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프릴바이오, 상장 2년 흑자 달성…기술수출 성과 자신감

룬드벡 마일스톤, 에보뮨 기술이전 계약금 매출 발생 
올해 상반기부터 기술이전 물질에 대한 임상 2상 등 진행
단계별 조건 충족 시 마일스톤 수령을 통한 매출 성장 기대

조해진 기자 (jhj@medipana.com)2025-02-08 05:56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에이프릴바이오(APRILBIO)가 상장 2년 만인 지난해에 영업흑자를 달성했다. 회사는 올해에도 기술수출 마일스톤 성과를 이어가며 성장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에이프릴바이오는 7일 국내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기업설명회(IR)를 개최하고, 한국거래소 상장공시시스템을 통해 IR 자료를 공개했다. 

IR 자료에 따르면, 에이프릴바이오는 상장 2년 만에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했다. 이는 기술수출이 만들어낸 성과다.

에이프릴바이오는 2021년 덴마크 제약사 '룬드벡'에 메인 신약후보물질인 'APB-A1'을 마일스톤 5400억원 규모로(계약금 234억원 포함, 로열티 별도) 기술이전했다. 이어 해당 물질이 지난해 12월 임상 1b상을 개시함에 따라 마일스톤 70억원을 수령했다. 

이와 함께 지난해에는 또 다른 신약후보물질로 임상 1상을 종료한 'APB-R3'를 미국 바이오텍 '에보뮨'에 6600억원 규모의 마일스톤(로열티 별도)으로 기술이전 계약을 맺었다. 이에 따라 계약금으로 207억원을 확보했다. 마일스톤과 계약금이 매출로 잡히면서 영업이익이 흑자로 전환된 것이다.

에이프릴바이오는 기술이전한 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환자 대상 임상이 올해 지속 추진됨에 따라 기업의 가치 향상에 대한 도약의 발판이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APB-A1'은 룬드벡이 다양한 적응증으로 확장하기 위해 공동개발을 진행할 글로벌 빅파마를 모색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APB-R3'는 에보뮨이 2월 아토피 환자에 대한 임상 2상을 실시할 예정이다.

룬드벡은 단계별 마일스톤 금액이 총 6257억원으로, 각 임상단계 성공, 판매 승인, 적응증 추가 등이 수령 가능 조건이다. 에보뮨의 경우는 각 임상단계 성공, 제품 규제 승인 등의 조건이 이뤄지면 1193억원에 달하는 마일스톤을 지급하는 것으로 계약돼 있다. 임상 진행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마일스톤을 통한 매출 상승도 긍정적인 상황이다.

한양증권 오병용 연구원은 지난해 10월 보고서를 통해 룬드벡과 에보뮨이 각각 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개발 빅파마를 찾거나, 개발을 완료해 빅파마에 매각하는 시나리오가 가능하다고 판단하며 에이프릴바이오의 향후 성장성을 호의적으로 평가한 바 있다.

오 연구원은 에이프릴바이오가 고유 플랫폼을 활용한 파이프라인 2개를 글로벌 기업에 기술수출한 이력과 누적마일스톤 약 1조2000억원, 약 900억원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점에 주목했다.

또한, 그동안 파트너사가 글로벌 빅파마가 아니라는 이유로 시장에서 상대적 소외를 받았으나, 시간이 지나면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오 연구원은 "임상 2상을 2-3개 진행하게 되면 임상단계 상승에 따른 점진적 기업가치 향상도 이뤄질 것이다. 또한 ADC, GLP-1등에 적용할 수 있는 SAFA 플랫폼이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낼 경우 기업가치 재평가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에이프릴바이오는 고형암 치료제 'APB-R5' 공동개발 파트너사이자 2대주주(지분 9.9%)였던 유한양행이 지난해 11월 지분을 매각하면서 시장가치가 하락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에 대해 에이프릴바이오는 IR 자료를 통해 '2025년 'APB-A1'과 'APB-R3'가 모두 환자 대상 임상에 돌입함에 따라 기업가치 상승은 이론적으로 가능하다'는 자신감을 내비쳤다. 

아울러 '유한양행 지분 매각으로 인한 충격은 단순 차익실현으로 회사 펀더멘털과 무관하다'면서 '유한양행과의 공동개발은 여전히 진행 중이며 임상 결과, 영업이익 흑자, 현금보유고, 마일스톤 수령 등을 볼 때 펀더멘털을 더 강화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에이프릴바이오는 임상에 진입하는 신약후보물질 라이센스 및 파이프라인 개발과 동시에 항체 플랫폼 'SAFA' 수출에도 기업 역량을 쏟을 예정이다. 

관련기사보기

에이프릴바이오, 2025년 'SAFA' L/O 기대…흑전 기세 이을까

에이프릴바이오, 2025년 'SAFA' L/O 기대…흑전 기세 이을까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신약개발 전문 벤처기업 에이프릴바이오가 자사 항체 플랫폼 'SAFA(anti-Serum Albumin Fab-Associated technology)'를 이용한 파이프라인 확보 및 기술수출을 넘어 SAFA를 바탕으로 한 공동연구개발·기술이전 등의 협의에 나설 계획이다. 상장 2년 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한 에이프릴바이오가 SAFA 플랫폼 기술이전을 통해 기세를 이어갈지 기대된다. 13일 에이프릴바이오 IR 자료에 따르면, 회사는 올해까지 맞춤형 SAFA 플랫폼 개발 및 특허등록을 마치고, 2

에이프릴바이오, 상장 2년만에 흑자…"본업 통한 흑자 큰 의미"

에이프릴바이오, 상장 2년만에 흑자…"본업 통한 흑자 큰 의미"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신약개발 전문 벤처기업 에이프릴바이오가 지난 6월 기술 수출 계약에 성공하며 상장 2년만에 흑자 전환했다. 하반기 예정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APB-A1' 후속 임상에서 마일스톤을 달성, 흑자 기세를 이어갈지 기대된다. 1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에이프릴바이오는 2분기 별도재무제표 기준 매출 207억원을 기록했다. 2분기 매출이 발생함에 따라 회사는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각각 182억원, 186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상반기로 보면 회사는 별도기준 매출액

주가 급등 에이프릴바이오, 글로벌 시장서 아토피 치료제 '박차'

주가 급등 에이프릴바이오, 글로벌 시장서 아토피 치료제 '박차'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임상 1상 단계에서 파이프라인(APB-R3)을 글로벌 제약사에 기술이전하는 데 성공한 에이프릴바이오가 주가 급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기술이전 소식에 상한가(30%)를 기록한 이후 기대감이 반영된 주가를 끌고 가는 모양새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개발사 에이프릴바이오는 지난 19일 종가 1만4980원을 기록한 이후, 다음날 1만9470원에 마감했다. 이날도 상승 주가를 유지하며 1만9500원에 장을 마쳤다. 기술수출로 인한 신약 개발 기대감이 반영된 상태를 유지하는 모습이다.

'APB-R3' 'SAFA 플랫폼' 경쟁력 확인…에이프릴, 가치 상승 기대

'APB-R3' 'SAFA 플랫폼' 경쟁력 확인…에이프릴, 가치 상승 기대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에이프릴바이오가 반감기를 연장하는 SAFA 플랫폼과 APB-R3 경쟁력을 입증하며 기술이전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최근 공개된 anti-IL-18 자가염증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APB-R3' 글로벌 임상 1상 탑라인 결과가 근거다. 플랫폼 기술 재확인으로 기업 가치가 상승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이동건 SK증권 애널리스트는 8일 리포트에서 APB-R3 1상 결과 공개 관련 현재 연내 기술이전을 목표로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와 논의 중인 R3 기술이전 가시성이 높아졌음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플랫폼

에이프릴바이오, 상장 2년만에 흑자 전환 기대

에이프릴바이오, 상장 2년만에 흑자 전환 기대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에이프릴바이오가 항체 플랫폼 기술 기반의 다양한 수익 모델 확보로 2024년 흑자 전환을 기대했다. 에이프릴바이오는 21일 국내 주요 투자자를 상대로 기업설명회(IR)를 개최하고, 항체 플랫폼을 통해 가질 수 있는 기회와 SAFA 플랫폼 원천기술을 활용한 파이프라인들을 소개했다. 앞서 에이프릴바이오는 지난 2022년 기술특례로 코스닥 상장에 성공했지만, 당초 예상됐던 기술이전이 지연되거나 조기종료 되는 등의 이유로 이렇다 할 실적을 거두지는 못했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의 재무현황을 살펴보면,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