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브린-종양기질 생성 억제, 암 성장 속도 늦출 수 있어"

경희대 융합생명의약학과 최정욱 교수, 종양 내 면역 형성 영향 연구 결과 발표
췌장관선암 내 피브린-종양기질, 면역세포의 침투, 분극화, 상호작용 등 영향 분석

최봉선 기자 (cbs@medipana.com)2025-04-10 08:55

경희대학교(총장 김진상) 융합생명의약학과 최정욱 교수와 유타대학교(University of Utah) 약학대학 타슬림 알힐랄(Taslim Al-Hilal) 교수 공동연구팀이 췌장관선암(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PDAC)에서 발견되는 섬유소가 면역세포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 결과 췌장관선암 내 피브린-종양 기질(FibTS)이 면역세포의 종양 내부 침투를 막는 역할을 하며, 피브린-종양 기질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면 종양 진행을 억제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연구 결과는 의공학 분야의 국제 학술지인 (IF=12.8)에 'Stromal fibrin shapes immune infiltration landscape of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게재됐다.

췌장관선암 내 혈액 응고 현상은 교차 결합한 피브린(fibrin)으로 구성된 피브린-종양 기질이란 복잡한 구조를 형성한다. 피브린은 혈액 응고 관련 단백분해효소인 트롬빈(thrombin)의 효소작용에 의해 만들어진 섬유상 단백질이다. 연구팀은 이 피브린으로 구성된 피브린-종양 기질이 종양 내 면역세포의 침투, 분극화, 면역세포 간 상호작용 등에 미치는 영향을 살폈다.

피브린-종양 기질은 면역계 T 림프구의 한 유형인 CD8+ T세포와 종양 관련 대식세포의 침투와 이동을 제한했다. 면역세포가 종양의 중심부로 이동할 수 없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면역억제 환경이 조성되고 종양의 성장을 돕는 효과가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러한 현상을 반대로 활용해 새로운 치료법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약리학적 방법을 활용해 피브린-종양 기질의 형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면 CD8+ T 세포와 종양 관련 대식세포의 침투 패턴을 바꿀 수 있다. 이를 통해 췌장관선암의 성장이 느려짐도 확인했다.

최정욱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피브린-종양 기질이 종양 내 면역 회피에 중요 역할을 함을 밝혔다. 또한 이를 활용해 췌장관선암의 면역 환경을 변화시키고 종양의 성장을 늦출 수 있는 잠재적 치료 방식을 발견했다"며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