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4.04 05:56
'프리베나20', '박스뉴반스'와 동일 價로 NIP 경쟁 개막 예고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화이자 신규 폐렴구균 예방백신 '프리베나20(PCV20)'에 대한 영유아 국가예방접종백신(NIP) 사업에 따른 세부사항이 공개됐다. 정부는 PCV20(0.5ml/PFS)에 대한 27만 도즈 구매를 요청하며, 총 사업금액으로 171억234만원을 제시했다. 3일 조달청 나라장터에 따르면 질병관리청은 최근 2025년도 국가예방접종백신 PCV20가 구매요청 공고를 게시했다. PCV20 한 도즈(dose) 당 가격으로는 6만3342원이다. 계약은 총액 입찰방식으로 진행하며, 납품기한은 올해 12월 31일까지로 정했다. 앞서 3월 입찰이 완료된 MSD '박스뉴반스(PCV15)'와 동일한 가격을 제시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4.02 11:55
화이자 RSV 백신 '아브리스보' EU서도 성인 적응증 확대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화이자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SV) 백신 '아브리스보'가 유럽연합에서 전체 성인 연령으로까지 적응증을 확장했다. 1일(현지시간)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 EC)는 아브리스보의 시판 허가를 확대하며, 18세에서 59세 사이 성인에서 RSV로 인한 하기도 질환(LRTD) 예방을 포함하도록 적응증을 확대하는 결정을 내렸다. 이로써 아브리스보는 전체 성인을 적응증으로 유럽연합(EU)에서 승인된 최초이자 유일한 RSV 백신으로 등극했다. 아브리스보는 RSV-LRTD에 대해 광범위한 보호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2가 백신이다. 기존 60세 이상 성인과 0~6개월까지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4.02 05:55
"영유아 폐렴구균 예방, PCV15·PCV20 우열 가릴 순 없어"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국내 영유아 폐렴구균 백신 시장이 13년 만에 판도가 바뀌었지만, 소아감염 전문가마저 어느 한 쪽 손을 들어주진 못했다. 현재로선 15가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PCV15)과 20가 PCV(PCV20)간 우선순위를 가릴 수 없는 만큼, 다분히 시장 선택에 맡겨야 한다고 진단했다. 1일 대한소아감염학회 회장이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박수은 교수는 폐렴구균 백신 박스뉴반스 출시 1주년을 기념하는 미디어 세미나에 나와 이같이 밝혔다. 국내 영유아 폐렴구균 백신 시장은 2010년 출시된 화이자 '프리베나13'이 독주해왔다. 그러다 판도 변화가 감지된 건 2023년 10월부터다. 한국MSD가 PCV1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4.01 18:19
한국MSD "영유아 폐렴구균 백신 선택 기준은 면역원성"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한국MSD가 국내 영유아 폐렴구균 예방백신 선택 기준으로 '면역원성'을 강조했다. 15가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PCV) '박스뉴반스'가 화이자 20가 PCV '프리베나'보다 면역원성에서 우월하다는 점을 내세운 것이다. 1일 한국MSD 백신사업부 조재용 전무는 자사 폐렴구균 백신 박스뉴반스 출시 1주년을 기념하는 미디어 세미나에서 이 같이 밝혔다. 박스뉴반스는 2023년 10월 31일 허가 이후, 1달여 만에 국가필수예방접종(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이하 NIP) 도입이 신속하게 결정됐고, 2024년 4월부터 본격적으로 접종이 시작됐다. 그 이유로 조 전무는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4.01 10:24
한국노바티스 '코센틱스', 소아·청소년 중증 판상건선 급여 적용
한국노바티스(대표이사 사장 유병재)는 자사 IL-17A 억제제 '코센틱스(세쿠키누맙)'가 소아·청소년 만성 중증 판상건선 치료에 대해 건강보험 급여가 확대됐다고 1일 밝혔다. 이에 따라 6개월 이상 증상이 지속되는 만 6세 이상 18세 미만의 중증 건선 환자들도 4월 1일부터 보험 급여를 통해 코센틱스 치료가 가능해졌다. 급여 조건은 ▲판상건선이 전체 피부면적의 10% 이상 ▲PASI(건선 피부 및 중증도 지수, Psoriasis Area Severity Index) 10 이상 조건을 충족하면서 ▲MTX 또는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을 3개월 이상 투여하였음에도 반응이 없거나 부작용 등으로 치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4.01 09:56
장기 지속형 HIV 주사제 보카브리아+레캄비스 병용 급여 적용
한국GSK(한국법인대표 마우리치오 보르가타)는 자사의 장기 지속형 HIV(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주사 치료제인 보카브리아주(카보테그라비르 600mg)+레캄비스주사(릴피비린 900mg) 병용요법이 HIV-1 감염 치료에 대해 이달 1일부터 건강보험 급여를 적용 받는다고 밝혔다. 보카브리아주+레캄비스주사 병용요법은 2022년 2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바이러스학적으로 억제되어 있고 ▲치료 실패 이력이 없으며 ▲카보테그라비르 또는 릴피비린에 알려진 또는 의심되는 내성이 없는 성인 환자의 HIV-1 감염 치료요법으로 승인 받았으며, 건강보험 급여 기준도 이와 동일하게 적용된다. 보카브리아주+레캄비스주사 병용요법은 최초의 장기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4.01 09:50
사노피 PCSK9억제제 '프랄런트' 급여 출시
사노피의 한국법인(이하 사노피, 대표 배경은)은 PCSK9 억제제 프랄런트펜주(알리로쿠맙) 300mg가 4월 1일부터 건강보험 급여 등재와 함께 출시된다고 밝혔다. 프랄런트펜주 300mg은 이번 고시에 따라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혼합형 이상지질혈증 환자가 스타틴과 에제티미브를 병용투여했으나 반응이 불충분한 경우(LDL-C 수치가 기저치 대비 50% 이상 감소하지 않거나 LDL-C≥100mg/dL)와 스타틴 불내성의 경우 ▲죽상경화성 심혈관계 질환 환자가 최대 내약 용량의 스타틴과 에제티미브를 병용투여했으나 반응이 불충분한 경우(LDL-C 수치가 기저치 대비 50% 이상 감소하지 않거나 LDL-C≥70m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4.01 09:44
특정 거세저항성 전립선암서 '자이티가' 급여기준 확대
한국얀센(대표이사 크리스찬 로드세스)은 자사 전립선암 치료제 '자이티가'가 특정 요건을 만족하는 환자에 대해 오는 4월 1일부로 환자 본인 부담률이 5%인 완전 급여로 전환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자이티가는 무증상 또는 경미한 증상의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metastatic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mCRPC) 환자의 1차 치료제로 프레드니솔론과 병용 시 기존 30%(선별 급여)였던 환자 본인 부담률이 5%로 줄어든다.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으로 ECOG 수행능력평가(PS: Performance status)가 0 또는 1인 경우 및 통증이 없거나 경미해 마약성 진통
의약정책
최성훈 기자
25.03.31 15:48
사노피, 희귀혈액질환 사업부 출범 5주년 기념 심포지엄 성료
사노피의 한국법인(이하 사노피, 대표 배경은)은 최근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국내 혈우병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혈우병 최신 치료 전략과 알프로릭스의 실제 임상 경험을 논의하는 '사노피 혈우병 전문가 포럼 2025(Sanofi Hemophilia Expert Forum 2025)'를 성료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사노피의 희귀혈액질환 사업부 국내 출범 5주년을 기념해 기획됐다. 한국혈우재단 서울의원 구홍회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혈액응고인자 8인자와 9인자의 응고 인자 활성도 차이에 따른 지혈 분석(한국혈우재단 유기영 원장) △출혈 양상에 기반한 맞춤형 치료 전략(경북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지윤 교수)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31 12:00
릴리 고지혈증 치료 후보물질 '레포디시란' Lp(a) 94% 감소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일라이 릴리 고지혈증 치료제 '레포디시란(Lepodisiran)'이 '혈중 지단백(a)(lipoprotein(a)ㆍLp(a))' 농도를 94%까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현지시간) 릴리는 레포디시란에 대한 임상 2상인 ALPACA 연구의 긍정적인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최근 2025년 미국심장학회(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과학 세션에서 발표됐으며 동시에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NEJM)에 게재됐다. 레포디시란은 LDL-콜레스테롤(C) 제거하는 수용체인 PCSK9 단백질을 짧은 RNA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31 09:11
MET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텝메코' 보험 급여 적용
한국머크 바이오파마(대표 크리스토프 하만)는 자사 MET 엑손 14 결손(skipping) 변이(이하 MET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텝메코(테포티닙)가 4월 1일부터 건강보험 급여를 적용받는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고시에 따라 텝메코는 MET 엑손 14 결손이 확인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차수와 관계없이(1차 이상) 급여를 적용받는다. 국내 비소세포폐암 환자 중 MET 엑손 14 결손이 확인된 환자라면 텝메코를 1차 치료제로 사용하고 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텝메코 급여 적용은 MET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2상 임상 VISION 연구를 근거로 이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28 16:01
베이진 '테빔브라', 식도암 대상 건강보험 급여 적용
베이진코리아(대표 양지혜)는 4월 1일부터 면역항암제 테빔브라(티슬렐리주맙)가 식도편평세포암 환자의 2차 이상 요법으로 건강보험 급여를 적용 받는다고 28일 밝혔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암환자에게 처방투〮여하는 약제에 대한 공고 개정'에 따라, 이전 백금 기반 화학요법 치료 도중 또는 이후에 재발 또는 진행된 절제 불가능, 재발성,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식도편평세포암(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ESCC)의 2차 이상 치료제로 테빔브라의 급여 처방이 가능하다. 선행화학요법 또는 수술후보조요법 치료 도중 재발하거나 종료 후 6개월 이내 재발한 경우도 포함된다. 식도암 치료 영역에서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28 11:56
타그리소+다트로웨이 병용, EGFR 변이 NSCLC 치료 향상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진행성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에서 '타그리소(오시머티닙)'와 '다트로웨이(Datopotamab deruxtecan, Dato-DXd)'를 병용할 때 더 고무적인 치료 효과가 나타났다. 다트로웨이는 다이이찌산쿄가 개발한 TROP2 표적 항체-약물 접합체(ADC)다. 아스트라제네카와 다이이찌산쿄가 공동으로 개발 및 상업화하고 있다. 28일 아스트라제네카에 따르면 타그리소+다트로웨이 병용요법의 초기 결과를 확인한 ORCHARD 2상 임상 결과가 유럽폐암학술대회(ELCC 2025)에서 공개됐다. ORCHARD 연구에 따르면 새로 진단받은 진행성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 69명을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27 05:59
새 표준치료 제시한 '렉라자' vs 치료내성 극복한 '타그리소'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유럽폐암학술대회(ELCC 2025)에서 3세대 EGFR-TKI 치료제들에 대한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유한양행 '렉라자(레이저티닙)'는 J&J '리브리반트(아미반타맙)'와 병용을 통해 EGFR 변이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에서 아스트라제네카 '타그리소(오시머티닙)' 단독요법 대비 임상적 이점을 확인했고, 타그리소는 해당 치료 내성을 극복한 2차 치료에서 생존율 개선을 입증했다. 26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ELCC 2025에선 3세대 EGFR-TKI를 통한 임상적 이점을 확인하는 주요 연구결과 초록이 발표됐다. ◆ OS 12개월 이상 연장…표준치료 가능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24 11:44
ADC 신약 'I-DXd'…전립선암서도 가능성 엿본다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미국 머크(MSD)와 다이이찌산쿄가 공동으로 개발 중인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보물질이 전이성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Metastatic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mCRPC) 치료에서도 가능성을 시험한다. 24일 한국MSD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최근 전이성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mCRPC) 참가자를 대상으로 '이피나타맙 데룩스테칸(Ifinatamab Deruxtecan, I-DXd)'을 도세탁셀과 비교하는 제3상, 라벨 공개 임상시험 승인을 받았다. 임상시험 기관은 세브란스병원을 비롯한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울산대학교병원, 화순전남대학교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20 18:27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 타그리소 대비 OS 연장 입증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렉라자(레이저티닙)'와 '리브리반트(아미반타맙)' 병용요법이 '타그리소(오시머티닙)' 단독요법보다 전체생존기간(OS)에서 개선된 효과를 보였다. 20일 유럽폐암학회는 'European Lung Cancer Congress 2025(ELCC 2025)'에 대한 초록을 공개했다. ELCC 2025는 오는 26일부터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다. 앞서 존슨앤드존슨은 지난 1월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요법인 임상 3상 연구인 MARIPOSA 연구의 긍정적인 탑라인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공개된 초록에 따르면 이전에 치료 경험이 없는 엑손 19 결손 또는 엑손 21 L858R 치환 변이가 비소세포폐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20 17:41
한국애브비, 'ACE 심포지엄'서 편두통 최신지견 소개
한국애브비(대표이사 강소영)는 최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편두통에 대한 최신 지견을 나누는 '2025 ACE 심포지엄(AbbVie's Migraine portfolio: from CM to EM Symposium)'을 성황리에 진행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보톡스, 아큅타 등을 통해 편두통 치료 분야를 선도해 온 애브비가 편두통 예방치료에 대한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 전문가 간 학술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애브비는 2011년 만성 편두통 치료제로 국내 승인된 이후 10년 넘게 편두통 완화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보톡스를 비롯, 지난해 출시한 국내 최초이자 유일한 경구용 CGRP 수용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20 05:58
최신 건선 치료의 팔방미인 '스카이리치'
약력(略歷)은 사전적 의미로 '간략하게 적은 이력'을 뜻합니다. 하지만 이 글을 보시는 독자들께선 약력(藥力)으로도 해석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제약·바이오에 관심이 많으신 독자 여러분들이니까요. 실제 오랜 시간과 비용이 투입돼 개발된 약은 유효성·안전성, 임상연구, 마케팅 전략 등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힘(力)'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너의 약력(藥力)은' 코너에서는 스테디셀러 약부터 신약까지 국내외 시장에서 주목 받은 치료제들의 약력(略歷)을 쉽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영어로도 약력은 'Resume'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죠. 그러한 의미를 살려 자기소개 형식으로 소개합니다.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17 15:57
애브비 '엘라히어', 난소암 환자 장기 유효성 입증
애브비 난소암 신약 '엘라히어(미르베툭시맙)'가 엽산 수용체 알파(FRα) 양성인 백금저항성 난소암(PROC) 환자 치료에서 임상적 유효성을 입증했다. 17일 애브비에 따르면 엘라히어는 엽산 수용체 알파(FRα) 양성인 백금저항성 난소암(PROC) 환자를 대상으로 미르베툭시맙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확증 3상 MIRASOL 연구의 최종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중앙값 30.5개월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미르베툭시맙 치료군은 무진행 생존기간(PFS) 및 전체 생존 기간(OS)에서 연구자 선택 항암화학요법과 비교해 지속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다. 연구 결과 무진행 생존 기간 중앙값은 미르베툭시맙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17 05:55
화이자 vs 릴리, 청소년 중증 원형탈모도 경쟁 서막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중증 원형탈모증에서 JAK 억제제간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일라이 릴리가 '올루미언트(바리시티닙)'의 적응증을 성인에서 청소년까지 확장할 수 있는 긍정적인 임상 3상 데이터를 제시하면서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릴리는 최근 12세 이상 청소년 중증 원형탈모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3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제시했다. BRAVE-AA-PEDS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 환자 257명은 무작위로 배정해 하루 한 번 올루미언트4mg, 올루미언트2mg 또는 위약을 투여 받았다. 이들은 베이스라인 기준 두피 모발이 평균 89% 빠졌고, 환자 65%는 눈썹 모발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었던 환자들
학술·동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