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빅파마 기술이전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12개로 늘어

여타 국내 기업들도 기술이전 기대감↑
빅파마-中 바이오텍 기술 거래 증가
아시아 제약바이오 기업 관심도 커져

조해진 기자 (jhj@medipana.com)2025-02-10 12:10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지난 10년간 12개 국내 제약바이오 업체가 글로벌 빅파마에 신약 기술이전에 성공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다른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에 대한 기대감도 함께 고무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0일 키움증권은 제약바이오 인싸이트 보고서를 통해 아시아 바이오가 부상하고 있는 현황을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에서 글로벌 빅파마(머크, 오노, 암젠, 사노피, 로슈, 노바티스, J&J, BMS, Vertex, 릴리 등)와 신약 기술이전 계약을 성공한 제약바이오 기업은 한미약품, 동아ST, SK바이오사이언스, 유한양행, 리가켐바이오, 알테오젠, 브릿지바이오, 지씨셀, 에이비엘바이오, 종근당, 오름테라퓨틱스, 올릭스 등으로 2015년 이후 10년 만에 총 12개 업체로 늘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기술이전을 목표로 하는 다른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향후 기술이전 기대감 보유 업체로 유한양행·지아이이노베이션, 한미약품, 에이비엘바이오, 알테오젠, 리가켐바이오, 삼천당제약, 펩트론, 브릿지바이오, 인벤티지랩 등을 꼽았다.  

아울러 빅파마와 중국 바이오텍과의 기술 거래가 증가하면서 서구권에서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바이오텍의 신약 기술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Cortellis에 따르면, 기술수출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12%에서 지난해 21%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수로 볼 때도 중국은 2022년에 16건, 2023년에 24건, 2024년에 31건으로 라이선싱 건수 자체가 꾸준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해 허혜민 연구원은 "중국 바이오텍의 부상은 아시아 전체의 바이오 기술 수준에 대한 인식이 개선될 수 있어 K-바이오에도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글로벌 빅파마를 포함해 최근 국내 바이오텍이 해외 제약바이오사에 기술이전한 사례는 2020년 13건, 2021년 24건, 2022년 9건, 2023년 12건, 2024년 11건, 2025년 현재 1건으로 파악됐다. 

관련기사보기

알테오젠, 신규 빅파마와 기술이전 전망…SC 확대 기대감

알테오젠, 신규 빅파마와 기술이전 전망…SC 확대 기대감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알테오젠이 올해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내 주목된다. 신규 빅파마와 5건 이상의 물질이전계약(MTA)을 맺으면서 1분기 중에 추가 기술이전 성과가 기대되고 있다. 23일 회사 및 신한투자증권 산업보고서 등에 따르면, 알테오젠은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러스 2025에서 키트루다 피하주사(SC) 제형, 엔허투 SC에 국한되지 않고 신규 빅파마와 MTA 체결을 5~6건 성사 시켰다. 또한 신규 빅파마 기술이전은 올해 1분기 중에 가시화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상반기 키트루다SC에

유영제약, 2025년 '오스카' 기술이전으로 글로벌 성장성 기대

유영제약, 2025년 '오스카' 기술이전으로 글로벌 성장성 기대

유영제약(대표이사 유주평)은 강스템바이오텍과 지난해 10월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며 줄기세포 기반 융복합제제 '오스카(OSCA)'의 국내 개발과 상업화를 본격화했다고 10일 밝혔다. 해당 계약은 세계 최초 줄기세포 기반 융복합 골관절염 치료제 기술이전 사례로, 오스카가 지닌 혁신성과 성장 가능성을 조기에 인정받은 성과로 평가된다. 오스카는 수술 없이 무릎 관절강 내 1회 주사만으로 통증을 완화하고 연골재생과 구조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혁신적인 치료제다. 기존 골관절염 치료제가 단순히 통증을 완화하는 수준에 머무는 반면, 오스카는 근

[2024 결산㉟] 제약바이오, 올해 1조원대 기술이전 잇따라

[2024 결산㉟] 제약바이오, 올해 1조원대 기술이전 잇따라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조 단위 기술이전을 잇따라 체결하며 기술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글로벌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K-바이오' 위상을 높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30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오름테라퓨틱스는 올해 1조원 대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는 데 성공했다. 오름테라퓨틱스는 지난 7월 미국 버텍스 파마슈티컬스와 항체-분해 약물접합체(DAC) 관련 기술이전을 맺었다. 전체 계약 규모는 9억 달러(약 1조3000억원) 이상으로 나타났다. 선급금 1500만 달러(약 200억

제약바이오업계, FDA승인·임상결과·기술이전 등 이벤트 풍성

제약바이오업계, FDA승인·임상결과·기술이전 등 이벤트 풍성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유한양행, 셀트리온, 알테오젠,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내년 상반기 임상 결과 데이터 및 글로벌 실적 등 눈에 띄는 성과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 중에 공개 시점을 예고하고 있어 결과가 주목된다. 9일 제약바이오 및 증권업계에 따르면 내년 상반기 주목해야 할 제약바이오 일정으로 유한양행, 셀트리온, 리가켐바이오, 알테오젠, 삼성바이오로직스 등이 언급되고 있다. 먼저 유한양행은 '렉라자(레이저티닙)'와 '아미반타맙'의 피하주사(SC)제형 병용요법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알테오젠 등 바이오텍 기술이전 계약, 내년에도 상승세 이끌어"

"알테오젠 등 바이오텍 기술이전 계약, 내년에도 상승세 이끌어"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내년 제약바이오 시장의 주가 등 상승 요인으로 알테오젠 계약에 따른 매출, '렉라자' 향후 매출 전망, 바이오텍들의 라이선스 계약, 금리 인하 기대감 등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도 이러한 요인들이 제약바이오 시장의 하반기 상승을 이끈 만큼 내년까지 상당 부분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3일 증권업계 등에 따르면, 제약바이오 시장 상승 원동력으로 ▲알테오젠의 '키트루다', '엔허투' 피하주사(SC)제형 변경기술 계약 및 매출 기대감 ▲유한양행 렉라자의 FDA 승인과 향후 매출 ▲바이

지씨셀, 인도네시아 PT 비파마와 이뮨셀엘씨주 기술이전 본격 착수

지씨셀, 인도네시아 PT 비파마와 이뮨셀엘씨주 기술이전 본격 착수

지씨셀(대표 박제임스종은)은 동남아 최대 제약사 KALBE 그룹의 세포치료제 전문 계열사 '비파마(PT Bifarma Adiluhung, 이하 비파마)'와 이뮨셀엘씨주의 기술이전 절차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이전 프로젝트는 지난 9월 체결된 이뮨셀엘씨주에 대한 인도네시아 비파마와의 라이선스 계약에 따른 후속 업무로, 본격적인 상업화를 준비하기 위해 진행되는 핵심 단계다. 이번 기술이전 프로젝트는 2024년 11월부터 약 6개월에 걸쳐 진행된다. 현재 지씨셀 본사에서 비파마의 생산 및 품질관리팀을 대상으로 이뮨셀엘씨

올해 바이오 기술이전 2배 증가해 7건…최대 5조원 규모

올해 바이오 기술이전 2배 증가해 7건…최대 5조원 규모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올해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글로벌 빅파마와 맺은 기술이전 계약이 지난해 대비 2배 증가한 7건으로 나타났다. 계약 규모가 가장 큰 기술이전은 5조원을 넘어섰다. 11일 회사 및 증권가 등에 따르면, 올해 국내 바이오사와 글로벌 빅파마의 기술이전 계약은 총 7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과 지난해 각각 1건과 3건의 기술이전 계약 수와 비교하면 높은 수치다. 올해 계약 규모가 가장 큰 건은 알테오젠이 지난 2월 MSD와 체결한 5조원 대의 기술이전 계약이다. 이 계약으로 알테오젠은 MSD로부터 계약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