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바이오-DNDi, '제프티 기반 뎅기 치료제 공동 개발' MOU

글로벌 임상 연구 및 치료 접근성 확대 협력  
임상시험, 제조 및 연구자금 확보를 위한 공동 노력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2-04 13:56

현대바이오사이언스(HYUNDAI BIOSCIENCE CO., LTD.)와 소외된 질병에 대한 치료제를 연구·개발·공급하는 국제 비영리 단체 DNDi(Drugs for Neglected Diseases initiative)가 '니클로사마이드(niclosamide) 기반 광범위 항바이러스 후보물질인 제프티(Xafty)를 뎅기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4일 공동 발표했다. 이 협력을 통해 현대바이오와 DNDi는 제프티를 경제적이고, 접근 가능하며, 안전한 항바이러스 치료제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기로 했다.

협약 체결식은 현대바이오 서울 사무소에서 진행됐으며, 현대바이오 오상기 대표이사, DNDi 비즈니스 개발 및 제휴 관리 디렉터 다이스케 이모토(Daisuke Imoto), DNDi 바이러스 질환 클러스터 디렉터 이사벨라 히베이로(Isabela Ribeiro) 박사가 공식 서명했다.

양측은 제프티 기반 뎅기 치료제의 연구, 개발 및 글로벌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임상시험, 제조, 규제 전략을 담당할 공동 프로젝트 팀을 구성하고, 중·저소득 국가에서의 치료 접근성과 경제성을 확대하기 위한 협력을 진행할 예정이다.

현대바이오와 DNDi는 임상 연구를 공동 수행하고, 신약의 규제 승인 절차를 관리하며, 글로벌 연구 자금 및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협력할 계획이다. 현대바이오는 제프티의 글로벌 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DNDi에 비독점적 라이선스를 부여할 예정이다.

제프티는 이전 연구에서 광범위 항바이러스 활성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까지 FDA(미국 식품의약국)나 EMA(유럽의약품청)의 승인을 받은 뎅기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제프티를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치료 옵션으로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며, 이번 협력의 의미를 더욱 높여준다.

지난해 12월, 현대바이오는 베트남 보건부(MOH) 산하 과학기술교육국(ASTT)으로부터 제프티의 뎅기열 치료제 임상시험을 승인받았으며, 2025년 1월에는 베트남 중앙윤리위원회(EC)로부터 임상시험 프로토콜 승인을 획득했다.

DNDi는 2003년에 설립된 비영리 연구개발(R&D) 기관으로, 소외된 질병에 대한 치료제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DNDi는 다국적 제약사, 세계보건기구(WHO), 보건부 및 Fiocruz, 인도 의학연구위원회를 포함한 열대병 연구 기관 등 200개 이상의 글로벌 보건 및 연구 기관과 협력하고 있다. 이러한 협력을 통해 DNDi는 신약 개발을 위한 연구 자금을 확보하고 임상시험을 진행해 왔으며, 수면병, 소아 HIV, 샤가스병 등의 혁신적 치료제 13개를 개발해 공급했다.

DNDi는 또한 뎅기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인 뎅기 연합(Dengue Alliance)의 창립 멤버로, 뎅기열이 풍토병으로 자리 잡은 국가들의 연구 기관과 협력해 필요한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Dengue Alliance는 선제적 연구, 약물 후보물질의 효능 테스트, 유망 치료제의 임상시험 수행뿐만 아니라, 연구 자원 확보, 지식 공유 및 규제 승인 과정 지원을 통해 치료제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번 현대바이오-DNDi 협력은 제프티 개발을 가속화해 중·저소득 국가에서 새로운 치료 옵션을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바이오 오상기 대표는 "이번 협력은 제프티 기반 뎅기열 치료제 개발과 글로벌 보건 증진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DNDi와 공동으로 뎅기열 치료제를 개발하고 보급하는 것은 우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실현하는 것이며, ESG 경영 전략과도 부합한다. 우리는 신속하게 글로벌 연구 자금을 확보하고 임상 네트워크를 확장해 중·저소득 국가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뎅기열 치료제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공급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DNDi 바이러스 질환 클러스터 디렉터 이사벨라 히베이로 박사는 "2024년은 역대 최다 뎅기 발병 사례가 보고된 해였지만, 여전히 이 치명적인 질병에 대한 치료법은 없다"며 "DNDi는 Dengue Alliance의 파트너들과 함께 기후 변화로 인해 더욱 영향을 받는 소외 질병인 뎅기 치료제 개발을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백신 및 매개체(모기) 통제 기술에서의 혁신이 치료제 개발에서도 동일한 발전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 현대바이오와의 이번 협력이 그러한 혁신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보기

현대바이오, 859억 유증 확정…최초 계획 대비 89억 감소

현대바이오, 859억 유증 확정…최초 계획 대비 89억 감소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현대바이오사이언스(이하 현대바이오)가 폴리탁셀(췌장암), CP-COV03(코로나, 뎅기열, 롱코비드) 등 회사 주요 파이프라인 연구개발 등을 위한 859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확정지었다. 최초 계획 대비 89억원이 감소했으나 회사는 파이프라인 연구개발에는 차질이 없도록 비용을 집행하겠다는 계획이다. 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현대바이오는 운영자금 599억원, 채무상환자금 260억원 등 총 859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확정지었다. 3일 정정 제출한 회사 증권신고서에 따르면 주주 배정 후 실

현대바이오, 뎅기열 치료제 '제프티' 임상 베트남 윤리위원회 승인

현대바이오, 뎅기열 치료제 '제프티' 임상 베트남 윤리위원회 승인

현대바이오사이언스(대표이사 오상기)는 지난해 12월 9일 베트남 보건부(MOH) 산하 과학기술교육국(ASTT)으로부터 '뎅기열 및 뎅기열 유사질환 대상 제프티(Xafty) 임상시험' 연구 신청(Pre-IND)을 승인받은 데 이어, 20일에는 중앙 윤리위원회(Ethics Committee, EC)로부터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획득했다고 발표했다. 유럽질병통제예방센터(ECDC)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뎅기열 환자는 1400만명 이상 발생했으며, 이 중 1만명 이상이 사망했다. 그러나 현재 뎅기열, 치쿤구니야, 황열 등 모기

현대바이오 제프티, 엠폭스 해결할 유일한 대안으로 급부상

현대바이오 제프티, 엠폭스 해결할 유일한 대안으로 급부상

세계보건기구(WHO)가 신종플루와 코로나19에 이어 세 번째로 엠폭스(Mpox)로 인한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했음에도 엠폭스 치료제가 없는 가운데, 현대바이오의 제프티(Xafty)가 엠폭스 비상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천연두 치료제 '티폭스'(Tpoxx, 성분명 테코비리마트)가 엠폭스 치료제로 가장 유력했으나, NIH(미국 국립보건원)가 주도한 글로벌 임상 결과 2024년 치료효과 입증에 실패해 현재 치료제가 전무한 실정이다. 지난해 11월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

현대바이오, '뎅기열 등 치료 위한 제프티 임상 2/3상' 본격 개시

현대바이오, '뎅기열 등 치료 위한 제프티 임상 2/3상' 본격 개시

현대바이오사이언스(대표이사 오상기)는 지난 9일 베트남 보건부(Ministry Of Health, MOH) 산하 과학기술교육국(the Administration of Science, Technology and Training, ASTT)에 '뎅기열 및 뎅기열 유사 질환 치료를 위한 제프티 바스켓임상시험 연구신청서'를 제출했다고 12일 발표했다. 이번 임상시험은 현대바이오가 글로벌 시장에서 제프티를 뎅기열 및 뎅기열 유사 질환 치료제로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뎅기열·지카 바이러스 감염증과 같은 신흥 감염병 뿐 아니라 코로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