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탁금지법 영향?‥제약기업들, 판관비율 소폭 감소

65개 상장사, 평균 28.9%로 1.1%p↘…32곳 줄고, 30곳 늘어

최봉선 기자 (cbs@medipana.com)2017-03-13 06:18

[상장제약기업 2016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③판매관리비율
 
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 영향인가? 제약기업들의 판매관리비율이 지난해 소폭 줄었다.
 
메디파나뉴스가 12월말 결산 65개 상장제약기업들(일부 바이오와 11월 결산 현대약품 포함)의 개별재무제표를 기준으로 분석한 `2016년도 판매관리비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들 기업이 지난해 올린 총매출 13조 5,612억 원 중 판관비로 3조 9,164억원을 투입해 판관비율은 평균 28.9%로 집계됐다.
 
이는 2015년도 30%에 비해 1.1%p 줄어든 비율이다. 집계 대상 65개사 중 판관비율이 줄어든 기업은 32개사, 늘어난 기업은 30개사로 비슷한 숫자를 보였고, 3개사는 같은 비율을 유지했다. 
 
기업별 매출액 대비 판매관리비 비율을 보면 KPX생명과학 5.4%로 가장 낮았다. 동아제약그룹 계열 에스티팜 7.6%, JW생명과학 8.9%, 하이텍팜 9.6%, 슈넬생명과학 9.8% 등 5개사가 10% 미만의 비율을 보였다.
 
이어 화일약품 11%, 대봉엘에스 11.1%, 코오롱생명과학 12.1%, 종근당바이오 13.1%, 경보제약 15.3%, 녹십자엠에스와 대한약품 각각 17.7%, 유한양행 17.7% 등으로 8개사가 10%대를, 제일약품 20.2%, 에스텍파마 20.3%, 휴메딕스 20.8% 순으로 집계됐다.
 
낮은 비율을 보인 이들 기업은 원제의약품이 원료의약품이나 수액제 등 특정 분야에 주력하고 있어 여타제약사들에 비해 판매비용이 상대적으로 적게 소요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직접 생산·판매하는 제품매출이 아닌 남의 제품을 판매, 즉 상품매출 비중이 높은 기업들도 판관비율은 낮다. 일반적으로 상품매출 비중이 높으면 판관비율이 낮아지고, 제품매출 비중이 높으면 판관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외 녹십자 22.9%, CTC바이오 23.2%, 씨트리 24.1%, 종근당 24.8%, 신일제약 24.9%, 일양약품 25.4%, 녹십자셀 26.8%, 한미약품 27.3%, 광동제약 28.4%, 삼성제약 28.6% 등 26개사가 전체 평균이하의 비율을 보였다. 
 

고려제약 30.0%, 보령제약 30.5%, DHP코리아 30.7%, 한독 30.8%, JW중외제약 32.8%, 동화약품 32.9%, 부광약품 33.3%, 일성신약 33.4%, 환인제약 33.7%, 영진약품 34.1%, 동아에스티 34.2%, 비씨월드제약 34.9%, 한올바이오파마 35.2%, 파마리서치 35.6%, 삼진제약 36.5%, 삼천당제약 36.8%, 대웅제약 37.0%, 현대약품 37.3%, 안국약품 37.8%, 삼일제약 38.6%, 바이넥스 38.8%, 신풍제약 39.2%, 유나이티드제약 39.4% 등 가장 많은 23개사가 30%대의 판관비율이 투입됐다.
 
반면 국제약품 40.5%, 경동제약 40.9%, 대화제약 41.4%, 파마셀 43.4%, 명문제약 43.8%, 동국제약 44.3%, 대원제약 44.4%, 이연제약 45%, 대한뉴팜 45.2%, 조아제약 46.8%, 삼아제약 46.9%, 우리들제약 47%, 서울제약 47.2%, JW신약 48.7%, 동성제약 49.4% 등 15개사가 40%대를, 진양제약은 가장 높은 75.4% 등이다. 
 
판관비하면 왠지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한 탓에 이같은 제약업계의 높은 판관비율 내에 `리베이트`가 숨어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마치 쓰지 말아야할 곳에 쓰고 있다는 인상을 받게 한다.
 
그러나 판매관리비(판매비와 일반관리비)는 기업회계기준상 상품과 제품 및 용역의 판매활동 또는 기업의 전반적인 관리유지를 위해 부담하는 비용이다. 즉, 기업 활동을 위해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영업비용을 의미한다.
 
판관비는 제무제표상 흔히 영업비용으로 일컫는 판매촉진비, 접대비와 함께 인건비, 광고선전비, 해외시장개척비, 경상연구개발비(R&D) 등 기업활동에 필요한 모든 관리 비용이 포함하고 있어 영업비가 판관비 전체를 대변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은행이 매년 발표하고 있는 `기업 경영분석` 자료에 따르면 2009년도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은 평균 36.59%, 2년 뒤인 2011년에 평균 34.23%로 집계되는 등 매년 그 비율이 낮아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 제조업종 전체 판관비는 평균 10% 대에 머물고 있다는 점에서 제약업종은 여전히 높은 편이라는 지적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들은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의약품이라는 점에서 각종 기준과 규제를 준수하기 위한 제조 및 품질관리에 적지 않은 관리비가 기본적으로 투입되며, 특히 신약개발을 위한 연구개발비가 여기에 포함되는 등 제약산업에 깔려 특수성 등으로 타산업에 비해 높아질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메디파나뉴스가 그동안 집계해온 국내 제약업계의 판관비 현황을 보면 의약분업 원년인 2000년 대략 35% 수준에서 분업 특수를 누리던 2001년 33%로 하락됐으나 분업 거품이 빠지기 시작한 2002년 34%로 상승, 2003년부터 분업이전 수준으로 증가하는 추세속에 2006년 첫 40%까지 늘어나기도 했다.
 
이는 분업특수가 소멸되면서 제약사별로 제품 처방 경쟁이 치열해지고, 영업인력 확충에 따른 비용증가 요인이 발생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2009년 8월부터 시행된 `리베이트 약가연동제` 이후 접대성 지출을 줄여왔고, 2010년 11월 28일부터 발효된 `리베이트 쌍벌제` 영향으로 판관비에 대한 군살빼기로 이어져 왔다.
 
특히 지난해 9월말부터 시행된 청탁금지법이 지난해에는 1분기(10~12월)인 3개월 정도의 영향을 받았으나 올해부터는 본격적으로 접대비와 판촉비 등이 줄면서 전체 판관비율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관련기사보기

"쓸데는 쓴다"‥상장제약기업, 판촉비 업체당 51억

"쓸데는 쓴다"‥상장제약기업, 판촉비 업체당 51억

[상장제약기업 2016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⑫판매촉진비 제약기업들의 판매관리비는 전반적으로 줄고 있으나 판관비 항목에 포함된 `판매촉진비`(sales promotion cost)에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제품 출시나 판매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소요될 수밖에 없는 일종의 투자개념 비용라는 점에서 매출증대를 위해 줄이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메디파나뉴스가 74개 상장제약·바이오기업 중 판매관리비 계정에 판매촉진비(`판매비`, `업무촉진비` 포함) 항목이 있는 40개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2016년도 판촉비 현황`

71개 비상장제약사, 판관비율 33.7%‥ 파마킹 76%

71개 비상장제약사, 판관비율 33.7%‥ 파마킹 76%

[비상장 제약기업 2016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④판매관리비율 비상장제약사들 역시 김영란법(청탁금지법) 영향인 듯 판매관리비율이 소폭 감소했다. 그러나 상장사와 다국적 제약사들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71개 비상장제약기업들의 2016년도 감사보고서를 토대로 분석한 판매관리비율 자료에 따르면 이들 기업이 지난해 올린 전체 매출액 4조 6,079억원 중 판매관리비로 1조 5,520억원이 투입돼 평균 판관비율은 33.7%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 34%에 비해 0.3%p 감소한 비율로, 65개 상장사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