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코로나 입원환자가 한 달 새 9.5배 이상 증가하는 속도를 보이면서 정부는 고위험군에 대한 관리체계를 강화하고, 경증 코로나환자는 동네 병·의원을 이용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의료계는 현재도 입원실이 모자라 대기하는 상황에서 입원실 수급대책, 의료인력 확보, 예산 투입 등 구체적 방안이 없다는 비판이다.
12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코로나 입원환자수는 2월 이후 지속 감소했으나 6월을 기점으로 증가세를 나타내며, 지난달 첫 주 91명에서 이달 첫 주에는 861명으로, 한 달 새 9.5배 로 급증했다. 연령별로는 65세 이상이 전체 입원환자 수(1만2407명)의 65.2%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에 65세 이상·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은 중증화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적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경증 코로나환자는 동네 병·의원을 이용하도록 해 응급실 과밀화를 방지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응급실 방문 코로나 환자 중 중등증 이하 환자가 다수(93.8%)로, 기존 의료 대응체계로도 대응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정부 시각과 의료계 시각은 차이를 나타낸다. 특히 응급실 의료진들은 현재의 코로나확산 상황을 심각하게 진단하고 구체적인 중증 환자 대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지난 코로나 때처럼 사망자까지도 나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12일 대한응급의학의사회(KEMA) 이형민 회장은 메디파나뉴스와의 통화에서 "지금의 확산세를 보면 코로나 재확산 피크는 추석 때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면서 중증환자 대응체계를 문제로 꼽았다. 중증환자를 제대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상급종합병원의 중환자실을 포함해서 중증환자 대비 태세가 갖춰져 있어야 하는데 지금은 입원시킬 곳이 없다는 지적이다.
이형민 회장은 "현장에서 보기에 많이 심각하다. 어제(11일)도 주말 동안 근무했었는데 발열 환자들이 입원도 못하고 밖에서 몇 시간씩 대기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지난 코로나 때와 똑 같다. 중증환자들을 제대로 관리할 수 없다면 사망자가 발생할 수도 있다"며 "전공의 없이 소수의 의료진이 기존 응급실 업무에 최근 백일해,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수족구 등 감염병도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코로나 환자까지 봐야 해서 인력도 부족하고 업무부담도 크다"고 했다.
이어 "지난 코로나 기간 동안 계속 정부에 얘기해왔다. 준비가 안 된 상태에서 다음 번에 재확산되면 분명히 큰 고난을 겪게 될 것이라고 경고해왔다. 그런데 정부는 감염병 대응을 위한 시설 증설 등 인프라 준비를 하나도 하지 않았다. 준비 없이 또 감염병 확산 상황을 맞게 되면서 상황은 더 심각해질 것"으로 예측했다.
감염병 확산에 대응한 인프라가 없는 상황의 차선책으로 이형민 회장은 지난 코로나 확산 때처럼 의원급에서 코로나 환자를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도 냈다. 이는 질병관리청에서도 내세우고 있는 방안이지만 예산 투입 없이 이 같은 유인책은 실효성이 없다고 봤다.
이형민 회장은 "사실상 지금 1차 의료를 담당하고 있는 게 응급실이다. 말이 되지 않은 상황이다. 1차 의료는 1차 의료기관이 담당해야 한다. 그러려면 1차 의료기관이 담당할 수 있도록 자원을 세팅해줘야 한다. 그런데 정부 예산이 있을지 알 수 없다. 만약 1차 의료기관에 지원이 없다면 병원들, 응급실로 환자들이 몰리면서 사태가 매우 혼란한 상황으로 치달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 의협, 13일 코로나19 대책 전문위원회 발족 예정
대한의사협회도 코로나 대응에 소극적인 정부 대응을 비판하며, 별도로 자체 대응책을 강구키로 하고 코로나19 대책 전문위원회를 발족한다. 이를 통해 감염위기 대응 방안을 전략적으로 마련해나갈 예정이다.
의협 이은혜 팀장은 메디파나뉴스와의 통화에서 "의협에서는 코로나19 전문위원회의 위원장을 포함해 위원, 간사 등을 1차적으로 구성하고, 13일 상임이사회 의결을 통해 공식적으로 출범한다. 전문위원회 인원 구성은 아직 확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인원이 추가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한 "코로나 확산이 많이 되면 응급실에서 다 감당할 수 없기 때문에 의원급에서도 담당을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부분 등을 포함해서 코로나 확산 속도나 치명률 등에 따라 대응 방안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전문위원회 출범 이후 전문가들이 모여서 의견을 모으고, 도출된 내용들을 정부에 제언하게 될 것"이라며, 구체적인 내용은 출범이후 다시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