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비스모'부터 '서스비모'까지…로슈, 안질환 강자 재확인

nAMD·DME 치료제 바비스모 글로벌 매출 6조원 돌파   
안질환 최초 이중특이항체 기전으로 투여 편의성 효과 톡톡
서스비모도 DME서 망막 임플란트로선 최초로 FDA 허가

최성훈 기자 (csh@medipana.com)2025-02-07 11:56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글로벌 안과 치료 시장에서 강자로 떠오른 스위스 빅파마 로슈가 입지를 재확인시켰다.  

안질환 최초 이중특이항체 치료제 '바비스모(파리시맙)'가 매출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한편, 망막 질환 임플란트인 '서스비모(라니비주맙)'도 최근 당뇨병성 환반부종(DME)에서 적응증을 추가했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로슈는 안질환 영역에서 최근 혁신을 주도해나가고 있다. 

그 중심에는 바비스모가 있다. 바비스모는 안과 질환 최초 이중특이항체(bispecific antibody) 치료제로, 두 가지 주요 질환 발병 경로인 혈관내피성장인자-A(VEGF-A)와 안지오포이에틴-2(Ang-2)를 모두 표적한다.     

습성 연령관련 황반변성(nAMD)과 당뇨병성 황반부종(DME)에서 적응증을 획득하며, 2022년 1월과 9월에 각각 FDA와 유럽에서 승인을 받았다. 

바비스모가 지닌 가장 큰 강점으론 안구 내 주사 투약 간격을 기존 8~12주에서 최대 16주까지 연장시켰다는 점이다.  

또 이 약물은 핵심 임상연구들을 통해서 치료 2년차에 투여 환자 5명 중 3명(약 60%)이 4개월의 투약 간격을 유지했다는 점도 강점이다. 

그러면서 바비스모 매출도 빠르게 늘고 있다. 로슈 2024년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바비스모 연매출은 전년 대비 68% 상승한 38억6400만스위스프랑(한화 약 6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자사 블록버스터 면역항암제인 '티쎈트릭'과 유방암 치료제 '퍼제타'보다 더 많은 매출을 기록한 것. 

미국 매출만 29억4000만스위스프랑(한화 약 4조7000억원)으로 안정적인 매출 흐름을 보인데다 유럽(128%↑)과 그 외 시장(168%)에서 매출 확산이 이뤄진 덕분이다.
 
여기에 바비스모는 지난해 7월과 12월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의약품청(EMA)으로부터 망막정맥폐쇄(RVO)에 따른 황반부종 치료까지 적응증을 확장했다. 

망막정맥폐쇄(RVO)는 망막의 정맥이 막혀 혈류장애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당뇨망막병증 다음으로 흔한 망막혈관질환이다.

이와 함께 로슈는 최근 라니비주맙 성분 망막 질환 임플란트인 서스비모의 적응증 확대도 일궈냈다. 

FDA는 지난 4일 당뇨병성 황반부종(DME) 임플란트 치료제로선 처음이자 유일하게 서스비모를 승인한 것. 
망막 질환 임플란트인 서스비모 제품 모습.  출처 = 서스비모 홈페이지.
서스비모는 두 가지 이상 항VEGF 치료를 받은 DME 환자에 사용되는 충전식 안구 이식물이다. 쌀알만한 크기의 임플란트에서 6개월에 한 번씩 충전한 라니비주맙이 지속적으로 망막에 직접 방출되는 형태다. 

항VEGF 치료제에 반응을 보이지 않거나 최대 16주인 항VEGF 치료제 투여 간격보다 더 길게 가져가고 싶은 DME 환자군에서 시술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앞서 서스비모는 2021년 10월 습성 연령관련 황반변성(nAMD)에선 1년 2회 유지요법 형태로 FDA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한편 이번 승인은 당뇨병성 황반부종이 있는 634명을 대상으로 서스비모와 라니비주맙 투여군을 비교한 다기관, 무작위, 미국 기반 3상 임상인 Pagoda 연구를 기반으로 이뤄졌다.
 
연구에선 서스비모를  6개월마다 재충전하는 것과 라니비주맙 0.5mg을 유리체 내 주사하는 월별 투여군을 직접적으로 비교했다. 

추적관찰 기간인 60~64주간 참가자들의 서스비모 군의 최대 교정 시력 점수는 라니비주맙 투여군 대비 비열등성을 보였다. 
 

관련기사보기

한국로슈 바비스모, 망막정맥폐쇄성 황반부종 확대 승인

한국로슈 바비스모, 망막정맥폐쇄성 황반부종 확대 승인

한국로슈(대표이사 이자트 아젬)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바비스모가 1월 7일자로 망막정맥폐쇄성 황반부종으로 인한 시력손상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적응증을 확대 승인받았다고 8일 밝혔다. 망막정맥폐쇄는 기존 습성 연령관련 황반변성(nAMD), 당뇨병성 황반부종(DME)에 이은 바비스모의 세 번째 적응증이다. 망막정맥폐쇄는 망막혈관질환으로 인한 실명의 주요 원인 중 2위를 차지하고 있는 질환으로, 전세계 약 2800만명의 성인, 특히 60세 이상에게 주로 영향을 미치며 갑작스러운 시력 상실을 초래할 수 있다. 망막정맥폐쇄는 크게 주

바비스모, DME 장기 연구서 치료 지속성 등 확인

바비스모, DME 장기 연구서 치료 지속성 등 확인

한국로슈(대표이사 이자트 아젬)는 당뇨병성 황반부종(DME, diabetic macular edema) 환자를 대상으로 한 RHONE-X 연장 연구의 4년 장기 데이터가 17일 발표됐다고 22일 밝혔다. 해당 연구는 바비스모 허가 임상연구인 YOSEMITE 및 RHINE에 참여한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모든 1차 평가변수를 충족하면서, 바비스모(성분명 파리시맙)는 최장 4년 간 치료를 받은 당뇨병성 황반변성 환자에서 양호한 내약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번 장기 연구에서 확보된 탐색적 연구결과를 통해 바비스모는 당뇨

'바비스모', 이중 표적 기전으로 망막질환 새 패러다임

'바비스모', 이중 표적 기전으로 망막질환 새 패러다임

약력(略歷)은 사전적 의미로 '간략하게 적은 이력'을 뜻합니다. 하지만 이 글을 보시는 독자들께선 약력(藥力)으로도 해석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제약·바이오에 관심이 많으신 독자 여러분들이니까요. 실제 오랜 시간과 비용이 투입돼 개발된 약은 유효성·안전성, 임상연구, 마케팅 전략 등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힘(力)'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너의 약력(藥力)은' 코너에서는 스테디셀러 약부터 신약까지 국내외 시장에서 주목 받은 치료제들의 약력(略歷)을 쉽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영어로도 약력은

VEGF 억제제 시장서 적응증 확장 나서는 로슈 '바비스모'

VEGF 억제제 시장서 적응증 확장 나서는 로슈 '바비스모'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로슈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 '바비스모(파리시맙)'가 적응증 확장을 위한 잰걸음에 나서고 있다. 지난 10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세 번째 적응증인 망막정맥폐쇄성 황반부종에 의한 시력 손상치료를 획득한데 이어 이차성 맥락막 혈관신생 질환에 도전하면서다. 1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로슈는 병적 근시로 인한 이차성 맥락막 혈관신생 환자를 대상으로 파리시맙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글로벌 임상 3상을 진행한다. 이번 임상에서는 국내 7개 임상기관에서도 함께 실시되며, 노바티스 루센티스(라니

출시 2년 만에 글로벌 매출 Top 20 넘보는 '바비스모'

출시 2년 만에 글로벌 매출 Top 20 넘보는 '바비스모'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로슈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 '바비스모'(파리시맙)가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 대열에 합류할 전망이다. 출시 2년 만에 연매출 50억 달러 돌파가 유력시 되면서다. 연매출 50억 달러는 지난해 기준 글로벌에서 가장 많이 팔린 의약품 20위권 안팎이다. 1일 로슈 그룹 3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바비스모는 3분기 매출 17억8824만 달러를 기록, 직전 분기 대비 약 62.5% 성장했다. 특히 미국 내 매출 성장이 눈부시다. 바비스모는 미국 3분기 매출 14억6341만 달러를 기록 전년 동기 대비 449%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