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27 05:59
새 표준치료 제시한 '렉라자' vs 치료내성 극복한 '타그리소'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유럽폐암학술대회(ELCC 2025)에서 3세대 EGFR-TKI 치료제들에 대한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유한양행 '렉라자(레이저티닙)'는 J&J '리브리반트(아미반타맙)'와 병용을 통해 EGFR 변이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에서 아스트라제네카 '타그리소(오시머티닙)' 단독요법 대비 임상적 이점을 확인했고, 타그리소는 해당 치료 내성을 극복한 2차 치료에서 생존율 개선을 입증했다. 26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ELCC 2025에선 3세대 EGFR-TKI를 통한 임상적 이점을 확인하는 주요 연구결과 초록이 발표됐다. ◆ OS 12개월 이상 연장…표준치료 가능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24 11:44
ADC 신약 'I-DXd'…전립선암서도 가능성 엿본다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미국 머크(MSD)와 다이이찌산쿄가 공동으로 개발 중인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보물질이 전이성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Metastatic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mCRPC) 치료에서도 가능성을 시험한다. 24일 한국MSD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최근 전이성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mCRPC) 참가자를 대상으로 '이피나타맙 데룩스테칸(Ifinatamab Deruxtecan, I-DXd)'을 도세탁셀과 비교하는 제3상, 라벨 공개 임상시험 승인을 받았다. 임상시험 기관은 세브란스병원을 비롯한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울산대학교병원, 화순전남대학교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20 18:27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 타그리소 대비 OS 연장 입증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렉라자(레이저티닙)'와 '리브리반트(아미반타맙)' 병용요법이 '타그리소(오시머티닙)' 단독요법보다 전체생존기간(OS)에서 개선된 효과를 보였다. 20일 유럽폐암학회는 'European Lung Cancer Congress 2025(ELCC 2025)'에 대한 초록을 공개했다. ELCC 2025는 오는 26일부터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다. 앞서 존슨앤드존슨은 지난 1월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요법인 임상 3상 연구인 MARIPOSA 연구의 긍정적인 탑라인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공개된 초록에 따르면 이전에 치료 경험이 없는 엑손 19 결손 또는 엑손 21 L858R 치환 변이가 비소세포폐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20 17:41
한국애브비, 'ACE 심포지엄'서 편두통 최신지견 소개
한국애브비(대표이사 강소영)는 최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편두통에 대한 최신 지견을 나누는 '2025 ACE 심포지엄(AbbVie's Migraine portfolio: from CM to EM Symposium)'을 성황리에 진행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보톡스, 아큅타 등을 통해 편두통 치료 분야를 선도해 온 애브비가 편두통 예방치료에 대한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 전문가 간 학술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애브비는 2011년 만성 편두통 치료제로 국내 승인된 이후 10년 넘게 편두통 완화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보톡스를 비롯, 지난해 출시한 국내 최초이자 유일한 경구용 CGRP 수용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20 05:58
최신 건선 치료의 팔방미인 '스카이리치'
약력(略歷)은 사전적 의미로 '간략하게 적은 이력'을 뜻합니다. 하지만 이 글을 보시는 독자들께선 약력(藥力)으로도 해석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제약·바이오에 관심이 많으신 독자 여러분들이니까요. 실제 오랜 시간과 비용이 투입돼 개발된 약은 유효성·안전성, 임상연구, 마케팅 전략 등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힘(力)'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너의 약력(藥力)은' 코너에서는 스테디셀러 약부터 신약까지 국내외 시장에서 주목 받은 치료제들의 약력(略歷)을 쉽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영어로도 약력은 'Resume'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죠. 그러한 의미를 살려 자기소개 형식으로 소개합니다.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17 15:57
애브비 '엘라히어', 난소암 환자 장기 유효성 입증
애브비 난소암 신약 '엘라히어(미르베툭시맙)'가 엽산 수용체 알파(FRα) 양성인 백금저항성 난소암(PROC) 환자 치료에서 임상적 유효성을 입증했다. 17일 애브비에 따르면 엘라히어는 엽산 수용체 알파(FRα) 양성인 백금저항성 난소암(PROC) 환자를 대상으로 미르베툭시맙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확증 3상 MIRASOL 연구의 최종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중앙값 30.5개월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미르베툭시맙 치료군은 무진행 생존기간(PFS) 및 전체 생존 기간(OS)에서 연구자 선택 항암화학요법과 비교해 지속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다. 연구 결과 무진행 생존 기간 중앙값은 미르베툭시맙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17 05:55
화이자 vs 릴리, 청소년 중증 원형탈모도 경쟁 서막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중증 원형탈모증에서 JAK 억제제간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일라이 릴리가 '올루미언트(바리시티닙)'의 적응증을 성인에서 청소년까지 확장할 수 있는 긍정적인 임상 3상 데이터를 제시하면서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릴리는 최근 12세 이상 청소년 중증 원형탈모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3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제시했다. BRAVE-AA-PEDS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 환자 257명은 무작위로 배정해 하루 한 번 올루미언트4mg, 올루미언트2mg 또는 위약을 투여 받았다. 이들은 베이스라인 기준 두피 모발이 평균 89% 빠졌고, 환자 65%는 눈썹 모발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었던 환자들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14 15:30
듀피젠트, 국내 생물의약품 최초 COPD 적응증 확대
사노피의 한국법인(대표 배경은)은 듀피젠트(두필루맙, 유전자재조합)가 13일부터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표준 흡입 요법으로 적절히 조절되지 않는 혈중 호산구 수가 증가된 성인 COPD의 추가 유지 치료 요법으로 적응증 확대 승인을 받았다고 14일 밝혔다. COPD는 호흡곤란과 피로, 급성악화 등으로 환자들은 삶의 질 저하를 경험하며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그러나 기존 흡입제 기반의 3제 병합요법을 사용하더라도 환자의 약 50%는 여전히 중증 악화를 겪고 있어 미충족 수요가 있었다. 듀피젠트는 COPD에서 최초이자 유일하게 승인된 표적 생물의약품으로 기존 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COPD 환자들에 새로운 임상적 혜택을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13 05:56
암젠, '블린사이토' 전구 B세포 ALL 공고요법 급여 확장 시동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난치성 백혈병 치료에서 또 한 번 이정표를 달성한 급성림프모구성백혈병(ALL) 치료제 '블린사이토(블리나투모맙)'가 급여 확대에 도전한다. 암젠코리아는 필라델피아 염색체 음성(이하 Ph-) 전구 B세포 ALL 공고요법 치료에서 적응증을 확장한 블린사이토에 대해 건강보험 급여기준 확대 의지를 밝혔다. 암젠코리아는 12일 서울 강남 조선팰리스 호텔에서 자사 급성림프모구성백혈병 치료제 블린사이토의 공고요법 치료 적응증 확대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암젠코리아 신수희 대표이사가 직접 모습을 나타내 이번 블린사이토 적응증 확장 의미를 강조했다. 앞서 블린사이토는 화학요법이나 조혈모세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12 20:15
백혈병 공고요법 적응증 확장한 '블린사이토'…의료진들 기대감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급성림프모구성백혈병(ALL) 치료제 '블린사이토(블리나투모맙)'가 공고요법까지 적응증을 확장한 가운데 국내 임상현장이 큰 기대감을 드러냈다. 국내 혈액암 전문가들은 화학요법이나 조혈모세포이식밖에 선택지가 없었던 공고요법에서 새로운 치료 옵션이 생긴 만큼, 완치에 더욱 가까워질 것이라 평가했다. 암젠코리아는 12일 서울 강남 조선팰리스 호텔에서 자사 급성림프모구성백혈병 치료제 블린사이토의 공고요법 치료 적응증 확대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앞서 블린사이토는 지난달 필라델피아 염색체 음성(이하 Ph-) 전구 B세포 ALL 공고요법 치료로써 최대 4주기까지 투여 가능하도록 적응증을 확대했다. 이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11 05:59
급여 도전한 희귀암 치료 신약 65%, 암질심서 고배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최근 1년 새 건강보험 급여 등재에 도전한 희귀암 치료 신약 65%는 급여 첫 관문조차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메디파나뉴스가 2024년 1차 암질환심의위원회(암질심)부터 2025년 1차 암질심까지 상정된 20개의 희귀암 치료제 심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7개(35%)가 다음 단계인 약제급여평가위원회에 상정되거나 상정을 기다리고 있다. 암질심을 통과한 치료제를 살펴보면 ▲'파드셉'(요로상피암) ▲'콰지바'(신경모세포종) ▲'베스레미'(진성적혈구증가증) ▲'페마자이레'(FGFR2 융합 또는 재배열 담관암) ▲'팁소보'(IDH1 변이 양성 급성 골수성 백혈병) ▲'텝메코'(ME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10 12:02
최초 경구 IL-23억제제 '이코트로킨라' 상업화 기대감↑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최초 경구 IL-23억제제 후보 물질인 '이코트로킨라(Icotrokinra)'가 중증 판상건선 치료를 위한 임상 3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획득했다. 이코트로킨라는 IL-23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퍼스트 인 클래스(First-in-class)' 연구용 표적 경구용 펩타이드다. 중등도에서 중증 판상건선을 가진 12세 이상 청소년 성인을 대상으로 현재 임상 3상이 진행 중이다. 10일 존슨앤드존슨은 이코트로킨라로 치료받은 중등도에서 중증 판상 건선(PsO) 환자 중절반 가까이가 24주차에 완전히 깨끗한 피부(IGA0)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앞서 존슨앤드존슨은 이코트로킨라의 임상적 유효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08 05:56
아토피 교체투여가 갖는 의미…"국내 환자도 EASI-90 달성"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국내 아토피 치료 전문가들이 중증 아토피피부염 치료 전략 변화를 예고했다. 중증 아토피피부염 치료제의 두 축인 생물학적 제제와 JAK 억제제 간 교체투여 급여가 인정되면서 국내 환자들도 더 높은 치료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거란 관측이다. 한국애브비가 7일 개최한 '린버크' 기자간담회에서 노원을지대학교병원 피부과 한태영 교수와 경북대학교병원 피부과 장용현 교수는 이같이 밝혔다. 한태영 교수는 그간 국내 아토피피부염 치료 환경은 해외보다 뒤쳐져 있었다고 했다. 해외는 생물학적 제제-JAK 억제제 간 교체투여에 대한 제한이 없기 때문에 우리보다 더욱 높은 치료 목표를 설정해나갔다는 것. 한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07 17:46
중증 아토피 치료 교체투여 허용에 임상 전문가들 기대감↑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중증 아토피피부염 치료제 간 교체투여 허용에 임상 전문가들이 기대감을 나타냈다. 국내 아토피 치료 전문가들은 "환자 특성에 따른 환자별 맞춤 치료 전략이 가능해졌다"라며 "생물학적 제제에 불충분한 반응을 보이는 환자에서도 적절한 치료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애브비는 7일 서울 파크하얏트 호텔에서 아토피피부염 치료제 '린버크(유파다시티닙)'의 최신 임상연구 및 최근 변경된 아토피피부염 보험급여 기준에 따른 치료 전망을 공유하기 위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지난 1일부터 보건복지부는 중증 아토피피부염 치료제로 쓰이는 생물학적 제제(듀피젠트, 아트랄자)와 JAK 억제제(린버크, 올루미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07 05:56
급여 노크하는 골수섬유증 신약 '옴짜라'...의료현장도 고대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골수섬유증 치료제 '옴짜라(모멜로티닙)'가 건강보험 급여 등재를 노린다. 옴짜라는 빈혈을 동반한 골수섬유증 치료에서 비장 용적은 줄이면서도, 수혈 의존도를 낮추는 효과를 보여 의료현장에서도 기대감을 드러내는 약이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GSK 골수섬유증 치료제 옴짜라가 오는 19일 열릴 암질환심의위원회에 상정될 전망이다. 옴짜라는 국내서는 최초이자 유일하게 빈혈을 동반한 골수섬유증 치료제로, 작년 9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그런 만큼 의료현장에선 관련 골수섬유증 환자에서 효과적인 치료 옵션으로 급부상했다. 골수섬유증 환자 대부분은 빈혈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골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06 05:55
"'리트풀로', 치료 옵션 없던 청소년 원형탈모서 큰 무기"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국내 원형탈모증 인구 17만명 중 청소년은 10% 정도입니다. 그냥 수치만 놓고 보면 10분의 1이지만,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원종현 서울아산병원 피부과 교수가 5일 중증 원형탈모증 치료제 출시 기자간담회에서 '리트풀로(리틀레시티닙토실산염)' 출시 의미를 두고 이같이 말했다. 앞서 리트풀로는 성인 및 12세 이상 청소년에서 중증 원형탈모증 치료제로 지난해 9월 국내 허가를 받았다. 경구용 JAK억제제로선 '올루미언트(바리시티닙)'에 이어 두 번째로 나온 중증 원형탈모증 치료제다. 청소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중증 원형탈모증 치료제로선 리트풀로가 최초다. 이에 원 교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05 11:53
'졸레어', 식품 알레르기서 경구면역요법 대비 효능 입증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알레르기성 천식 치료제 '졸레어(오말리주맙)'가 식품 알레르기에서 경구면역요법(OIT) 대비 효능을 입증했다. 졸레어는 작년 2월 식품 알레르기 치료제로선 최초이자 유일하게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허가 받았다.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로슈는 최근 하나 이상 식품 알레르기가 있는 어린이와 성인을 대상으로 경구 면역요법(OIT)과 1대1로 비교한 임상 3상 OUtMATCH 연구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OUtMATCH는 졸레어와 경구면역요법을 1대1로 비교한 최초의 연구다. 연구에선 117명의 환자(평균 연령: 7세)를 대상으로 OIT와 결합된 졸레어 단기 투여군과 졸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04 09:18
재발형 다발성경화증 치료에 '오크레부스' 건보 급여
한국로슈(대표이사 이자트 아젬)는 자사 다발성경화증 치료제 '오크레부스(오크렐리주맙)'가 3월 1일부터 건강보험 급여를 적용받는다고 4일 밝혔다. 이번 고시에 따라 오크레부스는 재발형 다발성경화증(RMS)에 해당하는 ▲재발 완화형 다발성경화증(RRMS) 환자 중 1차 치료제(인터페론 β-1b 등) 투여 후 치료 실패 또는 불충분한 반응을 보이며 외래 통원이 가능한 환자 ▲이차 진행형 다발성경화증(SPMS) 환자를 대상으로 단독 요법에 대한 급여가 적용된다. 이에 따라 재발 완화형에서는 2차, 이차 진행형에서는 1차 치료제로서 급여를 인정받게 됐다. 재발형 다발성경화증(RMS)은 재발 완화형 및 이차 진행형 다발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04 05:56
세계 첫 MASH 치료 신약…부정적 전망에도 매출 순항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세계 첫 대사이상관련간염(MASH) 치료제 '레즈디프라(레스메티롬)'가 부정적 전망을 딛고 순항 중이다. 레즈디프라는 미국 마드리갈 파마슈티컬스(Madrigal Pharmaceuticals)가 개발한 약물로 작년 3월 미국 FDA로부터 승인됐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마드리갈은 최근 분기보고서에서 작년 4분기에만 레즈디프라 매출 1억330만달러(한화 약 1500억원)를 올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레즈디프라 작년 연매출은 1억8010만달러(한화 약 2600억원)로 사용 환자 수만 1만1800명에 이른다고 덧붙였다. 레즈디프라에 대한 일부 부정적인 전망과 달리 4분기를 기점으로 시장에 안착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01 05:58
자존심 구겼던 유방암 치료제 '입랜스'…새 데이터로 만회할까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HR+/HER2- 유방암 표준 치료제인 CDK4/6 억제제 경쟁에서 한 발 밀렸던 화이자가 이를 만회하는 연구를 내놨다. 노바티스 '키스칼리(리보시클립)'나 일라이 릴리 '버제니오(아베마시클립)'와 비교했을 때, 생존기간(OS)에서 '입랜스(팔보시클립)'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다. 앞서 입랜스는 다른 CDK4/6 억제제와 다르게 최종 연구에서 OS를 입증하지 못한 바 있다. 2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HR+/HER2-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서 1차 치료로 사용되고 있는 3가지 CDK/4/6 억제제를 직접 비교한 리얼월드 분석 임상 3상 P-VERIFY 결과가 샌안토니오
학술·동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