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3.09.15 12:02
재발 위험 감소 '키스칼리'‥조기 유방암 치료서 영향력 더욱 확대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진행성 유방암 치료제 '키스칼리'(리보시클립)가 조기 유방암 진단을 받은 환자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도 암 재발 위험을 감소시켰다. 14일 현지시간 노바티스는 유럽종양학회(ESMO) 온라인 총회에서 3상 임상시험(NATALEE)을 통해 새로운 환자 보고 결과(PRO) 데이터를 발표했다. 그 결과 호르몬 수용체 양성/인간 표피 성장인자 수용체 2 음성(HR+/HER2-) 2기 및 3기 조기 유방암(EBC) 환자군은 키스칼리와 내분비 요법(ET)을 병용하는 치료 기간 동안 건강 관련 삶의 질(HRQoL)을 유지했다. 조기 유방암 재발위험을 낮추면서도 건강 관련 삶의 질까지 동시에 확보한 셈이다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3.09.15 06:06
365일 주사 꽂는 성장호르몬 치료서 엔젤라 '지각변동' 예고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제일 기본적으로 경구약제로 만들면 좋겠죠. '니들 포비아(Needle Phobia)'가 있으니까요. 아이들은 실제 주사 공포감에 내적 갈등을 느낍니다. 최근 순응도 연구가 계속 나오는데, 죽고 사는 문제를 가진 암 환자 같은 경우에도 자가 복용이 가능한 항암제 순응도는 80%가 채 안 된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과 채현욱 교수는 지난 14일 화이자 엔젤라 급여 출시 기자간담회에서 성장호르몬 결핍증 아동 치료 핵심은 '순응도'라 봤다. 저신장 아동 치료에 있어 기존 성장호르몬 제제는 매일 같은 시간 자가주사로 투약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키 성장을 위해 1년 3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3.09.14 18:05
"성장호르몬 주1회 투여 엔젤라로 치료 패러다임 변할 것"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화이자 '엔젤라'(소마트로곤)가 소아 성장호르몬 결핍증 치료 시장에서 돌풍을 예고했다. 주1회 성장호르몬 투약으로 저성장 아동들의 치료 순응도를 높인데 이어 최근 건강보험 급여권 진입에 성공하면서다. 한국화이자제약은 14일 서울 코리아나 호텔에서 엔젤라 프리필드펜주 24mg, 60mg의 보험급여 출시를 기념하는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강남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과 채현욱 교수가 '소아 성장호르몬 결핍증 치료의 의학적 미충족 수요와 주1회 성장호르몬 엔젤라의 임상적 의의'를 주제로 최신 치료 지견과 엔젤라의 주요 임상연구 데이터에 대해 소개했다. 채 교수는 "엔젤라는 매일 투
의약정책
최성훈 기자
23.09.13 08:36
케렌디아, 유럽심장학회 심혈관질환 관리 Class 1A등급 권고
바이엘 코리아(대표이사: 프레다 린, Freda Lin)는 유럽심장학회(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가 2023년 심혈관질환 가이드라인을 개정하며 자사의 제2형 당뇨병 동반 만성신장질환 치료제 케렌디아®(피네레논)의 심혈관질환 및 신부전 위험 감소 효과를 반영해SGLT-2i와 함께Class 1A 등급으로 권고했다고 밝혔다. 유럽심장학회는 급성 또는 만성 심부전(HF)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2021년 가이드라인을 중점적으로 개정하며 제2형 당뇨병 동반 만성신장질환 환자에서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을 예방하기 위해 케렌디아®를 Class 1A 등급 권고사항으로 포함했다. 이와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3.09.12 06:03
"JAK 억제제 우려 해소될까"…한국인 RWD 안전성 데이터 또 나왔다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에서 야누스키나제(Janus kinase, JAK) 억제제의 부작용 이슈를 불식시킬만한 국내 연구 데이터가 또 제시됐다. 이번 임상 데이터는 한국인 환자 다수를 대상으로 추적 관찰한 연구 결과여서 주목된다. 1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건국대학교병원 류마티스내과 민홍기 교수·예방의학과 김형수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데이터에 기반한 후향적 관찰연구를 통해 JAK 억제제 사용군과 TNF 억제제 사용군을 비교했다. 연구는 'JAK 억제제를 투여받은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암, 심혈관 질환, 혈전색전증 및 사망 위험'이라는 제목으로 'Epi
종합병원
조후현 기자
23.09.11 16:28
SGLT2 억제제, 당뇨병 환자 심근경색 후 사망 위험 낮춰
SGLT2 억제제가 당뇨병 환자 심근경색 후 사망이나 심부전 등 주요 심혈관 사고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이 규명됐다. 가톨릭의대 연구팀은 급성 심근경색으로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은 당뇨병 환자에게 당뇨병 치료제 SGLT2 억제제를 조기 투여할 경우 사망과 심부전 발병을 포함한 모든 주요 심혈관 사고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로 향후 당뇨병과 심근경색을 동반한 환자 치료에 있어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시각의 접근과 논의가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내분비내과 이정민 교수(교신저자), 순환기내과 권오성 교수(공동1저자), 서울성모병원 직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3.09.11 15:24
타그리소+항암화학, EGFR 변이 폐암서 PFS 9개월 연장
'타그리소'(오시머티닙)가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 변이(EGFRm)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 치료에 더욱 진화된 임상 데이터를 내놨다. 아스트라제네카는 타그리소와 항암화학 병용요법에 대한 3상 연구(FLAURA2) 결과,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EGFRm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오시머티닙 단독요법 대비 무진행생존기간(PFS)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임상적으로 의미 있게 개선시키는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금일 2023년 세계폐암학회 국제학술회의(IASLC 2023 WCLC)에서 발표됐다. 연구 결과, 오시머티닙-항암화학 병용요법은 오시머티닙 단독요법 대비 질환의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3.09.11 11:45
트로델비+키트루다 병용,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서 가능성 확인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길리어드사이언스 Trop-2 표적 ADC 치료제 '트로델비'(사시투주맙 고비테칸-히지)가 '키트루다'(펨브롤리주맙)와 병용을 통해 전이성 비소세포폐암(NSCLC) 1차 치료에서 유망한 결과를 보였다. 전이성 비소세포폐암서 1차 치료로 쓰이는 키트루다 단독·병용요법의 객관적 반응률(ORR)과 질병통제율(DCR)을 뛰어넘으면서다. 트로델비는 90% 이상의 유방암과 방광암에서 주로 높게 발현되는 세포표면항원인 Trop-2를 표적하는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다. 국내에서는 지난 5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전이성 삼중음성 유방암에서 3차 치료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3.09.11 09:29
사노피 독감 백신 '박씨그리프테트라주' 전국 공급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사노피의 한국법인(이하 사노피) 은 올해 독감 예방접종 시즌을 맞아 지난 7일부터 자사의 독감 백신 '박씨그리프테트라주(Vaxigrip Tetra)' 공급을 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사노피는 올해 이례적으로 여름에도 지속적인 유행 양상을 보이고 있는 독감에 대비해 고위험군이 늦지 않게 백신을 접종할 수 있도록 2023-2024절기 독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일정에 맞춰 적기에 자사의 독감 백신을 공급했다. 박씨그리프테트라주는 지난 해에 이어 수입 백신 중 유일하게 독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에 포함되어 보건소 및 위탁의료기관, 전국 주요 병∙의원에서 접종 가능하다. 박씨그리프테트라주는 소아∙임신부∙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3.09.11 06:04
JW중외제약 '리바로젯' 한국인 이상지질혈증 환자 '최적의 치료옵션'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대한비만학회는 2023년 9월 7일~9일 서울 콘래드호텔에서 '2023 국제 비만 대사증후군 학술대회(ICOMES 2023, International Congress o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2023)'를 진행했다. 학술대회에서 비만 정책, 비만 치료전략, 비만과 암, 노인 및 소아청소년의 비만 등 다양한 주제로 강연들이 발표됐고, 9일 JW중외제약의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리바로젯의 Satellite Symposium이 개최돼 많은 관심을 받았다. 이날 강연은 전북대병원 내분비내과 박태선 교수가 좌장을 맡아 'Cutting Edge Care of Pita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3.09.11 06:02
"백신 접종서 장점 많은 프리필드 제형, 국내 도입 초반은요"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2003년 국내 첫 프리필드 시린지(PFS, Pre-fillable Syringe) 전용 생산 공장을 세울 때까지만 하더라도 참 열악했습니다." 보령바이오파마 생산본부 최호근 전무는 지난 8일 열린 벡톤디킨슨(BD)코리아 미디어 세션에 연자로 나와 백신 프리필드 시린지 제형을 두고 이 같이 술회했다. 그는 동신제약(SK케미칼과 합병, 현 SK바이오사이언스) 근무 시절, BD 코리아와 함께 국내 처음으로 PFS 제형 생산 라인을 가동한 인물이다. 현재 PFS 제형으로 생산되는 백신 제품들은 모두 다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생산되지만, 첫 PFS 생산 라인 셋업 당시엔 여간 골치가 아니었다고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3.09.08 12:00
'6개월 한 번 주사' 고혈압 신약, 임상 2상 탑라인서 효과 입증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항고혈압제 복용 없이 6개월에 한 번 피하주사하는 형태로도 혈압을 낮출 수 있는 신약이 상업화 단계를 착실히 밟아가고 있다. 미국 바이오회사 엘라일람(Alnylam)이 심혈관 질환 고위험군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자사 고혈압 RNAi 치료제 임상시험에서 임상적 유용성을 입증하면서다. 이 약물은 스위스 제약사 로슈가 지난 7월 앨라일람에 3억 달러 이상을 지불하고 공동권리를 획득한 바 있다. 7일(현지시간) 앨라일람은 심혈관 질환 고위험군 환자 대상 고혈압 RNAi 치료제 질레베시란의 임상 2상 용량 범위 시험에서 긍정적인 탑라인 결과를 발표했다. 질레베시란은 간 발현 안지오텐시노겐(AGT)을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3.09.07 12:00
리브리반트+렉라자, 비소세포폐암 2차 치료서 유효성 확인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얀센 표적항암제 '리브리반트'(아미반타맙)가 '타그리소'(오시머티닙) 치료에 실패한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에서 임상적 유효성을 확인했다. 리브리반트는 유한양행 '렉라자'(레이저티닙)와의 병용요법을 통해 타그리소, 렉라자 단독요법과 직접 비교, 평가하는 임상 3상(MARIPOSA)을 진행 중인 약물이다. 여기에 얀센은 MARIPOSA 후속 연구로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2차 치료에 따른 리브리반트+렉라자 병용 연구(MARIPOSA-2) 결과까지 도출한 것이다. 6일(현지시간) 얀센은 EGFR 및 MET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리브리반트의 3상 임상인 MARIPOSA-2 연구에서 긍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3.09.06 11:45
"옵디보 위암 1차 치료 급여 환영하지만…접근성 개선 숙제"
[메디파나뉴스= 최성훈 기자] 국내 의료진들이 HER2(인간 표피 성장인자 수용체 유전자) 음성 위암에 있어 면역항암제 '옵디보'(니볼루맙) 1차 치료 급여 등재에 기대감을 나타냈다. 위암 4기 환자에게 치료 기회를 확대해 전체생존율을 획기적으로 늘릴 거란 이유에서다. 다만 이번 급여 대상에서 제외된 PD-L1 CPS 5 미만 및 치료 유효 환자군의 접근성 개선을 위한 추가 방안 마련은 향후 과제라 제시했다. 한국오노약품공업과 한국BMS제약은 6일 롯데호텔 서울에서 옵디보 위암 1차 치료 급여 등재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우선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라선영 교수는 국내 진행성 및 전이성 위암 1차 치료에 있어 옵디보가 향후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3.09.06 09:56
한국얀센 '임브루비카', 1차 치료제로 급여 확대
한국얀센(대표 황 채리 챈)의 혈액암 치료제 임브루비카캡슐(이브루티닙)가 보건복지부 개정 고시에 따라 9월 1일부터 일정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 65세 이상 만성림프구성백혈병(CLL, chronic lymphocytic lymphoma) 또는 소림프구성림프종(SLL, small lymphocytic lymphoma) 환자의 1차 치료제로 급여가 적용됐다. 구체적으로, 65세 이상의 이전에 치료받은 적이 없는 만성림프구성백혈병 또는 소림프구성림프종 환자에서 Cumulative Illness Rating Scale(CIRS) 점수가 6점보다 크거나 또는 사구체 여과율(Creatinine Clearance)이 70mL/min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3.09.05 06:03
주 1회 성장호르몬제 엔젤라, 급여등재 통해 시장 확대 나선다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최초의 주 1회 소아 성장호르몬 제제로 관심을 모은 '엔젤라'(소마트로곤)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해나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국내 성장호르몬제 시장에서 기존 제제 대비 적은 투여횟수를 무기로 건강보험 급여권에 진입하면서다.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화이자제약 엔젤라 프리필드펜주(24mg, 60mg)가 지난 1일부터 건보 급여 적용을 받기 시작했다. 급여적용 대상은 ▲해당 역연령 3퍼센타일 이하 신장 ▲2가지 이상 성장호르몬 유발검사로 확진 ▲해당 역연령보다 골연령이 감소된 만 3세 이상 성장호르몬 분비장애 소아환자 등이다. 투여기간은 골단이 닫히기 전까지 투여하나 골연령이 여자의 경우 1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3.09.04 14:35
사노피, 폼페병 치료제 '넥스비아자임' 급여 적용
사노피 한국법인(이하 사노피)은 '넥스비아자임'(아발글루코시다제 알파)이 9월 1일부터 폼페병(산성 알파-글루코시다제 결핍)으로 확진된 환자의 장기 효소 대체 요법 치료제로 건강보험 급여를 적용 받는다고 4일 밝혔다.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라 넥스비아자임®은 임상증상과 효소분석 등으로 영아 발병형 폼페병(Infantile-Onset Pompe Disease, IOPD) 및 후기 발병형 폼페병(Late-Onset Pompe Disease, LOPD)으로 새로 진단된 경우, 또는 기존 치료제인 마이오자임® 투여 시 효과가 없거나 이상반응으로 투약을 지속할 수 없어 교체투여(Switch)가 필요한 경우 보험급여로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3.09.04 11:34
암종불문 항암제로 진화하는 '엔허투', 고형암·대장암도 접수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항체약물접합체(ADC) 치료제 '엔허투'(트라스투주맙 데룩스테칸)가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고형암 및 대장암에 대한 혁신 치료제 지정을 받았다. 이로써 엔허투의 혁신 치료제 지정 건수는 총 7건으로 늘며, 암종 불문 항암제로서의 등극 가능성을 높였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 FDA는 최근 엔허투를 HER2 발현 전이성 고형암 환자 및 전이성 고형 종양 및 HER2 양성 전이성 대장암 환자 혁신 치료제로 지정했다. 엔허투는 다이이찌산쿄와 아스트라제네카가 공동으로 개발 및 상용화 한 차세대 ADC 치료제로 HER2를 표적한다. HER2는 암 세포의 표면에 붙어 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3.09.04 08:56
바이엘 코리아 만성 심부전 치료제, 베르쿠보 보험 급여 적용
바이엘 코리아(대표이사: 프레다 린)는 만성 심부전 질환 치료제 베르쿠보(베리시구앗)가 9월 1일부터 건강보험 급여 적용을 받게 됐다고 4일 밝혔다.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르면, 베르쿠보®는 좌심실 수축기능이 저하된 만성 심부전 환자(NYHA class Ⅱ~ Ⅳ) 중, 좌심실 박출률(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이 45% 미만인 환자로서 4주 이상의 표준치료에도 불구하고 세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다른 심부전 표준치료와 병용해 투여하는 것에 대해 건강보험급여가 적용된다. 이에 바이엘 코리아는 지난 30일 베르쿠보의 급여 적용을 축하하기 위한 사내행사를 진행했다. 특히 이날 행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3.09.04 06:05
1회 독감 치료제 '조플루자' 올해는 매출 확대 이뤄낼까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겨울철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이 다가온 가운데 '조플루자'(발록사비르마르복실)가 매출 확대에 나설지 주목된다. 복약 편의성을 무기로 그간 '타미플루'(오셀타미비르) 대체재라는 평가를 받아왔지만, 3년간의 코로나19 대유행 탓에 쉽사리 매출액을 끌어올리지 못해서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로슈는 최근 조플루자 국내 판매를 위한 대대적인 정비를 마쳤다. 조플루자는 약 20년 만에 개발된 새로운 기전의 인플루엔자 치료제다. 단 1회 경구 복용으로 인플루엔자 증상을 위약 대비 신속하게 완화하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검출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항 바이러스제다. 하루 2회 5일간 경구 복용해야
학술·동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