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임성기 한미약품 회장, 정부-언론-사회 '제약인식' 뒤바꾸다

2015년 8조원대 기술수출 성과로 고부가가치, 미래 먹거리 산업 이미지 극대화
사회 전반에 글로벌 시장 진출 기대감 높여… 정부 제약산업 투자정책 변화 점화

이정수 기자 (leejs@medipana.com)2020-08-03 12:21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2일 타계한 한미약품 창업주 故임성기 회장은 제약·바이오산업을 향한 정부·언론·사회 인식을 바꿔놓는 데에도 일조했다.

한미약품은 2015년 3월 다국적제약사 일라이릴리와 BTK 저해제 신약후보물질 ‘HM71224’에 대해 6억9000억달러(8230억원) 규모 판권이전 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같은해 7월에는 다국적제약사 베링거인겔하임과도 비소세포폐암 신약후보물질 ‘HM61713’에 대해 7억3000만달러 규모 판권이전 계약을 체결하는 데 성공했다.

한 제약사가 한 해에만 누적으로 14억2000만달러(1조6950억원) 규모에 이르는 기술수출 계약 체결한 사실은 제약·바이오산업에 대한 정부와 언론, 사회 관심을 이끌기에 충분했다.

업계 내에서만 주로 논의돼왔던 신약개발과 기술수출은 ‘수조원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지목되면서 일간지와 경제지 등 각종 언론을 통해 대대적으로 다뤄졌고, 주식시장에서도 새로운 관심사로 급부상해 10만원 이하에 맴돌던 주가는 수개월 만에 90만원에 육박한 수준으로 크게 올랐다.

이같은 변화는 정부와 국회에서도 확인됐다. 그간 제약·바이오산업을 육성한다는 수준에서 지원해왔던 정부는 이 시기를 기점으로 업계 신약개발과 기술수출 사업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태도로 전환됐다. 국회에서도 국내 제약·바이오업계가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는 가능성에 대해 높은 관심을 드러냈다.

한미약품이 2015년 한 해에 이뤄낸 성과는 2016년 6월 발표된 ‘2016년도 제약산업 육성·지원 시행계획’에 그대로 반영됐다. 정부는 2015년 한해동안 국산 신약 5개가 허가되고, 한미약품 8조원을 포함해 총 9조3000억원 규모로 기술이전 계약이 체결됐음에 주목했다.

이에 신약개발 R&D 투자규모를 늘리고, 글로벌 헬스케어 펀드를 조성했다. 당시 이동욱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2015년 대규모 해외기술수출로 제약산업에 대한 미래 먹거리 산업 성장가능성을 확인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이같이 한미약품으로부터 시작된 제약·바이오산업 R&D에 대한 기대감과 관심은 2017년 5월 출범한 문재인 정부에서도 그대로 이어졌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적용되는 ‘제2차 제약산업 육성·지원 5개년 종합계획’에서는 ‘신약개발 R&D’와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이 핵심과제로 설정됐다.

지난해 바이오헬스산업을 ‘3대 중점육성 산업(BIG3)’ 중 하나로 선정하는 등 2015년 이후 본격화된 제약·바이오산업에 대한 정부 기대감은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관련기사보기

[돋보기] '개량신약' 새 가능성 제시한 故임성기 한미약품 회장

[돋보기] '개량신약' 새 가능성 제시한 故임성기 한미약품 회장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지난 2일 한미약품 임성기 회장이 타계한 이후 고인의 업적이 재조명되는 가운데 국내 제약업계에 처음으로 선보인 개량신약도 함께 회자되고 있다. 故 임성기 회장은 창업 초기부터 자체 개발 약물에 대한 신념을 갖고, 직접 약물을 개발하기 위해 R&D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그 결과 중 하나로 한미약품은 지난 2009년 고혈압 복합제 '아모잘탄'을 통해 국내 첫 '개량신약' 타이틀을 차지했다. 고혈압 치료제로 사용되는 로사르탄칼륨과 암로디핀을 결합해 만든 아모잘탄은 개발 당시 단순히 주성분을

신약개발 향한 故 임성기 회장 신념, 한미약품 미래 밝힌다

신약개발 향한 故 임성기 회장 신념, 한미약품 미래 밝힌다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故 임성기 한미약품의 회장이 지난 2일 타계했지만, 고인이 일궈놓은 기반을 바탕으로 한미약품은 성장을 지속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故 임성기 회장은 한미약품 창업 당시부터 '자체 개발 제품'에 대한 신념을 갖고 있었다. 이 같은 경영철학은 오늘날 한미약품이 국내 제약업계에서 신약개발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는 데 일조했다. ♦︎남다른 '최초'·'최대' 업적…국내 신약개발 새 시대 열어 창업 초기부터 연구개발의 필요성을 역설했던 故 임성기 회장은, 1973년 창업 이후 17년

한미약품, 임성기 회장 1주기 추모 "제약계 물줄기 바꾼 거인"

한미약품, 임성기 회장 1주기 추모 "제약계 물줄기 바꾼 거인"

[메디파나뉴스 = 허성규 기자] 한미약품그룹이 창업주 임성기 회장의 1주기 추모식을 갖고 고인의 뜻을 되새겼다. 한미약품그룹은 창업주 임성기 전 회장의 영면(2020년 8월 2일) 1주기를 맞아 임 회장을 추모하는 행사를 이달 2일과 지난달 30일 서울 송파구 본사, 팔탄 스마트플랜트, 평택 바이오플랜트, 한미약품연구센터, 한미정밀화학 등 전 사업장에서 임 회장 흉상 제막식과 함께 진행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평소 소탈하고 업무 외의 일로 임직원들에게 부담 주기를 꺼려했던 임 회장의 성품에 맞춰 추모식도 최대한 소박하고 간략하게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 작성자 비밀번호 확인 취소

    한미도***2020.08.05 00:08:42

    꼼수증여와 직원내보내기+ 라인타는 병원영업상무가 왕노릇하는 회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