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빅파마, 기술이전 계약금에 지갑 닫는다

기술이전 계약금 비중, 6~7%대로 5년 전 절반 수준 
신약 매출 떨어져 리스크 관리 차원 분석

최성훈 기자 (csh@medipana.com)2024-08-23 12:11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글로벌 빅파마들이 최근 기술이전 거래 방식을 '후불제'로 바꿔나가고 있다. 

라이선스 인(License In, 기술도입) 단계서 계약금은 줄이는 대신 전체 마일스톤 규모는 키우는 방식이다. 업계에서는 이를 두고 빅파마가 리스크 완화에 나섰다는 관측이다.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허혜민 연구원은 23일 블록버스터 산업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술이전의 대가로 빅파마가 지불하는 계약금은 비중은 2019년을 기점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다. 

2019년 전체 마일스톤에서 계약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13%였지만, 2022년부터는 6~7%대에 머물고 있다. 이는 2019년과 비교했을 때 약 절반 수준.
임상 단계별 계약금으로 따져보면 이러한 추세는 더욱 두드러진다. 2022년 전임상 단계 후보물질의 기술이전 계약금 중간값은 7500만달러였지만, 올해 상반기에는 4700만달러까지 약 37.3% 감소했다. 

임상 1상과 임상 2상 역시 마찬가지다. 임상 1상 2022년 계약금 중간값은 7000만달러였던 것과 비교하면 올해 상반기 5000만달러로 감소했다. 

임상 2상 2022년 계약금 중간값은 1억달러였지만, 올해 7300만달러로 감소했다. 반면 제품 상용화에 한층 더 다가선 임상 3상의 경우 더욱 몸값이 올라간 경향을 보였다. 

빅파마가 계약금 지불에 지갑을 닫는 까닭엔 리스크 관리 차원으로 풀이된다. 신약 출시 자체가 매출을 보장해주지 않는다는 시각이 팽배하기 때문이다. 

실제 시장조사기관 Statista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신약 당 예상 평균 최대 매출은 2017년 5억5500만달러(한화 약 7500억원)에서 2023년 3억6200만달러(한화 약 4900억원)로 감소했다. 

빅파마간 글로벌 경쟁이 심화된 데다 각 정부가 제약사를 대상으로 약가인하 압력을 넣으면서 평균 매출은 하락한 것이다. 

또 빅파마가 관여해야 블록버스터를 만들기 쉽다는 점도 기술이전 계약에서 거래 우위를 점하는 요소로 분석된다. 

시장조사기관인 ScienceDirect가 FDA First in class(FIC)승인을 받은 항암제 50개를 조사한 바에 따르면, 빅파마 항암제 7개 중 4개(57%)가 10억달러 이상 매출을 올렸지만, 소규모 제약사 항암제 23개 중 10억달러 매출을 올린 항암제는 5개(22%)에 불과했다. 

이에 대해 허혜민 연구원은 "빅파마가 소규모 제약사 대비 3배 이상 더 많은 매출을 냈다"면서 "빅파마의 경우 더 큰 예산과 마케팅, PBM 협상력, 제품 번들링 시너지 효과 등이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후불 구조는 금액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 승인 후 판매 목표와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빅파마의 리스크를 완화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보기

한미약품-노보메디슨, '포셀티닙' 공동개발 이어 기술이전 체결

한미약품-노보메디슨, '포셀티닙' 공동개발 이어 기술이전 체결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한미약품이 BTK 저해제 '포셀티닙'에 대해 국내 연구개발 업체 노보메디슨과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미약품은 14일 '반기보고서' 중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을 통해 지난 6월 3일 노보메디슨에 포셀티닙을 기술이전했다고 공시했다. 기술이전 대상지역은 전 세계다. 총 계약금액과 수취금액은 양사 합의하에 공개되지 않았다. 노보메디슨은 2021년 10월 한미약품과 포셀티닙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던 지놈오피니언이 새로 변경한 사명이다. 한미약품과 노보메디슨 양사가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한

올해 들어 기술이전 2건, M&A 1건…'TPD', 차세대 기술 주목

올해 들어 기술이전 2건, M&A 1건…'TPD', 차세대 기술 주목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표적 단백질 분해제(TPD)'가 차세대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올해만 국내 제약바이오사들이 기술이전 2건과 인수합병(M&A) 1건 등을 체결하면서 차세대 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TPD 기술은 세포 내 단백질 분해 시스템을 활용해 원하는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분해하는 플랫폼을 말한다. 신약으로 사용하면 단백질 분해 효소 등을 활용해 질병의 원인 단백질을 분해·제거할 수 있다. 21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올해 성사된 TPD 기술이전은 총 2건, M&A 관련 계약은 1건으

CDMO 기업, 수혜 얻을까…빅파마 R&D 투자 효과 기대

CDMO 기업, 수혜 얻을까…빅파마 R&D 투자 효과 기대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수요 및 신약 파이프라인 임상 증가로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고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R&D 투자에 중점을 둔 빅파마들의 CDMO를 통한 생산 비중 증가 예상으로 CDMO 기업들도 성장을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5일 유진투자증권 리서치에 따르면, 빅파마들은 자체 생산 시설 확대를 위한 CAPEX(자본적 지출) 투자와 안정적 공급이 가능한 CDMO 확보 중 양자택일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리서치는 빅파마들이 2025년부터 주력 제품들의 특허 만료가 가속화될 예정으로, CAPEX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