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 없는 간암…40대 이상 고위험군 정기 검진 필수

이정수 기자 (leejs@medipana.com)2025-04-16 10:29

'침묵의 장기'로 불리는 간은 질환이 생겨도 뚜렷한 증상이 없어 발견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간암 역시 초기 증상이 거의 없거나 미미해 정기적인 암 검진과 진찰이 필요하다. 간암의 주 증상으로는 전신쇠약, 오른쪽 윗배 통증, 황달 등이 있지만, 해당 증상은 질환이 상당히 진행된 이후에야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간암 환자 수는 2019년 7만6487명, 2021년 7만8196명에서 2023년 8만1164명으로 5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간암은 50~60대에서 많이 발생한다. 2023년 연령구간별 환자를 보면, 40~60대가 전체 환자의 55%를 차지한다. 중장년층이 간암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는 만큼 정기적인 검진이 강조된다.

간은 신체에서 가장 큰 장기로, 해독 작용을 포함해 체내 물질을 처리하고 저장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간을 통해 들어온 영양분은 간에서 가공돼 우리 몸에 필요한 물질이 되고, 인체에 해로운 성분은 대사돼 배출된다. 또한 소화작용을 돕는 담즙산을 만들고 면역세포를 통해 우리 몸에 들어오는 세균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하지만 이러한 간에 지속적인 손상이 누적되면 간세포의 변형을 초래해 간암의 위험성이 커진다. 

간암 발생의 위험 인자로는 만성 B형 또는 C형 간염, 간경변증, 알코올성 간질환, 비만이나 당뇨와 관련된 대사이상 지방간질환 등이다. 특히 만성 B형 간염바이러스 보유자는 제대로 치료받지 않을 경우 간염이나 간경화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으며 간암은 간경화가 심할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잘 발생한다. 따라서 간암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간염바이러스의 감염을 예방하고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려대 구로병원 간센터 이영선 교수는 "B형간염 예방접종은 필수로 진행하는 것이 좋고, 만성 바이러스 간염이 있다면 치료가 중요하다"며 "간 질환 예방을 위해 평소 음주 관리와 절제된 식사 습관 및 체중관리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간암은 초기 증상이 없는 만큼 완치가 가능한 초기에 발견하기 위해 40세 이상의 바이러스 간염 또는 간경변증 환자들은 최소 6개월에 한 번씩 초음파와 간암표지자 검사를 통한 국가 암검진을 권장한다"고 강조했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