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움바이오, 차별화된 R&D 전략 '스마트 바이오로직스' PR 영상 공개

기존 바이오의약품 대비 정교한 설계로 더욱 효과적이고 안전성 높아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4-17 09:39

티움바이오가 새로운 R&D 전략 '스마트 바이오로직스(Smart Biologics)'에 대한 홍보 영상을 17일 공개했다.

'스마트 바이오로직스'는 합성신약과 바이오신약 분야 모두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는 티움바이오만의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접근방식을 통해 개발된 혁신신약 및 그 개발전략을 통칭한다.

티움바이오는 홍보영상을 통해, 안정성과 지속성을 모두 개선한 미국 FDA 승인 혁신신약 '앱스틸라(Afstyla)'의 성공 경험을 시작으로 현재 글로벌 임상 1상 단계에 있는 'TU7710', 차세대 파이프라인 'NBX003', 'NBX005' 뿐만 아니라 다양한 페이로드를 탑재할 수 있는 '신규 ADC 플랫폼(Multiple payload cargo platform)' 개발까지 아우르는 '스마트 바이오로직스'에 대해 설명했다.

티움바이오 관계자는 "이번 홍보영상을 통해 티움바이오 연구진들의 신약개발 사명감과 새로운 R&D 전략을 담고자 했다"며 "스마트 바이오로직스를 통해 효과적인 치료제가 없어 고통받고 있는 희귀난치질환 환자들을 위한 티움바이오만의 혁신신약 개발 방향을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티움바이오 연구진은 타겟 단백질에 대한 높은 이해를 바탕으로 듀얼 체인 구조를 싱글체인으로 변경하고 체내에 오래 지속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기존 8인자 혈우병 치료제 대비 생산성과 반감기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앱스틸라(Afstyla)를 성공적으로 개발한 바 있다. 또한, 티움바이오의 신약 파이프라인 중 TU7710은 표준치료제로 사용되는 노보세븐(NoveSeven)의 짧은 반감기를 늘리기 위해 트렌스페린(Transferrin) 접합 기술을 활용했으며 NBX003, NBX005 프로그램은 약물 표적 특이성 강화 및 차별화된 모달리티(Modality) 활용을 통해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뛰어 넘는 스마트 바이오로직스로 개발 중이다.

차세대 파이프라인 NBX003 프로그램은 로슈(Roche)의 블록버스터 A형 혈우병 치료제인 헴리브라(Hemlibra, 2024년 매출 약 7조원)의 낮은 활성을 증가시킨 이중항체 치료제 개발 프로그램이다. 경쟁물질로는 Novo Nordisk 사의 Mim8이 있으며, 경쟁물질 대비 더 높은 활성으로 차별적 우위를 확보하는 전략으로 현재 유효물질(hit molecule)을 확보한 상태다.

NBX005 프로그램은 2024년 다국적 제약사 사노피(Sanofi)가 약 3조원에 인수한 신약후보물질 INBRX-101의 적응증인 희귀 호흡기 질환 알파-1 항트립신 결핍증(Alpha-1 antitrypsin deficiency, AATD)을 타겟질환으로 한다. INBRX-101을 비롯한 기존 치료제들은 결핍된 AAT를 보충하는 요법인데 반해 티움바이오는 NE(Neutrophil elastase) 및 표적 단백질을 저해하는 항체치료제로 개발하는 첫 시도를 하고 있다. NBX005의 anti-NE 항체는 시험관 내(In vitro) 및 생체 내(In vivo) 효능시험을 통해 경쟁물질 대비 우수한 효력과 차별성을 입증했고 개발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관련기사보기

티움바이오 파트너 한소제약, 메리골릭스 적응증 확대

티움바이오 파트너 한소제약, 메리골릭스 적응증 확대

티움바이오는 파트너사인 중국 한소제약(Hansoh Pharma)이 메리골릭스(Merigolix, HS-10518)의 임상 적응증을 추가했다고 20일 밝혔다. 한소제약은 이번에 ART(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에 대한 임상시험계획서(IND) 승인을 받으며 메리골릭스 개발 적응증을 확장했다. 보조생식술(ART)는 시험관아기시술(IVF, In vitro fertilization), 난자/배아 냉동보존술(Egg and embryo cryopreservation) 등 인공적 생식과정 유도 시술을 의미하며 난

티움바이오, 'JPM 2025' 참가…글로벌 파트너링 논의

티움바이오, 'JPM 2025' 참가…글로벌 파트너링 논의

희귀난치성질환 치료제 연구개발 전문기업인 티움바이오가 '제43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 공식초청 받아 참가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컨퍼런스는 오는 13일부터 16일까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되며, 제약바이오 업계의 최고 의사결정자와 투자자들이 모여 사업개발과 협력 방안을 논의하게 된다. 티움바이오는 신규 파트너링을 논의하고 있는 북미, 유럽 소재의 제약회사들과 대면 미팅을 진행하며 기존 파트너사와의 협력 또한 강화할 계획이다. 주요 파트너링 대상은 ▲지난해 유럽 임상 2a상을 성공적으로 마친 자궁내막증 및 자궁근종 치

티움바이오 "혈우병 치료신약 1a상 성공적 결과"

티움바이오 "혈우병 치료신약 1a상 성공적 결과"

희귀난치성질환 치료제 연구개발 전문기업인 티움바이오는 혈우병 치료신약 'TU7710'의 임상 1a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전날(23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임상 1a상은 정상인 남성 40명 대상으로 항응고제 와파린(Warfarin) 전처지 후 TU7710의 정맥 투여 시 안전성, 내약성 및 약동학(PK), 약력학(PD) 등을 확인한 위약대조 임상이었다. 임상에 참여한 40명의 피험자 중 중대한 이상사례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약물관련 부작용은 모두 Grade1 또는 Grade2 수준의 경미한 이상반응으로 높은 안전성 및 내약성을

티움바이오, 자궁내막증·자궁근종 치료제 '메리골릭스' 美 특허 추가

티움바이오, 자궁내막증·자궁근종 치료제 '메리골릭스' 美 특허 추가

티움바이오가 자궁내막증 및 자궁근종 치료제 '메리골릭스(Merigolix, TU2670)'에 대한 미국 특허를 추가했다고 5일 밝혔다. 본 특허는 메리골릭스의 염 및 결정형(Salt and crystalline form)과 이의 약학적 용도에 대한 특허로, 유럽, 일본 등에 이어 이번에 미국까지 특허 취득 지역을 확장하게 됐다. 티움바이오는 2016년 메리골릭스에 대한 미국, 유럽 등 지역 물질특허를 취득한 이후, 지속 후속 특허를 출원하며 특허기간을 연장하는 에버그리닝(Evergreening) 전략으로 2039년까지 글로벌 특허

티움바이오, 호흡기 질환 신규 항체치료제 'NBX005' 특허 출원

티움바이오, 호흡기 질환 신규 항체치료제 'NBX005' 특허 출원

희귀난치성질환 치료제 연구개발 전문기업 티움바이오가 희귀 호흡기 질환 치료제 프로젝트 'NBX005'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고 5일 밝혔다. 티움바이오가 이번에 출원한 특허는 '항-NE 항체 및 이를 포함하는 NE-과활성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Anti-NE antibody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hyperactivation related diseases comprising the same)'이다. 본 특허는 NBX005 과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