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사 울고 외자사 웃고"…CRO 기업 작년 실적 희비

국내 주요 CRO 기업, 영업손실 700억원대로 수익성 악화  
투자절벽·의정갈등 장기화 이중고…"업계 재편 빨라질 것"

최성훈 기자 (csh@medipana.com)2025-04-19 05:59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지난해 임상시험수탁업체(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CRO) 기업들의 실적 희비가 엇갈렸다. 

국내 CRO 기업들은 수익성 측면에서 악화된 반면, 다국적 CRO 기업들은 매출과 수익에서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18일 나우팜컨설팅 집계 자료를 메디파나뉴스가 재가공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사와 다국적 회사 간 수익성은 큰 차이를 보였다. 

국내 주요 CRO 기업들은 지난해 매출은 4414억원으로 전기(4019억원) 대비 약 9.8% 늘었지만, 수익성은 악화됐다. 

2023년 영업손실 468억원에서 작년 719억원으로 적자폭을 더 키웠다. 순손실도 2023년 326억원에서 작년 727억원으로 약 400억 가량 늘었다. 

반면 다국적 주요 CRO 기업의 지난해 매출은 2935억원으로 전기(2451억원) 대비 약 19.7% 증가했다. 

영업이익도 더욱 확대됐다. 2023년 91억원에서 작년 219억원으로 140.6% 증가했다. 순이익은 2023년 87억원에서 작년 234억원으로 150억원 가량 늘었다.

의정 갈등 장기화에도 글로벌 임상시험은 비교적 잘 순항됐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비임상 CRO 업체의 수익성은 더욱 악화됐다. 디티앤씨알오나 HLB바이오스텝, 바이오톡스텍 등은 전기 대비 수익성을 전혀 개선하지 못했다. 

가장 큰 원인으로는 바이오텍 투자절벽이 꼽힌다. 벤처캐피털 투자 분석 전문기업 더브이씨(The VC)에 따르면 국내 바이오·의료 분야에 대한 벤처투자액(VC)은 2021년 3조7358억원을 기점으로 지속 하락하고 있다. 

더욱이 2023년 들어서는 1조496억원으로 3분의1 토막 수준인데, 이러한 기조가 작년에도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실제 작년 국내 바이오·의료 분야 벤처투자액은 1조2934억원을 기록했다. 

국내 CRO 기업 한 임원은 "국내 바이오 벤처 기업에 대한 투자액이 줄다 보니 해당 기업들이 임상시험을 진행할 현금이 없다"면서 "이러한 여파가 국내 CRO 업체에도 미친 것"이라고 말했다. 

의정 갈등 장기화도 하나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인해 임상 교수들이 진료에 매달리다 보니 그 여파가 임상시험에도 악영향을 미친 셈이다. 

이 임원은 "국내 CRO 기업 매출 약 절반을 차지하는 국내제약사들의 임상 의뢰도 줄어든 데다 의정 갈등 장기화로 인한 환자 모집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그런 만큼 국내 CRO 업계가 재편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2020년대 초 들어 제약·바이오에 대한 투자액이 대거 유입되면서 임상시험이 활발했지만, 이제는 정말 될 것 같은 파이프라인에만 집중 투자한다는 게 최근 트렌드란 이유에서다. 

또 다른 국내 CRO 기업 관계자는 "2020년, 2021년부터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을 표방한 바이오벤처가 많이 생기면서 VC 업계의 '묻지마 투자'가 많았던 것도 사실"이라며 "이에 규모가 작은 CRO 업체도 많이 생겨났지만, 현재 바이오텍 업계 트렌드는 정말 가능성 있는 후보물질 한 두 가지만 꼽아 임상을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렇다 보니 비용을 더 집행하더라도 임상시험 노하우가 풍부한 다국적 CRO 기업들에 의뢰를 하는 경우도 점차 늘고 있다"면서 "이대로 가다가는 국내 CRO 업계도 보다 인프라를 갖춘 상위기업 위주로 재편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관련기사보기

드림씨아이에스 "신약개발에서 글로벌 시장 니즈 이르는 CRO 될 것"

드림씨아이에스 "신약개발에서 글로벌 시장 니즈 이르는 CRO 될 것"

[메디파나뉴스 = 정윤식 기자] 유정희 대표는 드림씨아이에스와 메디팁이 향후 신약개발에서 글로벌 시장 니즈에 이르는 CRO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8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혁신신약 개발을 위한 허가·임상 연계 전략 심포지엄'이 진행됐다. 해당 심포지엄은 드림씨아이에스와 메디팁이 공동으로 개최했으며, 신약개발 활성화를 위한 허가와 임상시험 연계 논의 및 최신 지견을 나누기 위해 기획됐다. 이번 행사에서는 유정희 드림씨아이에스-메디팁 대표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드림씨아이에스CIS-메디팁 One-Stop 전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CRO 기관인증·컨설팅 지원' 실시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CRO 기관인증·컨설팅 지원' 실시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이 국내 임상시험수탁기관(CRO)의 임상시험 수행 역량 강화와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 2025년 'CRO 기관인증 및 컨설팅 지원사업'을 실시한다고 11일 밝혔다. 기관인증 및 컨설팅은 국내 CRO 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국내·외 의약품 임상시험 관리기준(ICH-GCP, KGCP) 등에 따라 임상시험을 관리하고 수행하는지 점검하며, 전문적인 조언 및 전략화가 필요한 분야의 전문가를 연계 지원하는 사업이다. 기관인증은 혁신형 인증과 강소형 인증으로 구분되며, CRO의 핵심 서비스 4개

상장 CRO 4개사 모두 지난해 매출 성장…신규 수주 등 영향

상장 CRO 4개사 모두 지난해 매출 성장…신규 수주 등 영향

[메디파나뉴스 = 허성규 기자] 지난해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CRO 기업 4개사가 모두 수주 증가에 따른 매출 상승을 거둔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디티앤씨알오, 드림씨아이에스 등은 영업이익도 증가했으나, 씨엔알리서치, 에이디엠코리아는 매출 증가에도 영업이익은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25일 업계 및 한국거래소 등에 따르면 국내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임상시험 수탁기관(CRO: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4개사의 매출이 전년 대비 약 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CRO 기업은 코로나19 등의 영향

한국, 글로벌 임상시험 순위 6위로 하락‥서울은 도시 순위 2위

한국, 글로벌 임상시험 순위 6위로 하락‥서울은 도시 순위 2위

지난해 한국이 수행한 글로벌 임상시험 건수가 감소하면서 세계 순위가 6위로 하락했다. 서울은 도시 기준 순위에서 1위 자리를 베이징에 내주고 2위를 기록했다.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은 미국 국립보건원(NIH)이 운영하는 임상시험 정보 등록사이트 ClinicalTrials.gov에 2024년 한 해 동안 새로 등록된 제약사 주도 의약품 임상시험 현황을 분석해 27일 발표했다.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적으로 수행된 임상시험은 총 4667건으로 전년 대비 4.4% 증가했다. 하지만 한국은 임상시험 건수와 점유율이 모두 줄어 전체의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