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원에 버티는 응급실…배후진료과 번아웃은 속수무책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응급의료 현장이 전공의 없는 현실이 갖는 한계를 토로하고 있다. 비용 지원을 주로 하는 정부 비상진료 대응은 전공의가 없는 현장을 잠시 메울 순 있어도 근본적 해법은 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은 30일 메디파나뉴스와 통화에서 정부 비상진료체계가 갖는 한계를 지적했다. 정부는 겨울철 비상진료 대응을 위해 의료인력 부족 응급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의사와 진료보조인력 신규 채용 인건비를 지원하고, 배후진료 제공 기여도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응급실 과밀화 해소를 위한 의료인·
조후현 기자24.12.31 05:59
응급실 뺑뺑이 해결?…응급실+배후진료 역량 없이는 '불가능'
[김원정 기자] '응급실 뺑뺑이'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응급실과 함께 치료 및 수술 등을 담당할 배후진료 역량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된다. 이를 위해 시급한 과제로 인력 확보가 선결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전공의 사직 이후 신규 전문의 배출도 요원한 상황에서 내년까지 응급실과 배후진료 문제가 이어질 경우 현재의 의료체계가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시각이다. 28일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실에서 진행한 '응급의료 배후진료 역량 강화 및 제도 개선을 위한 국회토론회'에서 이 같은 의견이 제시됐다. 김건엽 경북대학교
김원정 기자24.08.29 05:59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본래 역할에 충실하라"‥의료계, 공단-심평원 중첩 업무 '불편'
2
의대생 현역 입대 흐름 가속화…군·지역의료 어쩌나
3
약사회 '대선정책기획단' 구성…권영희 단장 필두로 정책 제안
4
[일문일답] 성남시의사회는 왜 분당서울대병원에 경고를 던졌나
5
다국적제약사, 지난해 1000원 팔아 39원 남겨…전년比 악화
6
외자사 ERP보니?…한국화이자제약, 직원 명퇴금 53억
7
HK이노엔, '케이캡' 수출 증가에 1분기 실적 호조 전망
8
3년 반 만 급여 적용 '텝메코'…"MET 변이 폐암 표적치료 새 장"
9
환자대변인 사업, 형식적 당근책?…실효성 논란 속 시작
10
분당서울대병원 "PA 확대 '한시적 운용'…전공의 복귀 맞춰 감축"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