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우리나라 4050 여성에서 폐경기 증상 관리가 중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폐경 전문가는 국내 폐경 치료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점을 지적하며, 호르몬 치료만 적절히 받는다면 건강 수명을 늘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11일 서울성모병원 산부인과 김미란 교수(대한폐경학회 회장)는 한국오가논이 주최한 'Her Health(허헬스)' 미디어 세션에 나와 이같이 밝혔다.
김 교수에 따르면 월경이 불규칙해지는 폐경 이행기를 거쳐 1년 동안 월경이 완전히 중단됐을 때 폐경으로 진단된다.
현재 국내 여성 폐경 연령은 약 50세로, 전체 여성 10명 중 4명이 폐경기를 맞고 있다. 문제는 관련 여성 10명 중 약 3명(35.9%)만이 심한 폐경 증상으로 인해 병원을 찾을 정도로 치료 의지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하지만 폐경 증상이 지속되면 여성호르몬 변화로 인해서 골다공증이나 심혈관 질환 등 삶과 직결되는 위험에 노출된다.
김 교수는 "폐경 여성 2~3명 중 1명은 골다공증을 경험하는데, 이는 폐경이 되면 골밀도가 1년에 1.5%씩 감소하기 때문"이라면서 "또한 젊은 여성은 에스트로겐 분비로 인해 심혈관 질환 예방효과를 보지만, 폐경기 여성은 에스트로겐 수치 감소로 더 노출되기 쉽다"고 말했다.
따라서 대한폐경학회도 폐경 증상이 나타날 경우 호르몬 치료를 즉시 시행할 것을 권고한다고 했다.
호르몬 치료는 대표적으로 조직 선택적 에스트로겐 활성 조절제(STEAR)가 쓰인다. STEAR는 폐경과 연관된 주요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토겐, 안드로겐의 효과를 모두 나타낸다. 유방과 자궁내막에선 에스트로겐 작용을 억제하면서도 뼈와 생식기 등에선 에스트로겐 효과를 보여 기존 호르몬 치료제보다 유방통과 질 출혈 빈도가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 교수는 특히 골밀도가 낮다면, 호르몬 치료를 바로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폐경 호르몬 치료는 부족해진 에스트로겐 호르몬을 증가시켜 골다공증 치료 및 예방을 79%(5.51점/7점) 개선시키기 때문이다.
폐경 호르몬 치료에 따른 암 발생도 우려할 수준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국내 폐경 질환 인식 및 치료 실태조사 결과에서 폐경 여성 75.4%는 폐경 호르몬 요법 시 가장 우려하는 점으로 '암 발생 위험'을 꼽은 바 있다.
이에 대해 김 교수는 "WHI(Women's Health Initiative) 스터디 결과, 폐경 호르몬 치료와 유방암 발생 상관관계는 연간 1만명 중 8명꼴로 발생한다"라며 "호르몬 치료에 대한 걱정으로 폐경 치료 이점을 놓쳐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폐경 호르몬 치료는 60세 미만 또는 폐경 후 10년 이내까지 받는 게 좋다고 했다. 60세 이후부턴 단계적으로 호르몬을 감량해 중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다만 조기 난소부전(폐경)의 경우, 골다공증과 관상동맥질환이 조기 발생할 수 있으므로 최소 평균적인 자연폐경 나이까지 호르몬요법을 지속해야 한다고 했다.
또 국산 호르몬제에 대한 약가 혜택도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건복지부가 성분 함량에 따라 약가를 조정하다 보니 저용량 호르몬제는 채산성이 안 맞아 시장에서 사라졌다는 이유에서다.
김 교수는 "국산 에스트로겐 약 중에 0.625mg이나 0.45mgm 0.3mg 짜리도 있었지만, 약가를 너무 인하하다 보니 생산을 중단했다"면서 "사실 저용량이 더 만들기 어려운데 정부는 성분 함량에 따라 약가를 조정한다. 의료진 입장에선 저용량 호르몬 요법을 하고 싶은데도 하지 못하는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에선 에스트로겐 패치 등 다양한 제형과 용량이 나오는데 우리나라는 있던 약도 공급을 안 해주는 상황이 됐다"면서 "환자들은 맞춤형 호르몬 치료가 중요한데 예전보다 치료제 선택의 폭이 훨씬 줄어들었다"고 부연했다.
마지막으로 김 교수는 '폐경' 대신 '완경'이라는 표현 사용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폐경은 '학술용어'인 만큼, 이를 부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선 안 된다는 이유에서다.
김 교수는 "폐경이라고 하면 부정적어서 완경이란 말을 쓰자고 하는데 폐경이 왜 나쁜 말인가. 아카데믹한 용어기 때문에 거부감을 안 가졌으면 좋겠다. 다른 말로 불러야 한다라는 주장에 대해선 공감을 못 하겠다"고 말했다.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