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료체계 개선책‥권역응급센터에 책임전가?

"환자 거부한 응급센터, 근본적 원인 규명과 해결책 없어"

조운 기자 (good****@medi****.com)2016-12-28 05:58

[메디파나뉴스 = 조운 기자] 정부가 국내 응급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권역응급의료센터가 권역 중증 응급환자를 책임지고 치료하라는 개선책을 발표했다.
 
본래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역할이 자기 권역의 중증 응급환자를 책임지고 치료하는 것인 상황에서 타 응급의료기관 간 전원을 더욱 어렵게 하고, 센터의 책임만을 부과하는 해당 개선책이 논란이 되고 있다.

지난 27일 보건복지부는 제4차 중앙응급의료위원회에서 마련한 '응급의료 제도개선 추진계획'을 공개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원칙적으로 권역 내 모든 중증 응급환자는 해당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치료하도록 책임을 강화하고, 예외적인 경우에만 전원이 가능하도록 '응급환자 전원 기준'을 만들어 이에 따르도록 한다는 것.

문제는 정부가 지난 9월 전주에서 발생한 중증외상 소아환자가 센터로부터 전원을 거부당한 원인에 대한 규명과 그 원인에 대한 근본 해결책은 없다는 점이다. 실제로 권역응급의료센터는 정부의 지원을 받아 혹시 모를 응급환자에 대비해 일정 병상을 유지하면서 해당 권역의 응급환자를 책임지게 돼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해 중증외상 소아환자 사건 발생 당시, 최초 병원인 전북대병원의 권역응급의료센터는 유방암 환자 재건 수술, 신장 이식 수술 2건이 진행되고 있어 다른 수술을 할 수 없어 피치 못하게 전원을 할 수밖에 없었다.

또 전남대병원 권역외상센터의 경우 중증 소아환자의 수술을 집도할 수 있는 전문의가 없어 전원을 거부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어찌 보면 핑계라고 할 수 있지만, 13곳의 병원이 죽어가는 환자를 일부러 외면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처럼 많은 병원이 환자를 거부했다는 사실 자체가 우리나라 '응급실'에 무엇인가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방증한다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A 대학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우리나라 권역응급의료센터가 밤도, 새벽도 아닌 사고가 발생한 낮 시간에 2개의 응급 수술밖에 할 수 없다는 것 자체가 문제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나라 응급의료센터 내에서 응급 환자를 수용하고 이에 대해 진단 및 수술까지 가는 과정에서도 분명 문제가 있음에도 이에 대한 세심한 분석 없이 사건 3개월 만에 병원이 문제니 병원이 책임지라는 식의 개선책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권역응급의료센터 내에 응급환자를 받아들일 수 없는 근본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 외 정부의 개선책으로 나온 '응급환자 전원지원 정보시스템' 마련 및 '전원조정센터'의 역할 강화 등의 대안 역시 근본 해결책은 아니라는 분석이다.

B 대학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응급 환자는 '골든타임'이 생명인 상황에서 어떤 병원에 가야 가장 빨리 정확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지를 파악해 최초로 이송할 수 있는 시스템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무조건 가장 크고 시설이 좋은 권역응급의료센터로 환자를 이송하는 것이 좋은 것만은 아니다"라며 "환자 상태에 따라 적절한 병원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애초부터 환자 흐름을 조정하는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보기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