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긴급백신 필요 우선순위 풍토병 병원체 17개 발표

전 세계 면역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사용
우선 순위 지정 17가지 병원체, 잠재적 백신 개발 단계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
제한된 자원 효율적 사용, 공중 보건 요구 부합, 보건상 이점 극대화가 중요

조해진 기자 (jhj@medipana.com)2024-12-11 10:21

지난달 세계보건기구(WHO)가 전세계 풍토병(Endemic)을 해결하고 공평한 백신 접근성을 증진하기 위해 백신 연구개발을 위한 우선순위가 높은 17개 병원체의 새로운 목록을 발표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이하 센터)가 11일 발표한 이슈브리핑에 따르면, WHO의 예방접종 의제 2030(IA2030)과 연계된 이 최초의 이니셔티브는 특히 저소득 및 중간 소득 지역에서 심각한 공중 보건 부담, 높은 항생제 내성(AMR) 및 주요 사회경제적 영향을 미치는 병원체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일부 지역 및 글로벌 백신 우선순위 목록이 개발됐지만, 풍토병 병원체에 대한 개발중인 백신에 초점을 맞춘 목록은 없었다. 

이번 긴급백신이 필요한 풍토병 병원체 우선순위 지정 연구는 전 세계 면역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사용했으며, 전문가들은 사망률, 항생제 내성 우려 및 지역 질병 영향과 같은 기준에 따라 병원체의 순위를 매겼다. 

우선 순위로 지정된 17가지 병원체는 잠재적 백신의 개발 단계에 따라 세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새로운 백신 연구가 필요한 병원체'는 4개로, A군 연쇄상구균, C형 간염 바이러스, HIV-1 및 폐렴균(Klebsiella pneumoniae)이 포함된다. 

이 병원체들에 대한 새로운 백신은 전 세계적으로 충족되지 않은 보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급히 필요하다.

'추가 백신 개발이 필요한 병원체'는 8개로, 이 범주에는 거대세포바이러스, 리슈마니아 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광범위한 보호 백신용), Plasmodium falciparum(말라리아),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 노로바이러스, 시겔라 종 및 황색포도상구균이 포함된다. 

이러한 병원체들은 특히 항생제 내성(AMR) 발병률이 증가하는 지역에서 심각한 보건 및 경제적 부담을 초래할 수 있다. 

'규제 승인이 임박한 병원체'는 5개로 뎅기열 바이러스, B군 연쇄상구균, 장외 병원성 대장균,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및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가 포함된다.

이 범주에 속하는 백신은 정책 권고와 잠재적인 공공 사용에 가까워지고 있는 상태다.

WHO의 면역, 백신 및 생물학적 제제 부서 책임자인 케이트 오브라이언(Kate O'Brien)은 "이번 연구는 백신 개발이 수익 중심의 접근 방식에서 필요 기반 접근 방식으로의 전환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지역별 전문성과 증거에 기반한 이 우선순위 지정 과정은 생명을 구할 뿐만 아니라, 가족과 시스템상 의료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백신을 강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센터는 예방 접종이 전 세계 이환율과 사망률에 전례 없는 영향을 미쳤지만, 백신 개발이 기술적으로나 상업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많은 병원체에 대한 백신이 부족해 계속해서 상당한 공중 보건 부담을 주고 있다고 봤다. 

이에 백신 R&D를 위한 병원체 표적의 우선순위 지정은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공중 보건 요구에 부합하며, 보건상의 이점을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WHO R&D 청사진(WHO R&D BLUEPRINT)은 전염병 가능성이 있는 우선 순위 병원체를 식별했으나 풍토성 병원체(주어진 인구 집단 내에서 정기적으로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에 대해서는 이러한 글로벌 우선순위가 수행되지 않았었다. 

이에 이번 WHO 병원체 목록은 자금 제공자, 학계 및 제조업체에게 영향력이 큰 백신 R&D로 안내해 보다 탄력적인 글로벌 보건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지정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센터는 또한 COVID-19와 같은 잠재적인 전염병 병원체를 대상으로 하는 전염병 위협에 대해 WHO가 R&D 청사진을 보완하는 이 새로운 풍토병 중심 목록을 바탕으로 현재와 미래의 글로벌 보건 요구 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