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5.03.25 14:41
제넥신, 美 코넬의대와 GX-BP1 공동연구 추진
제넥신은 bioPROTAC(바이오프로탁) 플랫폼 기반 혁신 항암제 GX-BP1의 방광암 치료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 미국 웨일 코넬 의과대학과 물질 이전계약(MTA)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공동연구는 영국 정밀의학연구소 연구소장이자 코넬 의대 마이어 암센터 소속의 비쇼이 팔타스(Bishoy M. Faltas) 교수가 리드하여 진행될 예정이다. 주된 연구는 GX-BP1이 방광암 세포 증식 및 전이를 억제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목적으로 진행된다. SOX2는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에 큰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암 유발 전사인자로 폐암, 식도암, 난소암 등 대부분의 고형암에서 발현하지만 SOX2의 기능을 제어할 수 방법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5.03.21 09:28
큐라클, 당뇨병성 황반부종 치료제 FDA TypeC미팅 회의록 수령
난치성 혈관질환 특화기업 큐라클은 지난달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진행한 'CU06' Type C 미팅 회의록을 공식적으로 수령했다고 21일 밝혔다. 큐라클은 이번 미팅을 통해 CU06의 후속 개발 방향이 보다 구체화됐다고 평가하면서 이에 맞춰 임상 2b상 준비에 본격적으로 돌입할 예정이다. 큐라클은 CU06이 기존 치료제인 안구 내 주사제(Anti-VEGF)와 차별화된 기전을 가진 혁신신약(First-in-Class)이다. 당뇨병성 황반부종(DME) 치료제로 후기 임상에 진입하는 세계 최초의 경구용 약물인 만큼, 본격적인 임상 진입 전 FDA가 적용할 평가 기준과 가이드라인을 확인하기 위해 미팅을 진행했다. CU06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5.03.17 17:23
알테오젠, AZ와 피하주사제형 항암제 개발 라이선스 계약
바이오 플랫폼 기업 알테오젠은 아스트라제네카의 자회사 MedImmune LLC 및 MedImmune Ltd와 피하주사제형 치료제 개발을 위한 하이브로자임(Hybrozyme™) 플랫폼 기술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알테오젠은 다품목 항암 치료제의 피하주사제형 개발에 대한 독점적인 글로벌 개발 권리를 아스트라제네카에 부여했다. 이번 계약에는 계약금을 포함해 개발 및 규제, 판매 관련 마일스톤이 포함돼 있다. 추가로 해당 제품이 판매되면 정해진 비율의 로열티를 수령하게 된다. 앞서 알테오젠은 히알루로니다제를 사용한 피하주사제형 치료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5.03.14 09:21
GC녹십자, Tdap백신 임상 1/2상 식약처 승인
GC녹십자는 지난 12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성인용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예방 혼합백신(Tdap) 개발 과제인 'GC3111B'의 1/2상에 대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 받았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임상에서 GC녹십자는 만 19세 이상 64세 이하의 건강한 성인 120명을 대상으로 GC3111B 접종에 따른 안전성 및 면역원성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임상은 2026년 말까지 완료를 목표로 한다. Tdap 백신은 국가필수예방접종 백신으로 분류되어 있지만 국내 유통중인 백신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백일해는 가족 내 2차 발병률이 약 80%에 달할 정도로 전염성이 높고, 백신 접종을 통한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13 13:33
차세대 전이성 대장암 치료제 '프루자클라' 국내 허가
한국다케다제약은 자사 전이성 대장암 치료제 '프루자클라(프루퀸티닙)'가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국내 품목 허가 승인을 획득했다고 13일 밝혔다. 프루자클라의 효능·효과는 이전에 플루오로피리미딘, 옥살리플라틴, 이리노테칸을 기본으로 하는 항암화학요법과 항 VEGF 치료제 또는 항 EGFR 치료제(RAS 정상형(wild type)의 경우)로 치료받은 적이 있고, 트리플루리딘/티피라실 및/또는 레고라페닙으로 치료시 질환이 진행되었거나 내약성이 없는 전이성 결장직장암 성인 환자의 치료다. 이번 허가를 통해 그간 후기 항암 단계에서 제한적 치료옵션으로 인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했던 전이성 대장암 환자들에게 전체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12 11:57
한국GSK, 골수섬유증 치료제 '옴짜라' 국내 출시
한국글락소스미스클라인(한국법인 대표 마우리치오 보르가타, GSK)는 자사의 골수섬유증 치료제인 '옴짜라(모멜로티닙염산염수화물)'를 국내 출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출시를 통해 옴짜라는 국내 골수섬유증 치료 환경의 미충족 수요로 남아있던 ‘빈혈’을 유의하게 개선하면서 기존 치료 목표인 전신 증상, 비장 비대 개선도 기대할 수 있는 치료 옵션으로 자리잡을 예정이다. 옴짜라는 지난 해 9월, 빈혈이 있는 성인의 중간위험군 또는 고위험군의 골수섬유증(일차성 골수섬유증, 진성 적혈구증가증 후 골수섬유증 또는 본태성 혈소판증가증 후 골수섬유증) 치료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았다. 옴짜라는 JAK1,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5.03.11 13:58
엔지켐생명과학, 노화세포 제거 '역노화 신약' 개발
엔지켐생명과학은 지난해 말부터 본격적으로 AI 활용 신약개발을 위한 팀을 조직하고, 노화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혁신적인 '역노화 신약개발'에 착수했다고 11일 밝혔다. 엔지켐생명과학은 AI 기반 구조분석을 통한 역노화 저분자화합물을 이미 다수 발굴한 것을 시작으로 내년 초까지 선도물질을 최적화해 IP 확보와 라이선스 아웃을 추진하고, 노화세포 제거 기전의 AI 신약개발 플랫폼을 개발할 계획이다. 또한 신약개발 역량을 기반으로 노화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혁신적인 역노화 신약을 개발할 것이라고 회사측은 전했다. 엔지켐생명과학은 항염증과 항암 연구를 수행하며 습득한 분자세포 연구역량을 활용해 타깃 선정을 마치고, 현재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5.03.06 11:38
에이비엘바이오-리가켐 개발 CS5001병용 호주서 1상 IND 제출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는 글로벌 파트너사 시스톤 파마슈티컬스가 ROR1 표적 항체-약물 접합체(ADC) CS5001(ABL202/LCB71)을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LBCL)의 1차 표준 치료법과 병용하는 임상 1b상의 임상시험계획서(IND)를 호주에서 제출했다고 6일 밝혔다. 또한 CS5001은 고형암 환자 대상 글로벌 임상을 통해 단독요법 및 PD-L1 억제제 병용요법에 대한 평가도 진행 중이다. CS5001은 에이비엘바이오가 개발한 ROR1 항체에 리가켐바이오의 종양 특이적 절단 가능 링커 및 PBD 전구약물을 적용한 ADC 후보물질이다. 지난 2020년 10월 리가켐바이오를 통해 시스톤에 기술 이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05 17:18
성인·청소년 중증 원형탈모 새 옵션 '리트풀로' 국내 상륙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국내 중증 원형탈모증 치료 신약인 '리트풀로캡슐(리틀레시티닙토실산염)'이 국내 상륙했다. 관련 적응증에선 두 번 째 JAK(Janus kinase) 억제제로, 중증 원형탈모증 청소년 환자 미충족 수요까지 해결해 줄 전망이다. 한국화이자제약은 중증 원형탈모증 치료제 리트풀로의 출시를 기념해 5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리트풀로는 성인 및 12세 이상의 청소년에서 중증 원형탈모증 치료제로 허가받은 1일 1회 경구용 JAK억제제다. 국내 원형탈모증 치료제 중에서는 청소년 환자를 대상으로 처음으로 허가된 의약품이며, 국내에서는 지난해 9월 허가 받았다. 이날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5.03.04 10:54
한올바이오파마,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HL161 日희귀의약품
한올바이오파마는 일본 후생노동성(MHLW)으로부터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바토클리맙(HL161BKN)'을 갑상선안병증(TED)에 대한 희귀의약품(ODD) 지정을 받았다고 4일 밝혔다. 희귀의약품 지정(ODD)은 희귀 질환의 치료와 예방을 위한 의약품이다. 유병 인구가 약 5만명 이하에 속하면서도 환자 수, 미충족 수요, 개발 가능성 등 요건을 충족하는 치료제에 부여된다. 현재 일본에서 갑상선안병증을 앓고 있는 환자는 약 3만5000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된 치료제는 시판허가일로부터 최대 10년간 독점권 부여, 세제혜택 제공 등 여러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바토클리맙은 자가면역질환을 유발하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5.03.04 09:21
뇌혈관 연축예방 신약 피브라즈 연구 결과 국제 학술지 게재
한독은 동맥류성 지주막하출혈 환자의 뇌혈관 연축 예방 신약 피브라즈의 연구 결과가 1월 20일 대한신경외과학회 학술지(JKNS)에 온라인 게재됐다고 4일 밝혔다. 대한신경외과학회 학술지는 국내 신경외과학회를 대표하는 SCIE급 국제학술지이다. 한독은 2008년부터 넥세라파마 코리아(NPK)와 피브라즈에 대한 국내 임상시험 수행 및 품목 인허가 작업을 공동으로 수행해왔다. 피브라즈는 2023년 12월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허가를 획득했으며, 한독은 피브라즈에 대한 국내 마케팅, 영업, 유통을 전담하고 있다.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은 뇌동맥류성 지주막하출혈 후 뇌혈관 연축 및 관련 이환율과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률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5.02.24 11:37
신약개발연구조합, 신약개발포스터 27호 제정…산학연 등 배포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은 2025년판 신약개발포스터 제27호를 제정완료하고 국회, 정부, 기업, 대학, 관련 기관 등을 대상으로 본격 배포에 착수한다고 24일 밝혔다. 신약개발포스터 제27호(2025년판)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술 우위 확보전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상황에서, 외부 요인에 휘둘리지 않는 고유의 독자 기술로 인류가 공통적으로 직면하고 있는 질병극복을 위한 본질적 대안 마련을 통해 국가간 경계와 이익을 초월하는 불변의 본질가치를 창출하고 세계적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 신약개발의 이미지를 전달하고자 했다. 신약조합 관계자는 "세계 경제는 미·중 무역분쟁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5.02.21 09:29
큐리언트, 백혈병 임상 첫 환자 투약…1차 치료제 기대
혁신신약 개발 전문기업 큐리언트는 21일 아드릭세티닙(Q702)의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임상시험에서 첫 환자 투약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은 재발성·불응성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아자시티딘, 베네토클락스, 아드릭세티닙 삼중 병용요법의 안전성과 효능을 평가한다. MD 앤더슨 암센터(MD Anderson Cancer Center)가 주관하며, 지난해 6월 임상시험계획(IND) 승인, 10월 임상 개시를 거쳐 올해 2월부터 본격적인 환자 모집이 시작됐다. MD 앤더슨 암센터는 아드릭세티닙의 표적인 Axl, Mer, CSF1R의 활성화가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나쁜 예후와 관련이 깊다는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5.02.20 15:55
동아ST,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 품목허가 신청
동아에스티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 품목허가를 신청했다고 20일 밝혔다. 동아에스티는 지난헤 1월 SK바이오팜과 세노바메이트 라이선스인 계약을 체결했다. 동아에스티는 SK바이오팜으로부터 세노바메이트 국내외 30개국 공급을 위한 완제의약품(DP) 생산 기술을 이전받아 세노바메이트 30개국 허가, 판매 및 완제의약품 생산을 담당한다. 세노바메이트는 SK바이오팜이 자체 개발한 뇌전증 치료제로 뇌에 흥분성 신호를 전달하는 나트륨 채널을 차단해 신경세포의 흥분성 및 억제성 신호의 균형을 정상화한다. 다국가 임상으로 진행한 Pivotal(품목허가를 위한 임상) 임상 결과 세노바메이트를 투여받은 환자들은 발작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5.02.19 10:15
한미약품-GC녹십자, '파브리병 혁신신약' 기존 치료제 대비 효능 우수
한미약품과 GC녹십자가 '세계 최초 월 1회 피하투여 용법'으로 공동 개발중인 파브리병 치료 혁신신약의 우수한 신장기능 개선 효능을 설명하는 기전적 연구 성과를 발표해 큰 주목을 받았다. 한미약품은 지난 3일부터 7일까지(현지 시각)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리소좀 질환 관련 WORLD Symposium 202에서 파브리병 치료제 'LA-GLA(코드명: HM15421/GC1134A)'가 기존 치료제 대비 신장기능, 혈관병 및 말초신경장애 개선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비임상 연구 결과 3건을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파브리병은 성염색체로 유전되는 진행성 희귀난치 질환으로, 리소좀 축적질환(LSD)의 일종이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5.02.17 15:40
셀리드, 항암면역치료백신에 적용된 NK세포 관련 '국내 특허' 등록
백신개발 전문기업 셀리드는 개발하고 있는 항암면역치료백신 BVAC파이프라인에 적용된 NK세포 관련해 국내 특허 등록 결정이 완료됐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특허는 셀리드가 개발 중인 CeliVax(셀리백스) 플랫폼의 자연 살해 T 세포의 리간드와 암 항원을 적재한 NK(자연 살해) 세포를 포함하는 백신 기술에 대한 것이다. 해당 특허는 국내를 비롯하여 PCT에 출원됐고, 현재 개별국에 대한 심사가 진행되고 있다. 셀리드는 이번 특허 등록을 통해 셀리백스 플랫폼의 핵심 기술을 보호하고 독점적 권리를 확보했다. 셀리드는 B세포와 단핵구를 사용하는 셀리백스 플랫폼 기술에 대하여 각각 개별 특허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번 NK세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5.02.17 15:36
한미약품, CCR4 타깃 면역항암 혁신신약 2상서 '완전관해' 확인
한미약품이 미국 랩트 및 MSD와 협업해 진행한 임상 2상 시험에서 CCR4 타깃 경구용 면역항암제 '티부메시르논(코드명 FLX475)'과 면역관문억제제 '키트루다(펨브롤리주맙)' 병용요법의 잠재력을 입증했다. 한미약품은 지난달 23일부터 25일까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2025 ASCO GI Cancers Symposium(미국임상종양학회 소화기암 심포지엄)에 참가해 위암 혁신신약으로 개발 중인 '티부메시르논' 임상 2상 단계 1의 최종 결과를 포스터 발표로 공개했다고 17일 밝혔다. 티부메시르논은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조절 T세포(Treg)의 종양 내 이동을 유도하는 CCR4 수용체 단백질을 차단하는 경구용 면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5.02.13 10:40
에이비엘바이오, 키스톤심포지아 학회서 BBB셔틀 플랫폼 우수성 발표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는 오는 17일부터 20일(현지시간)까지 키스톤 심포지아(Keystone Symposia)에 참석해 자사의 혈액뇌관문(BBB) 셔틀 플랫폼 '그랩바디-B(Grabody-B)'의 우수성을 포스터 및 구두 발표를 통해 소개할 예정이라고 13일 밝혔다. 키스톤 심포지아 학회는 생명과학 및 생명의학 분야의 연구 주제를 다루는 권위 있는 국제 학술 행사 중 하나다. 이번 학회 주제는 '뇌로의 약물 전달을 위한 새로운 기술과 접근법(Drug Delivery to the Brain: Emerging Modalities)'이다.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제 개발 분야에서 뇌와 척수로의 약물 전달율 개선을 위한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5.02.13 09:12
SK바이오팜, 美 현지 세일즈 미팅 개최
SK바이오팜의 미국 자회사 SK라이프사이언스는 지난 10일부터 13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미국 내 영업 조직을 대상으로 한 '2025 내셔널 세일즈 미팅(National Sales Meeting)'을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올해로 6회째를 맞이한 이번 행사에는 이동훈 사장을 비롯해 현지 임직원 약 17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세노바메이트의 폭발적인 성장세로 이뤄낸 사상 최대의 연간 흑자 달성을 함께 축하하고, 앞으로의 목표와 전략을 공유하며 결속력을 다졌다. SK바이오팜은 지난해 세노바메이트 단일 매출만으로 첫 연간 흑자를 기록하는 쾌거를 이뤘다. 특히 지난해 미국 내 세노바메이트(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5.02.12 10:30
프레스티지 "췌장암 항체신약 'PBP1510' 1상 7부능선 돌파"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췌장암 항체신약 'PBP1510'의 임상 1/2a상 시험에서 20명 환자가 투약을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로써 임상 1상은 20명의 환자가 투약하며, 7부 능선 돌파를 앞두고 있다. PBP1510 임상투약 환자는 스페인에 이어 미국이 6명을 넘어섰고 싱가포르에서도 5명이 등록을 완료하며 빠르게 진행 중이다. 특히 PBP1510이 그룹의 핵심 파이프라인인 만큼 폐암과 대장암에 이어 사망률 3위에 오를 정도로 췌장암 환자가 많은 미국을 마켓의 최대 승부처로 놓고 빠르게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회사측은 전했다. 회사는 지난해 6월 미국 뉴욕주 최대 의료기관인 노스웰 헬스에서 췌장암 연구의 권위자인
학술·동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