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찬병원, 로봇수술기로 고난도 부분치환술 정확도↑, 시간↓

이정수 기자 (leejs@medipana.com)2025-04-17 17:07

힘찬병원 이수찬 대표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이 로봇 수술기를 이용한  무릎 부분치환술을 시행하고 있다.
힘찬병원은 무릎 부분치환술의 로봇 수술과 일반 수술을 비교 분석한 결과, 로봇 수술로 출혈량을 줄이고, 수술 정확도를 높이는 동시에 수술 시간도 단축되는 것이 확인됐다고 17일 밝혔다.

무릎 부분치환술은 무릎 내측 연골이 부분적으로 손상됐을 때 시행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관절의 5분의 2 정도만 인공관절로 바꾸고 정상적인 관절은 최대한 살려 보존한다.

정상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장점이 많지만 수술의 난도가 높아 그동안 국내에서 보편적으로 시행되고 있지는 않았다. 절개 부위가 작아 시야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인공관절의 삽입 위치와 각도, 인대의 균형을 맞추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로봇 수술기를 활용하는 병원들이 점차 늘고 있는 가운데 힘찬병원 관절의학연구소가 로봇 부분치환술의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를 진행했다.

무릎 부분치환술 수술환자 중 일반 수술과 로봇 수술 환자 각각 50명을 대상으로 평균 수술시간을 조사해보니 일반 수술은 50.3분, 로봇 수술은 47분으로 3.3분이 줄었다. 수술 시간이 단축되면 여러 가지 변수가 적어지면서 감염이나 합병증의 위험도 낮아진다. 일반적으로 집도의의 숙련도가 높고, 수술팀의 팀워크가 좋을수록 수술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출혈량에서는 일반 수술 315.3ml, 로봇 수술 222.6ml로 약 30%가량 줄었다. 출혈 역시 감염이나 합병증 발생의 주요 요인이 된다.

환자가 선 상태에서 무릎 바깥쪽에서 미는 외반력에 따라 안쪽 관절 간격이 얼마나 벌어지는지(JLCA)를 측정하는 외반 부하 검사는 각도가 작을수록 무릎 관절이 더 안정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조사 결과, 로봇 수술은 2.1도, 일반 수술은 3.2도로 로봇 수술 후 무릎 관절이 더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리 축도 로봇 수술이 더 일자에 가까웠다. 로봇 수술은 2.7도, 일반 수술은 3.6도로 로봇 수술이 0.9도 더 바르게 교정됐다. 보행거리, 계단 이용 정도, 지팡이나 목발 사용 여부 등으로 관절 기능을 평가하는 슬관절기능점수(KSS Function Score)도 로봇 수술(89.6점)이 일반 수술(80.1점)보다 더 높았다.

힘찬병원 이수찬 대표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현재까지 로봇 수술기를 이용해 590건이 넘는 무릎 부분치환술을 시행하며 지속적으로 임상연구를 수행한 결과, 수술 시간, 출혈량, 무릎관절의 안정성, 교정각도 등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며 "특히 국내 인공관절 수술로봇 시장에서 선두를 다투고 있는 마코와 로사를 이용한 무릎 인공관절 수술에 대해 국내 최다 수술 병원으로 인정받은 만큼 로봇 수술에 대한 높은 숙련도를 토대로 부분치환술의 성공률도 더욱 높여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단, 부분치환술은 무릎 연골 내측만 손상된 경우, 십자인대의 기능이 정상이고 외측 부위에 통증이 없는 경우, O자형 다리 변형이 10도 이내인 경우에만 고려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 검사와 전문의 상담이 꼭 필요하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