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넥스, 바이오 CMO 본격 가동…매출 1800억에 흑전 전망

셀트리온 '앱토즈마' FDA 품목허가에 올해부터 본격적인 상업용 매출 발생·증가
오송공장 FDA 승인 시 이를 활용한 해외 CMO 수주 가능성 상승 기대도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2-03 11:59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바이넥스가 올해 본격적으로 상업용 바이오 CMO 매출을 발생시키며, 1800억원대 매출과 함께 흑자전환에 성공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는 올해 송도공장에서 상업 생산이 본격 시작되는 데 더해 내년부터는 오송공장에서도 본격적인 상업 생산이 시작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3일 증권가에서는 바이넥스가 올해 매출 1837억원, 영업이익 159억원을 기록하며, 매출 성장과 함께 흑자전환에 성공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4분기부터 송도공장에서 상업용 바이오 CMO 공장 가동을 시작하며 올해 안정적인 제품 생산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특히 셀트리온이 지난달 31일 악템라 바이오시밀러 '앱토즈마'의 FDA 품목허가를 공시하면서, 바이넥스도 올해부터 본격적인 상업용 매출이 발생·증가할 전망이다.

또한, 오송공장에서도 지난해 9월 송도공장에서 수주한 PPQ 물량 174억원(사이트 체인지 물량 추정) 및 11월 수주한 158억원을 올해 생산하며 상업용 가동이 시작, 가동률이 크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하태기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진행 과정이 순조로울 경우, 2025년 하반기 FDA 공장 실사를 거쳐 2026년부터 상업용 생산이 본격화될 것"이라며 "FDA가 오송공장을 승인하면, 향후 FDA 승인 공장의 생산실적 레코드가 축적되고, 이를 활용한 상업용 수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특히, 2024~2025년 셀트리온 등 대형사 CMO 상업생산 레코드가 쌓이면 오송공장 증설을 통해 2026년부터 미국·유럽·일본 등 해외 수주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상업용 CMO 매출이 크게 증가하면서 바이넥스의 올해 바이오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94.5% 증가한 928억원을 기록하며, 합성의약품 부문 예상 매출 897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5년간 사업 부문별 매출을 살펴보면 바이오 부문 매출은 2020년 477억원에서 2022년 669억원으로 성장세를 보이다 2023년 611억원, 2024년 477억원(추정)으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 합성의약품 부문 매출은 2021년 759억원을 기록한 것을 제외하면 800억원대 중반에서 900억원대 초반을 기록했다.

하 연구원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악템라 바이오시밀러 CMO 매출이 발생한 데 더해 올해 상업용 CMO 매출이 가세하며 흑자 전환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바이오시밀러 CMO 영업이익률이 35~40%에 근접할 것으로 추정하며, 지난해 4분기 BEP 수준 영업이익을 기록한 후 올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 연구원은 "바이넥스는 향후 2~3년 내 바이오의약품 CMO 니치마켓에서 중간 규모의 수주 물량을 생산하는 글로벌 알짜 기업으로 도약할 잠재력이 커졌다"고 밝혔다.
 

관련기사보기

바이넥스, EU 이어 美 cGMP 인증 노려…CDMO 사업 키운다

바이넥스, EU 이어 美 cGMP 인증 노려…CDMO 사업 키운다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바이넥스가 송도공장 미국 FDA cGMP 인증을 앞두고 있다. 인증이 완료되면 미국과 유럽의 cGMP를 모두 획득한 중소 CDMO로서 향후 가파른 성장도 기대할 수 있을 전망이다. 9일 CTT리서치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바이넥스는 1월 송도공장이 FDA cGMP 인증 완료 시 아시아 탑티어 중소 CDMO에 등극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바이넥스의 이승묵 상무는 메디파나뉴스와의 통화에서 "현재 바이넥스는 약 140개 기업을 고객으로 두고 있다. CMO 기업이 실사를 받으려면 제품이 필요한데, 고객사의

바이넥스, 3Q 바이오 매출 비중 ↓…4년 만에 30% 중반대로

바이넥스, 3Q 바이오 매출 비중 ↓…4년 만에 30% 중반대로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기업 바이넥스 주력인 바이오 사업 부문 매출 비중이 40%대에서 30%대 중반으로 감소했다. 올해 외형 성장세가 꺾인 가운데 바이오 부문 실적 감소가 타 부문 대비 컸던 영향으로 풀이된다. 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바이넥스는 올해 3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 329억원으로 전년 동기 315억원 대비 4.2%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다. 다만 3분기 누적 매출은 941억원으로 전년 동기 1193억원 대비 21.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매출 변

바이넥스, 유럽 EMA 실사 통과‥바이오시밀러 공급 개시

바이넥스, 유럽 EMA 실사 통과‥바이오시밀러 공급 개시

바이넥스가 유럽의약품청(EMA)이 실시한 우수의약품품질관리기준(GMP) 실사를 통과했다고 20일 밝혔다. 바이넥스는 올해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기업이 개발한 바이오시밀러 제품에 대한 글로벌 상업용 의약품 생산 공급을 위해 글로벌 양대 시장의 규제기관인 유럽의약품청(EMA),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엄격하고 까다로운 실사를 연이어 받았으며, 미국 FDA의 cGMP 승인에 앞서 유럽의약품청(EMA)의 cGMP 승인을 우선 획득했다. 바이넥스는 이번 실사 통과로 글로벌 규제기관이 요구하는 수준에 부합되는 GMP 시설 및 품질관리

바이넥스, 6년만에 찾아온 영업손실‥내년부터 매출 대폭 증가 전망

바이넥스, 6년만에 찾아온 영업손실‥내년부터 매출 대폭 증가 전망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올해 상반기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6년간 유지해오던 흑자 기조에서 돌아선 바이넥스가 2025년부터 바이오의약품 상업용 생산이 본격화되면서 매출과 이익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바이넥스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회사는 연결재무제표 기준 올해 상반기 영업손실 189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적자전환했다. 2분기 기록한 영업손실은 83억원으로, 바이넥스는 지난해 3분기 적자전환 후 4분기 연속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바이오 부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1.6% 감소하며 연결재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