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활동 현금 유입, 종근당 773억 `최다`…동국제약 695억

75개 상장제약사, 6.4% 증가한 1조 1,938억 원…42개사 늘고, 33개사 줄어

김창원 기자 (kimcw@medipana.com)2020-04-10 06:08

[상장제약기업 2019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⑩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
 

2019년 상장제약사들의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이 증가 추세를 유지했다. 증가폭이 크지는 않았지만 다수의 기업에서 증가추세를 보여 양호한 모습을 나타냈다.
 
메디파나뉴스가 75개 상장제약기업의 2019년도 현금흐름표(연결 기준) 가운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CFO, Cash From Operations)'을 분석한 결과 2018년 1조1223억 원에서 2019년 1조1938억 원으로 6.4% 증가했다.
 
이들 기업의 재무제표상 평균 영업이익은 2.8% 증가, 순이익은 약 4.0% 감소했는데, 실제 영업활동으로 유입된 현금 증가폭은 이보다 컸던 것이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이란 기업이 제품 판매 등을 통해 실제 벌어들인 현금만을 계산한 것을 의미하며, 기업에 따라 장부상(손익계산서)에 기재된 금액과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 유입에는 매출, 이익, 예금이자, 배당수입 등이 있고, 유출은 매입, 대출이자, 법인세 등이 포함된다.
 
집계 대상 75개사 중 절반이 넘는 42개사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증가했고, 33개사는 감소했다. 이 가운데 지난해 유입자금이 늘어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전환한 기업이 12개사였고, 반대로 플러스에서 마이너스로 전환한 기업은 8개사, 마이너스가 지속된 기업은 4개사였다.
 
현금흐름이 증가하면서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전환한 기업은 경보제약과 안국약품, 한올바이오파마, 동화약품, 알리코제약, 삼일제약, 삼성바이오로직스, 동구바이오제약, 서울제약, CTC바이오, 메디포럼제약, 테라젠이텍스 등이다.
 
반면 대화제약과 경동제약, 명문제약, 신신제약, 동성제약, 이연제약, 부광약품, 에스티팜은 플러스에서 마이너스로 전환했고, 삼성제약, 한국유니온제약, 경남제약, 코오롱생명과학은 마이너스가 지속됐다.
 

기업별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을 살펴보면 종근당이 773억 원으로 가장 많았다. 종근당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전년 대비 81.3% 증가한 수준으로, 지난해 현금흐름이 크게 개선돼 1위에 이름을 올리게 됐다.
 
이어 동국제약이 109.2% 증가한 695억 원을 기록했으며, 지난해 1위였던 유한양행은 29.4% 감소한 660억 원으로 3위를 기록했다.
 
현금유입 500억 원대 기업으로는 대웅제약이 576억 원, 동아에스티 563억 원, JW중외제약 555억 원으로 3개사가 있었으며, 보령제약 470억 원, 휴온스 421억 원, 일동제약 414억 원, GC녹십자 403억 원 등이 400억 원대로 집계됐다.
 
이어 유나이티드제약 382억 원, 일양약품 362억 원, 대한약품 353억 원, 하나제약 317억 원, 대원제약 310억 원, 삼천당제약 306억 원, 광동제약 293억 원, 제일약품 290억 원, 셀트리온제약 279억 원, 환인제약 247억 원, JW생명과학 243억 원, 경보제약 237억 원, 삼진제약 236억 원, 대한뉴팜 229억 원, 안국약품 221억 원, 한올바이오파마 205억 원 순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신풍제약 194억 원, 파마리서치프로덕트 193억 원, 종근당바이오 170억 원, DHP코리아 168억 원, 휴메딕스 138억 원, 비씨월드제약 133억 원, 동화약품 133억 원, 삼아제약 132억 원, 유유제약 132억 원, 알리코제약 131억 원, 한미약품 124억 원, 신일제약 123억 원, 바이넥스 108억 원, 삼일제약 106억 원, 삼성바이오로직스 102억 원, 동구바이오제약 101억 원으로 100억 원 이상을 기록했다.
 
한편 현금유출 기업의 경우 에스티팜이 305억 원이 유출되 가장 규모가 컸으며, 부광약품 234억 원, 코오롱생명과학 202억 원, 이연제약 122억 원으로 100억 원 이상 유출됐다.

관련기사보기

상장제약사, 이자 갚을 능력 평균 4.7배‥DHP·환인·삼진 順

상장제약사, 이자 갚을 능력 평균 4.7배‥DHP·환인·삼진 順

[상장제약기업 2019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이자보상배율 국내 제약기업들이 금융권에서 빌린 자금의 이자를 갚는 능력이 악화됐다. 메디파나뉴스가 76개 상장제약·바이오기업의 2019년도 감사보고서(연결재무제표 기준)를 토대로 분석한 이자보상배율 현황자료에 따르면 이들 기업이 지난해 차입금 등을 갚는데 소요된 비용은 총 3168억 원 규모로 집계됐다. 전년도 2595억 원과 비교해보면 22.1% 증가한 수준이다. 또한 이들 기업이 지난해 올린 영업이익은 1조5037억 원으로 전년 대비 4.9% 증가했다. 이에 따른 평균 이자보상

단기채무 상환능력, 에이프로젠·CMG·일성신약 '3대장'

단기채무 상환능력, 에이프로젠·CMG·일성신약 '3대장'

[상장제약기업 2019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⑫유동비율(current ratio) 상장 제약사들의 1년 내 갚아야 하는 빚에 대한 상환능력이 소폭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76개 상장제약·바이오 기업의 2019년도 사업보고서(연결재무제표 기준)를 통해 분석한 2019년 말 현재 유동비율 현황자료에 따르면 유동자산은 15조9813억 원으로 전년 대비 3.8% 늘어난 반면 유동부채는 7조6079억 원으로 전년 대비 4.5% 증가했다. 이에 따라 유동비율은 평균 211.5%에서 210.1%로 1.4%p 낮아졌다. 유

상장제약사 부채비율 소폭 증가…51.6%로 0.7%p 늘어

상장제약사 부채비율 소폭 증가…51.6%로 0.7%p 늘어

[상장제약기업 2019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⑬부채비율 감소세가 이어제던 국내 제약기업들의 부채비율(debt ratio)이 지난해에는 증가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76개 상장제약·바이오기업을 대상으로 집계한 '2019년도 부채비율 현황(연결재무제표 기준)' 자료에 따르면 이들 기업은 자본총계 23조5831억 원에 부채총계 12조1632억 원으로 이에 따른 부채비율은 51.6%로 나타냈다. 2018년도 50.9%와 비교하면 0.7%p 증가한 것으로, 부채비율이 소폭 증가하기는 했지만 국내 제조업 평균 100

유한양행, 잉여금 규모 1.5조 '최다'…녹십자도 1조 넘어

유한양행, 잉여금 규모 1.5조 '최다'…녹십자도 1조 넘어

[상장제약기업 2019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⑭사내유보금 및 유보율 상장제약기업들이 지난해 말까지 쌓아놓은 사내유보금이 지난해에도 증가세를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71개 상장제약사의 2019년 사업보고서(연결재무제표 기준)를 통해 분석한 '사내유보금 및 유보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9년 말 현재 11조9274억 원의 잉여금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8년 말 11조3420억 원 대비 5.2% 증가한 금액이며, 기업당 평균 1680억 원을 보유해 전년 대비 82억 원 가량 늘어났다. 이들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