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다국적 제약사들이 국내 최대 임상종양학회를 맞아 활발한 마케팅 활동을 펼쳤다. 특히 다국적 제약사들은 건강보험 급여 확대를 노리는 항암제들의 적응증을 전면에 내세우는 모습이었다.
27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고 있는 2024년 대한종양내과학회 국제학술대회 'KSMO 2024'에서는 국내외 제약사 34곳이 홍보부스를 마련했다.
국내 항암치료 시장 특성상 KSMO 2024 홍보부스는 다국적 제약사가 주도했다. 항암 신약 대부분이 다국적 제약사에서 유통되는 만큼, 국내사 9곳을 제외한 25곳이 이들 부스였다.
◆
새 임상 데이터로 참관객 눈길 사로잡아
이들 제약사 커머셜(영업) 파트 임직원들은 자사 주력 항암제들을 전면에 앞세워 참관객들을 맞았다. 최고등급 후원사(블루 다이아몬드)로 참여한 한국MSD는 자사 간판인 '키트루다'를 내세우면서 조기 삼중음성 유방암(TNBC) 홍보에 주력했다.
최근 KEYNOTE-522 연구를 통해 면역항암제 최초로 TNBC 환자의 전체생존율(OS)을 입증한 만큼, 관련 결과에 더욱 힘주는 모양새였다. 키트루다는 최근 열린 ESMO 2024에서 TNBC 환자의 사망 위험을 위약군보다 34% 감소시켰다.
한국MSD 관계자는 "ESMO 2024에서 발표된 조기 삼중음성 유방암 OS 데이터 결과를 가지고 런천 심포지엄까지 개최했다"면서 "이와 관련해 심포지엄 현장 분위기도 매우 좋았다. OS 자체를 입증했다는 것에 대해 관련 의료진들이 더욱 의미부여를 해주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제약사가 아닌 치료제를 전면에 내세운 ADC 항암제 '엔허투' 부스도 눈에 띄었다. 엔허투 부스는 한국다이이찌산쿄와 한국아스트라제네카가 공동으로 마련했다. 국내 엔허투 판권을 두 제약사가 각각 절반씩 보유한 만큼, 제품명을 전면에 내세운 것으로 보여졌다.
엔허투 부스 관계자는 "엔허투 설명을 위한 커머셜 파트 인원도 양 사 임직원이 함께 나와 관련 의료진들에게 설명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아스텔라스제약은 요로상피암 치료제 ‘파드셉’과 새로운 위암 표적 치료제 '빌로이'를 앞단에 내세웠다.
특히 회사는 지난 20일 국내 허가를 받은 빌로이에 대해 기대를 거는 모습이었다. 빌로이는 전세계 최초로 승인된 클라우딘 18.2(Claudin 18.2) 양성 표적 치료제다. 새로운 바이오마커인 클라우딘 18.2이면서 HER2 음성인 절제 불가능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위선암 또는 위식도 접합부 선암인 환자에 대한 1차 치료제로 승인 받았다.
한국아스텔라스제약 관계자는 "어제 빌로이 허가 임상 데이터를 가지고 심포지엄까지 진행했는데 굉장한 관심을 보였다"면서 "클라우딘 18.2 자체가 위암에서 처음 나온 바이오마커다. 그러면서도 위암 또는 식도암 환자의 38%가 갖고 있기 때문에 다들 사용해 보고 싶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귀띔했다.
아울러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최근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에서 허가를 확대한 타그리소+항암화학요법 병용요법에 홍보를 집중하는 모습이었다.
한국얀센도 EGFR 엑손20 삽입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인 '리브리반트'를 전면에 내세웠다.
◆
"임상현장부터 알려야 급여에 도움"
각 제약사들이 내세운 약제를 자세히 살펴보면 대부분 건강보험 급여 신규 등재나 급여 확대를 노리는 신약들이었다. 키트루다는 조기 삼중음성 유방암 치료에서, 엔허투는 HER2 저발현 진행성 유방암으로까지 급여 확대 신청서를 내고 상정을 기다리고 있다.
요로상피암 1차 치료와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로 각각 허가사항을 확대한 파드셉이나 타그리소도 그렇다. 또 EGFR 엑손20 삽입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로 급여 등재에 도전했다 세 번이나 떨어진 리브리반트도 급여 등재가 절실한 상황.
그런 만큼 부스에 참여한 커머셜 파트 임직원들도 속내를 숨기지 않았다. 관련 치료제가 비급여에서 급여로 전환되기 위해선 결국 임상현장 일선에 알리는 작업이 중요하다고 귀띔했다.
부스 내 A다국적사 직원은 "관련 임상 데이터도 중요하지만 의료현장에서 이 약은 반드시 써야 한다는 여론도 중요하기 때문에 부스를 마련하고 품목 알리기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부스 내 B다국적사 직원은 "교수님들이 도리어 '급여를 빨리 받아야 하지 않느냐', '이거는 안 해줄 이유가 없다'라는 식의 문의를 많이 한다"라며 "그만큼 임상현장도 관련 치료에서 미충족 수요를 많이 느끼는 것 같다. 하지만 또 그렇다고 해서 급여 등재가 해결되진 않다 보니 회사 입장에서도 관련 고민이 많은 건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