI 활용이 가능한 범위(스크리닝, 작용기전 탐색, 대상자 선정 등)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식약처는 의약품 개발 시 AI를 활용하면, 시간‧비용 및 효율성을 개선하고 비임상시험이나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