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바이오, 'BBT-207' 폐암 임상서 유효 용량 확인 기대감 높여
혁신신약 연구개발 기업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최근 제5차 안전성 모니터링 위원회(Safety Monitoring Committee, 이하 ‘SMC’) 회의를 개최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후보물질 'BBT-207' 임상 1상 다섯 번째 용량군의 환자 투약 데이터 검토를 마쳤다고 밝혔다. 회사는 4세대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티로신 인산화효소 억제제(EGFR TKI)로 개발하고 있는 BBT-207의 임상 1상 용량상승시험에서 투약 용량을 단계적으로 증량해 나가며 약물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탐색해 나가고 있다. 각
최인환 기자25.02.13 09:17
브릿지바이오, JP모건 콘퍼런스서 기업 발표·파트너링 성료
혁신신약 연구개발 전문 기업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현지시간 지난 13일부터 나흘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제43회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 참석해 글로벌 투자가, 빅파마와의 사업개발 회의 및 기업 발표를 마무리했다고 17일 밝혔다. 회사는 올해 최초로 JP모건 측의 공식 초청을 받고 현장 발표 기업으로 선정됐다. 이정규 대표이사는 현지시간 16일 오전에 진행된 메인 세션 발표를 통해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후보물질 BBT-877을 중심으로 사업 개요 및 전망을 글로벌 시장 투자가 및 업계 관계자들과 공유했다.
장봄이 기자25.01.17 09:46
브릿지바이오, BBT-877 환자 등록 95% 달성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후보물질 BBT-877 다국가 임상 2상의 환자 등록이 95%를 넘어서며 당초 목표수인 120명에 부쩍 가까워졌다고 11일 밝혔다. 회사는 해당 임상의 환자 등록 완료를 예상보다 한 달 이상 앞당긴 내달 중 달성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임상 2상 결과 발표는 내년 상반기로 계획하고 있다. 회사는 한국과 미국, 호주, 폴란드, 이스라엘 5개 국가의 약 50여 개 임상기관에서 BBT-877 다국가 임상 2상을 진행하며 특발성 폐섬유증 환자에서 약물의 유효성, 안전성 및 내약성을 평가하고
최인환 기자24.07.11 08:29
브릿지바이오, 2024 바이오 USA서 기술이전 윤곽 구체화
혁신신약 연구개발 전문 기업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6월 3일부터 6일까지(현지시간) 나흘간 미국 샌디에고에서 개최된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이하 ‘바이오 USA’)’에 참석해, 전세계 제약·바이오 업계 관계자 대상 기업 발표(Company Presentation)를 진행하고 사업개발 협의를 진행했다고 7일 밝혔다. 3년 연속 발표 기업으로 선정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현지시간 3일 오후, 업계 관계자 및 잠재적 파트너사 등을 대상으로 기업 소개를 진행했다. 발표
최인환 기자24.06.07 10:05
브릿지바이오, 2020년 이후 지속 적자…실적 반등 계기 필요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지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BBT-207, BBT-877, BBT-401 등 여러 신약 물질 후보 개발, 임상을 진행 중이나 지난해 신약을 통한 매출이 없는 상황에 실적 반등을 위한 계기가 필요하다. 브릿지바이오는 지난 10일 공시를 통해 올해 1분기 별도재무제표 기준 매출 240만원, 영업손실 42억 2400만원, 당기순손실 49억 500만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영업손실은 감소했으나, 2020년 이후 적자가 지속되고 있다. 브릿지바이오는 2019년 매출 5
최인환 기자24.05.13 05:56
브릿지바이오, 2024 바이오 USA서 3년 연속 '발표 기업' 선정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다음 달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에서 개최되는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이하 ‘바이오 USA’)’에 이정규 대표이사를 중심으로 한 출장팀을 파견, 글로벌 기술이전을 위한 사업개발 후속 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회사는 지난 1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를 통해 글로벌 제약사와 BBT-877(폐섬유증 신약 후보물질) 관련 대면 회의 후 약 5개월만에 잠재적 파트너사들과 공식 일정을 갖고 과
최인환 기자24.05.08 16:06
브릿지바이오, 리가켐 '유증 참여' 소식에 주가 반등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최근 크게 하락했던 주가로부터 한숨 돌렸다. 브릿지바이오는 지난달 30일 공지를 통해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옛 레고캠바이오)가 이번 브릿지바이오 주주배정 유상증자 배정 물량 전량 청약을 긍정적으로 고려하고 있으며 양사 제휴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자 하는 의사를 다시 한 번 확인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에 지난달 29일 종가 기준 2115원이던 브릿지바이오는 30일 13시 14분 최고 2525원까지 오르는 등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앞서 브릿지바이오는 지난달 23일 이정규 대표이
최인환 기자24.05.02 06:01
브릿지바이오, 이정규 대표 지분 매각 루머에 연이은 주가 하락
[메디파나뉴스 = 정윤식 기자] 이정규 대표(사진)의 지분 매각 루머가 시장에 퍼지면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이하 브릿지바이오)의 주가가 연이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3일 브릿지바이오의 주가가 전일 종가인 4105원 대비 29.96% 떨어지며 하한가를 기록했다. 이 같은 하락세는 지난 18일부터 시작됐으며, 23일까지 4일간 5830원에서 2875원까지 내려가는 모습을 보였다. 아울러 하한가 당일 거래량 역시 259만7126주로 월중 두 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또한 브릿지바이오의 24일 11시 기준 주가는 전일 종가
정윤식 기자24.04.24 11:52
브릿지바이오, 세 차례 IDMC 개발 지속 권고에 임상시험 성공 자신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지난 18일 개최된 제3차 '독립적인 자료 모니터링 위원회(Independent Data Monitoring Committee, IDMC)'로부터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치료제 후보물질 'BBT-877'의 임상 2상을 지속하도록 권고 받았다고 19일 밝혔다. 지난 1월의 제2차 IDMC에 이어 세 번째로 개최된 이번 회의에서 지난 달 14일을 기준으로 집계된 시험대상자 75 명의 유효성 및 안전성 데이터를 검토한 결과, 약물의 안전성이나 효과와 관련한
정윤식 기자24.04.19 09:46
브릿지바이오, 상피성 난소암서 BBT-877 병용 치료 가능성 확인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상피성 난소암에서 오토택신 저해제 BBT-877의 병용 치료 가능성을 확인한 비임상 연구 결과가 종양학 분야의 국제 학술지 '항암 연구(Anticancer Research)'에 게재됐다고 11일 밝혔다. 전체 난소암의 약 90%를 차지하는 상피성 난소암은 대개 조기 발견이 어려우며, 약 70% 이상의 말기 환자가 약물에 대한 내성 등으로 인한 질환 재발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난소암 환자의 혈액에서 리소포스파티드산(LPA)이 증가되어 있다는 최근의 보고와 더불어 난소암의 내성 기전에 종양줄기세
정윤식 기자24.04.11 10:20
IV리서치, "브릿지바이오 BBT-877 가치 회복 기대"
리서치센터 아이브이리서치(이하 IV리서치)는 5일 발간한 리포트를 통해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KQ288330)가 주력하여 개발하고 있는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후보물질 'BBT-877'의 파이프라인 가치가 연내 실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평가했다.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는 따로 제시하지 않았다. 현재 전 세계 50여 개 임상 기관에서 환자 대상 임상 2상이 진행되고 있는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후보물질 BBT-877은 체내의 '오토택신'이라는 신규 표적 단백질의 기능을 저해하는 기전의 약물로서 계열 내 최초(First-in-Class)
정윤식 기자24.04.05 10:15
브릿지바이오, BBT-877 심장 질환 적응증 확대 가능성 확인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오토택신 저해제 BBT-877의 심장 판막 질환 적응증 추가를 위한 비임상 연구 결과가 영향력 지수(Impact Factor, IF) 9.3의 유력 국제 의학 학술지 '바이오메드센트럴 메디신(BMC Medicine)'에 게재됐다고 1일 밝혔다. 공개된 결과에 따르면, 대동맥판막 협착증이 유도된 쥐에서 BBT-877 투약군은 72% 수준까지 석회화를 억제했으며 판막 조직의 섬유화 역시 약 80% 억제하며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조절했다. 또한, 사람과 대동맥판막 형태의 유사성이 매우 높은 토끼에서 고콜레스테롤
정윤식 기자24.04.01 10:25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의료사태 기로, 신뢰·단결 강조…"의협이 힘 모아달라"
2
제약기업 오너 2·3·4세, 경영 전면에 나서…업체별 변화 주목
3
[제약공시 책갈피] 3월 4주차 - 한미사이언스·휴온스글로벌 外
4
상장 제약바이오 91개사 직원 수 6.2만명…정직원 비중 95.1%
5
대화제약, 의약품 제조·판매 상승세…도매 부문은 주춤
6
의료AI 등에 업은 메디아나…"한국의 필립스로 성장시킬 것"
7
[현장] "혈액학, 이만큼 발전했다"‥ICKSH 2025 부스 진풍경
8
의대 정원 놓고 '당근과 채찍'‥정형외과醫 "근본적 해결책 안돼"
9
진양제약, 고지혈증 2제 임상 잇따라 진입…주력 순환계 집중
10
약사회 "보건복지, 산업보다 국민 안전 위한 시각이 우선"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