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의과학대, 혈액검사로 퇴행성 뇌질환 조기진단 가능성 제시
차 의과학대학교는 바이오공학과 문지숙 교수 연구팀(제1저자 : 최유리, 교신저자 : 문지숙)이 주사나 수술 없이 뇌를 직접 건드리지 않고 혈액 검사만으로 뇌종양 등을 조기 진단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팀은 'APLP1 단백질(Amyloid precursor-like protein 1, APLP1)'이 뇌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된다는 사실을 찾아낸 후, APLP1이 뇌 질환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핵심 바이오마커임을 확인했다. 바이오마커는 몸 속 세포나 혈관, 단백질, DNA 등을 이용해 몸 안의 변화를 알아
이정수 기자25.01.15 17:09
고령화 사회 속 '무릎 퇴행성 관절염'…맞춤 치료 필요
고령화 사회에서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인 무릎의 퇴행성 관절염은 영상학적 검사에서 진단되더라도 반드시 치료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가천대 길병원 정형외과 심재앙 교수는 무릎의 퇴행성 관절염은 고령인구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기능, 정신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어 사회적 문제가 될 수 있는 만큼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무릎 퇴행성 관절염은 일종의 마모성 질환으로 많이 사용하는 경우 닳아서 발생해 고령자에게 흔하다. 거동의 불편함뿐 아니라 골다공증, 당뇨, 치매 등 전신 질환과 장기간의 통증으로 우울증 등이 동반돼 개인적인
김원정 기자25.01.10 09:53
'대퇴골두 무혈성괴사', 20~50대 발병…퇴행성 고관절염 유발
20대에서 50대까지 비교적 젊은 나이에 발병하는 뼈 질환이 있다. 허벅지 뼈, 즉 대퇴뼈의 상단 부분의 변형과 심한 퇴행성 고관절염을 유발하는 진행성 질환인 '대퇴골두 무혈성괴사'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성인 고관절 환자 중 대퇴골두 무혈성괴사증의 빈도가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넓적다리뼈의 윗부분은 골반뼈와 함께 엉덩이 관절(고관절)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골반뼈와 맞닿고 있는 넓적다리 뼈의 위쪽 끝부분을 대퇴골두라고 한다. 대퇴골두 무혈성괴사는 대퇴골두로 가는 혈류가 차단돼 뼈 조직이 괴사되는 질환이다. 괴사라고 해서 뼈가 썩는
김원정 기자25.01.07 10:33
서울대병원, 교정절골술 후 무릎 퇴행성 관절염 위험 요인 규명
서울대병원은 단측 교정절골술(High Tibial Osteotomy, HTO)을 받은 환자에서 수술 후 무릎 관절의 정렬 상태를 평가하는 '관절선 수렴각'(JLCA)이 적절하지 않을 경우, 수술한 무릎뿐만 아니라 반대쪽 무릎에서도 퇴행성 관절염의 위험이 증가하고 재수술의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밝힌 연구결과가 발표됐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JLCA가 양측 무릎의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규명해, 환자들에게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술 계획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에서 무릎 퇴행성 관절염
이정수 기자24.11.21 16:34
걷기 좋은 계절, 퇴행성 관절염 환자는 걸어도 될까
단풍 절정 시기가 오며 가을 나들이를 고려하는 이가 많아지는 시기다. 그런데 퇴행성 관절염이 있으면 너무 많이 걷는 것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이효범 교수와 함께 퇴행성 관절염 환자도 부담 없이 산책을 즐기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았다. 하루 1~2시간 이내 가벼운 걸으면 근력 강화해 통증 완화 가벼운 걷기 운동은 퇴행성 관절염에 좋다. 관절 주변의 근력을 강화하는 것이 증상 호전에 도움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퇴행성 관절염 환자는 이미 관절의 연골이 손상된 상태이므로, 만약 너무 오래 걸으면
이정수 기자24.10.21 14:55
디앤디파마텍 이슬기 대표, 퇴행성 뇌 질환 치료제 개발 발표
GLP-1 계열 신약개발 전문기업인 디앤디파마텍 이슬기 대표는 '2024 굿브레인 콘퍼런스'에 초청받아 'GLP-1 계열 약물의 적응증 확장성: 퇴행성 뇌 질환 치료제 개발'을 주제로 발표한다고 9일 밝혔다. 2024 굿브레인 콘퍼런스는 오는 11일 더 플라자 호텔 서울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수면, 뇌 건강과 디지털 테크'를 주제로 수면 문제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디지털 의료 기술을 소개하고 국내외 첨단 뇌과학과 슬립테크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디앤디파마텍 이슬기 대표는 이번 콘퍼런스에서 '만병통치 비만약 GLP-
장봄이 기자24.09.09 10:27
케이메디허브, '활성산소' 연구로 신경퇴행성질환 치료 돌파구 찾아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양진영) 신약개발지원센터 연구진이 '미토콘드리아 기능이상 및 활성산소 타깃의 신경퇴행성질환 치료 연구' 총설논문을 국제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IF=4.9)' 7월호에 발표했다. 최근 여러 연구를 통해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 신경퇴행성질환의 원인으로 '미토콘드리아 기능이상'과 '활성산소'가 주목받고 있다. 미토콘드리아는 체내 에너지로 사용되는 ATP을 생성하는 세포소기관으로 이 대사과정에서 부산물로 활성산소가 생성된다.
최인환 기자24.08.01 16:11
퇴행성 관절염, 예방과 치료로 건강한 노후 준비해야
퇴행성 관절염은 가장 흔한 관절염 원인으로,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60% 이상에서 발병한다. 최근에는 단순한 노화 현상이 아닌 관절 연골의 변화를 보이는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다. 박신형 교수는 "최근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65세 이상 인구는 2025년 20.3%로 본격적인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퇴행성 관절염 환자도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 연골이 점차 마모되어 염증과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관절염이 진행되면 연골하 골의 경화 및 낭종 형성, 관절 주변 및 관절 내 골의 과잉 형
김원정 기자24.07.15 16:41
동아제약, 퇴행성 관절염에 도움 '맥스 콘드로이틴 1200' 출시
동아제약(대표이사 사장 백상환)은 경증에서 중증도의 퇴행성 관절염 증상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맥스 콘드로이틴 1200 경구용 겔'을 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에 출시한 신제품은 일반의약품으로 콘드로이틴설페이트나트륨 국내 최대 1회 함량인 1200mg을 함유했다. 콘드로이틴은 연골, 뼈, 각막 등 결합조직에 널리 분포한 성분으로 연골을 보호하는 탄성섬유의 주성분으로 복용 시, 퇴행성 관절염 증상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맥스 콘드로이틴 1200은 콘드로이틴 성분 중 국내 최초 경구용 겔타입으로 복용이 편리한 점이 특징
최봉선 기자24.07.11 09:36
퇴행성관절염, 치료 시기에 따라 회복과 예후에 영향 끼쳐
퇴행성관절염은 국내에서만 연평균 400만 명이 앓는 흔한 질환이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층의 경우 3명 중 1명이 경험할 정도로 대표적인 '노년기 질환'이기도 하다. 때문에 치료 시기에 따라 회복과 예후에도 영향을 끼쳐 적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강남베드로병원 정형외과 박상은 원장은 "주사나 약물, 물리치료 등 비수술적 요법으로 치료가 가능한 퇴행성관절염 초기를 넘겨 질환이 심각하게 진행된 후, 수술적 치료가 불가피한 상태에서 병원을 찾는 케이스가 생각보다 많다"며 "특히 고령 환자는 치료 시기가 회복과 예후를 크게 좌우
김원정 기자24.04.26 18:23
변비,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질환과도 관련 있어
장과 뇌 건강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개념이 관심을 끌고 있다. 장을 ‘제 2 의 뇌’라고 보는 ‘장뇌축(gut-brain axis)’ 이론에 따르면, 장내 미생물 균형이 깨지거나 장 건강이 악화되면 뇌 기능과 감정 상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질환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뇌축’ 이론은 장과 뇌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것으로, 장내 미생물이 뇌와 장을 연결하는 신호 전달 역할을 한다는 이론이다. 장내 세균의 불균형은 염증과 스
김원정 기자24.04.11 10:44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우여곡절 겪은 위암 치료제 '빌로이' 내달 출시…"사용 절실"
2
"신약 개발·약제비 개편, 협력 필수…재정-산업 균형 맞춰야"
3
위원 구성 이견 남긴 수급추계위 공청회…의정 불신 여전
4
구조전환 참여한 상종, PA 간호사 확대 선택…현장선 '온도차'
5
[제약공시 책갈피] 2월 2주차 - 한미사이언스·대웅제약 外
6
실거래가 약가 인하 개편·외국 약가 재평가‥제약업계 부담 가중
7
정현호 메디톡스 대표 약사법 위반 1심 무죄
8
파마리서치, '리쥬란' 유럽 진출…MDR 인증으로 글로벌 가속
9
한미사이언스 '형제 측' 사봉관 사외이사 자진사임…이사회 재편
10
GC녹십자웰빙, 이니바이오 인수‥'보툴리눔 톡신' 시장 진출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