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분자 화합물 넘어 신규 모달리티까지…동아ST, 미래 먹거리 집중
동아에스티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신약을 개발한 제약사다. 최근에는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이뮬도사'의 미국 FDA 승인과 유럽 EMA 승인권고를 획득했다. 이뮬도사는 이르면 내년 상반기 미국과 유럽에 출시될 예정이다. 동아에스티는 더 큰 성장을 목표로 신약개발 부문에 있어 저분자 화합물뿐만 아니라 ADC, TPD 등 다양한 신규 모달리티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동아에스티는 독자적인 기술로 면역항암제를 개발하고 있다. 2024년 3월 면역항암제 'DA-4505' 임상 1상을 개시하며 본격적인 개발에 나섰다. DA-4505는 AhR(A
최인환 기자24.12.26 08:49
동아ST, 'R&D day 2024' 개최…ADC·신규 모달리티 집중
동아에스티 핵심 연구인력이 애널리스트와 직접 소통하며 동아에스티 연구개발(R&D) 청사진을 제시했다. 동아에스티는 지난 14일 서울시 동대문구 용두동 본사에서 국내 증권사 애널리스트를 대상으로 '동아ST R&D day 2024'를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 행사에서 동아에스티 박재홍 R&D 총괄 사장, 유준수 R&D 전략실장, 김미경 연구본부장이 동아에스티의 R&D 성과 및 향후 계획, 파이프라인 등을 애널리스트들에게 직접 발표하며 경쟁력을 알렸다. 유준수 R&D 전략실장이 인사말로 시작해
장봄이 기자24.11.15 12:10
글로벌 CDMO, 캐파 확장·신규 모달리티 생산 분주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미국 생물보안법 영향으로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들의 사업 변화가 분주하다. 국내외 주요 기업들이 생산 능력(캐파) 확장과 신규 모달리티 생산 서비스 등을 선제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15일 한국바이오협회 및 업계 등에 따르면, 글로벌 CDMO 1위 기업인 스위스 론자는 바이오접합체 서비스 확장을 위해 스위스 비스프에 2개 제조시설 추가를 추진한다. 바이오접합체 출시와 상업용 대량 생산을 위해 1200리터 규모의 신규 제조시설 2개를 추가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기존 시설에 제조
장봄이 기자24.11.15 11:50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국산신약 '렉라자' 일본 땅 밟을까...27일 승인 심사대
2
政, 간호법 후속 진료지원업무 시행규칙 내달 입법예고할 듯
3
신경외과의사회, "실손보험 개혁…환자·국민 피해 따져봐야"
4
[주.사.기] 대웅제약, 의약품 R&D 기반으로 실적↑·해외 진출
5
휴젤, 톡신 등 전분야 일제히 상승세…연매출 20% 증가 전망
6
"전문약사 자격 획득, 업무 효율성· 의료진 신뢰도 높아져"
7
정현호 메디톡스 대표 약사법 위반 1심 무죄
8
파마리서치, '리쥬란' 유럽 진출…MDR 인증으로 글로벌 가속
9
우여곡절 겪은 위암 치료제 '빌로이' 내달 출시…"사용 절실"
10
"신약 개발·약제비 개편, 협력 필수…재정-산업 균형 맞춰야"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