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2월 의약품 수입 ↑…관세 부과 우려 속 재고 확보 움직임

전체 수입 감소 속 의약품 수입만 증가…전년比 223억달러↑
트럼프, 의약품 관세 검토 시사…제약업계 '선제 대응' 돌입
관세 부과 시기·범위 불투명…글로벌 공급망 긴장감 고조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4-07 11:50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미국의 2월 의약품 제제 수입이 전월 대비 12억 달러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상품 수입이 소폭 감소한 가운데서도 의약품 수입은 오히려 증가하며, 수입 비중 역시 확대됐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의약품에 대한 수입 관세 부과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제약사들이 선제적인 재고 확보에 나선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7일 한국바이오협회는 지난 3일(현지시간) 미국 인구조사국과 경제분석국이 발표한 '2025년 2월 미국 상품 및 서비스 무역 실적'을 인용, 2월 미국의 전체 상품 수입은 3264억 달러로 전월 대비 6억 달러(0.18%) 감소한 반면, 의약품 제제(Pharmaceutical Preparations) 수입은 295억 달러로 전월보다 12억2000만 달러(4.31%)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의약품 수입이 전체 상품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월 8.65%에서 2월 9.03%로 상승했다.

2025년 1~2월 누적 의약품 제제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223억 달러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상품 수입 역시 6534억 달러로 전년 동기(5259억 달러) 대비 1275억 달러 증가해 수입 확대세를 보였다.

무역수지는 여전히 적자 기조를 이어갔다. 2월 미국의 상품 및 서비스 무역 적자는 1227억 달러로 집계됐으며, 상품 부문에서 1470억 달러 적자를 기록한 반면 서비스 부문은 243억 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국가별로는 유럽연합(EU), 중국, 스위스, 멕시코, 아일랜드, 베트남 순으로 적자 폭이 컸으며, 한국은 13번째였다.

업계는 트럼프 대통령의 최근 발언에 주목하고 있다. 트럼프는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검토 중임을 시사하며, 관세 대상 품목에 의약품을 포함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는 기존의 상호 관세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던 의약품에도 별도 품목 관세가 적용될 가능성을 의미한다.

한국바이오협회는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의약품에 대해서도 가까운 미래에 관세를 부과하고자 검토하고 있다고 발언한 것으로 볼 때, 트럼프 행정부도 의약품 관세가 국민 보건 및 공급망에 미칠 영향을 감안해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미국 및 해외 제약사들은 관세 부과 전 재고 확보를 서두르는 모습이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율 수준, 적용 시기, 대상 범위(원료 또는 완제), 국가별 차등 부과 여부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은 가운데, 제약 업계는 미국의 정책 변화를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한편, 미국 정부는 2025년 3월 무역 실적을 오는 5월 6일 발표할 예정이다.
 

관련기사보기

美, 1월 무역 실적 발표…의약품 제제 수입 급증

美, 1월 무역 실적 발표…의약품 제제 수입 급증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 관세 부과 계획을 밝힌 가운데, 지난 1월 의약품 제제 수입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및 해외 기업들이 관세 부과 전 단기적으로 대규모 재고를 확보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인 것이 영향을 미쳤다. 미국 인구조사국과 경제분석국은 6일(현지시간) 2025년 1월 미국의 상품 및 서비스 무역 실적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1월 미국의 상품 및 서비스 적자는 전월(2024년 12월) 981억달러에서 333억달러 증가한 1314억달러를 기록했다. 이 중 상품 무역 적자는 1568억

美 새 관세 정책 앞두고 글로벌 제약업계 '단계적 적용' 로비전

美 새 관세 정책 앞두고 글로벌 제약업계 '단계적 적용' 로비전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상호 관세 부과 계획을 예고한 가운데, 글로벌 제약업계가 의약품에 대한 '단계적 관세(phased tariff)' 적용을 요구하며 본격적인 로비에 나섰다. 2일 한국바이오협회는 지난 1일 로이터통신 보도를 인용, 글로벌 제약사들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수입 의약품에 대해 갑작스러운 고율 관세가 아닌 단계적 인상을 적용해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관세로 인한 비용 부담을 완화하고, 미국 내 생산기지 구축을 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한국바이오협회, 美 관세에 "업계 의견 수렴 및 정부 대응 협력체계 가동"

한국바이오협회, 美 관세에 "업계 의견 수렴 및 정부 대응 협력체계 가동"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미국 정부가 한국산 제품에 대해 25%의 상호관세 부과를 공식 발표하면서, 국내 수출 기업들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 조치에서 의약품은 일단 제외됐으나, 별도로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가 예고돼 있어 바이오 업계의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한국바이오협회는 3일 "우리 정부는 지난 2월 18일부터 '관세 대응 119' 통합창구를 운영 중"이라며 "한-미 직수출뿐만 아니라 제3국 경유 수출제품의 관세 적용 여부까지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 시 국내 컨설팅 및 관세 대응 바우처 등도 연계 제공받

트럼프 관세, 의약품 면제 아니다?…美-유럽 관세분쟁 우려 고조

트럼프 관세, 의약품 면제 아니다?…美-유럽 관세분쟁 우려 고조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서 의약품도 예외가 아닐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미국과 유럽 간 관세분쟁에 대한 우려도 함께 고조되고 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21일 브리핑 자료에서 로이터통신 등 현지 매체 보도 등을 인용해 그동안 환자에게 해를 끼칠 가능성으로 무역전쟁에서 제외됐던 의약품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서는 면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완제 및 원료 의약품을 포함해 중국산 상품에 관세를 인상했다. 또한 지난 주 아일랜드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