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봉엘에스, GMP 수준 '아미노산 제품화 기술 개발' 정부과제 선정

CJ제일제당 주관, 대봉엘에스 GMP 생산 협력
기술성 및 사업성 긍정적 평가로 24억원 수주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4-11-01 10:36

원료의약품 및 화장품소재 전문기업 대봉엘에스(대표 박진오)가 CJ제일제당, 엑셀세라퓨틱스와 함께 2024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3차) 정부과제 수행기업으로 선정, GMP 수준의 아미노산 제품화 기술 개발에 나선다.

이 과제는 CJ제일제당이 주관하고 대봉엘에스는 GMP 생산을, 엑셀세라퓨틱스는 제품 검증을 담당한다.

3사는 정부로부터 44억원의 연구개발 지원을 받을 예정으로, 2024년 7월부터 2028년 12월까지 5년간(54개월) 사업을 수행할 예정이다. 각 사의 기술력 결합을 통해 더욱 혁신적인 솔루션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의 주요 목적은 자립적인 기술 기반을 마련해 국내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자립적인 기술 기반을 구축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있다. 핵심 내용으로는 소재의 해외 의존도 완화, 기술고도화 및 미래시장 선점을 위한 소재·부품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이번 과제의 주요 목표는 의약품 GMP 수준의 고순도 아미노산 대량 생산 기술을 개발해 핵심 소재의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국내 산업 전반에 걸쳐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대봉엘에스 관계자는 "CJ제일제당과 협력해 기존 식품 및 사료용으로 사용되는 아미노산 원료를 의약품 GMP 수준으로 재정제하는 공정을 개발할 계획"이라며 "당사는 의약품 수준의 아미노산 생산이 가능한 최첨단 설비 및 분석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번 과제 선정은 국내 소재부품 산업의 자립성과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기술 혁신을 바탕으로 대봉엘에스는 글로벌 시장에서 아미노산 기반 원료의약품뿐만 아니라 개량 신약 및 제네릭 의약품 시장에서도 더욱 강력한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관련기사보기

대봉엘에스, '리라글루티드' 합성기법 활용 화장품 소재 개발

대봉엘에스, '리라글루티드' 합성기법 활용 화장품 소재 개발

원료의약품 및 화장품소재 전문기업 대봉엘에스(대표 박진오)가 '리라글루티드' 합성 노하우로 화장품 및 스킨 부스터용 펩타이드 소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봉엘에스는 비만치료제 리라글루티드를 친환경 방식으로 합성에 성공한 경험으로 최근 조성물 특허 3개를 등록했다. 이번에 특허받은 물질은 '피부 상태 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건(등록번호 제10-2694595호, 등록번호 제10-2696438호)과 '신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건(등록번호 제10-2696552호)으로 총 3

대봉엘에스, LG화학과 '3HP' 기반 화장품 소재 상용화 협력

대봉엘에스, LG화학과 '3HP' 기반 화장품 소재 상용화 협력

화장품소재 및 원료의약품 전문기업 대봉엘에스(대표 박진오)가 LG화학과 신규 물질 3HP(3-Hydroxypropionic acid: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를 활용한 화장품 소재 상용화 협력에 나선다. 3HP는 식물성 기반의 다기능 활성 원료로 다양한 효능을 갖춘 Multi-function 물질이다. 양사는 화장품 원료로 3HP를 상용화하기 위한 협력을 시작했으며, 이를 위한 양사 간 MOU를 체결했다. LG화학은 독자적인 균주 발효 기술을 통해 3HP를 개발하여 완성했다. 3HP는 기존 살리실산에 비해 자극이 적고 pH 4~5

대봉엘에스, 올인원 접착성 하이드로겔 상용화…유럽 수출 길 열려

대봉엘에스, 올인원 접착성 하이드로겔 상용화…유럽 수출 길 열려

원료의약품 및 화장품소재 전문기업 대봉엘에스(대표 박진오)가 국소 상처 관리를 위한 올인원(All-in-one) 접착성 하이드로겔을 개발 및 상용화에 성공했다. 이번 성과는 상처 치료 분야에서 중요한 발전을 의미하며, 미세 상처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 장벽을 강화하는 새로운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인체의 장기는 대부분 점막으로 덮여 있으며 접착과 봉합이 어려워 쉽게 출혈을 유발하기 때문에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강력한 접착력 및 생체 적합성을 갖는 생체조직 접합 소재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생체조직접착제는 인체 내외 조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