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의대정원, 협상 영역으로…동결돼도 복귀는 안갯속

교육부-대학이 의대 학장 의견 반영해 정원 협의 근거 마련 예정
KAMC, 내년 정원 3058명, 이후 수급추계위 결정 방식 대학에 제안
전공의 "필정패는 그대로…사직 원인 일부 철회, 일부 복귀 그칠 듯"

조후현 기자 (joecho@medipana.com)2025-02-20 05:58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내년도 의대정원이 협상 영역에 들어섰다. 국회와 정부는 수급추계위원회를 통한 내년도 의대정원 결정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할 경우를 고려해 교육부 장관과 대학 총장이 의대 학장 의견을 반영해 협의·결정할 수 있는 근거 마련에 나서면서다.

다만 정책에 호응해야 할 당사자인 전공의들 사이에선 현재로선 최상의 결과인 증원 전 3058명 동결이 결정되더라도 복귀 신호탄이 되긴 부족하다는 회의적 시각이 앞선다.

의료계에 따르면 19일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2026년 의대정원을 증원 전 3058명으로 제안하는 공문을 각 대학 총장에게 발송했다. 내년도 의대정원은 증원 전 규모로 동결하고, 이후 정원은 수급추계위원회에서 결정하는 방식이다.

의대생 복귀가 2학기 이후로 늦어진다면 의사 배출이 2년째 사라지고, 내년도 학생 수는 1만2000여 명에 달해 교육 어려움이 더 커지는 만큼 의대 운영 정상화를 위해선 대승적 결정이 필요하단 이유다.

같은 날 국회는 의대 학장 의견이 내년도 의대정원 결정 과정에 반영될 수 있는 법적 근거 마련에 나섰다. 이날 오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가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 구성을 골자로 하는 법안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정부 대안에 담긴 부칙인 '각 대학이 교육부 장관과 협의해 모집인원을 변경할 수 있다'는 문구에 대한 지적이 나오면서다. 총장이 교육부 장관과 협의하는 방식은 의학교육 현장 목소리와 배치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국회 지적에 정부는 의대 학장 의견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부칙을 수정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급추계위가 물리적으로 4월까지 내년도 의대정원에 대한 추계를 도출하지 못하는 경우, 의대 학장 의견을 반영해 대학 총장과 교육부 장관이 협의해 결정토록 하는 안이 추진되는 가운데 의대 학장은 3058명 동결 의견을 제시한 것이다. 즉 오는 4월 의대정원이 협상 테이블에 오를 경우 3058명에서 5058명 사이 정원이 결정되며, 최선의 시나리오는 KAMC가 제시한 3058명인 셈이다.

전공의들 사이에선 최선의 시나리오인 3058명 동결이 결정되면 복귀 움직임은 나올 수 있겠지만, 전향적 복귀 신호탄으론 역부족이란 시각이 나온다.

A 사직 전공의는 19일 메디파나뉴스와 통화에서 정부가 기대하는 정도의 복귀가 이뤄질 가능성은 낮다고 내다봤다.

그는 "당연히 2000명 증원 그대로 가는 것보단 복귀 가능성이 생기겠지만, 사직한 이유는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대정원 2000명이 크다"며 "의국별 개인별 사직이 크다 보니 정확히 예측하긴 어렵지만, 일부를 철회하는 셈인데 기대하는 만큼 복귀할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B 사직 전공의도 같은 맥락에서 회의적 시각을 나타냈다. 목표를 세우고 함께 움직인 사직이 아니다 보니, 전공의도 의대생도 각자 생각하는 마지노선이 다른데 의대정원 동결은 대책 정도도 범위도 부족하단 시각이다.

B 사직 전공의는 "개인마다 의대정원 동결, 감원,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등 마지노선이 다르지만 의대정원 동결은 정부 입장에 가까운 해법"이라며 "3058명 정원을 정부가 받는다면 당연히 스탠스가 움직일 순 있겠지만, 다수 복귀로 이어지는 정도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언급했다.

C 사직 전공의는 전공의보단 의대생이 갖는 24·25학번 동시 교육 가능성에 대한 문제 제기가 복귀 걸림돌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당장 내년도 정원을 동결하더라도 이들은 예과 1학년부터 본과 졸업 후 전공의 수련 과정까지 문제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아 의대생 설득이 되지 않는다면 의미가 없다는 지적이다.

그는 "복귀 신호탄이 될 가능성은 있겠지만, 오히려 의대생 교육 문제가 걸림돌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의협 요구처럼 제대로 된 교육 마스터플랜이 제시되지 않는다면 문제는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보기

의대정원 4월 협의, 의대 학장 의견도 반영키로

의대정원 4월 협의, 의대 학장 의견도 반영키로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내년도 의대정원을 오는 4월 대학과 교육부 장관이 자율적으로 협의하는 데 있어 의대 학장 의견도 반영될 전망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19일 법안심사1소위원회를 열고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 구성을 담은 보건의료기본법과 보건의료인력지원법을 계속심사하기로 결정했다. 김미애 국민의힘 복지위 간사는 국회와 정부는 전문성과 과학적 근거를 갖춘 수급추계위를 구성해 독립적으로 의대정원을 정하는 구조가 필요하다는 데는 공감대가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의료계가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 산하에 수급추계위를 두는 구조에

수급추계위법, 정부안 골격 윤곽…의료계 불신 여전

수급추계위법, 정부안 골격 윤곽…의료계 불신 여전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법이 정부 대안으로 골격을 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핵심 쟁점에서 의료계 주장이 그대로 받아들여지진 않으면서 의료계가 정부에 갖는 불신과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19일(오늘) 법안심사제1소위원회를 열고 보건의료기본법 개정안 4건과 보건의료인력지원법 개정안 2건 등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 법제화를 골자로 한 법안 심사에 나선다. 법안 심사 자료에 따르면 이날 심사대에 오를 정부 대안은 핵심 쟁점에서 의료계 주장이 반영되지 않은 상태다. 위원

전공의 복귀, 2월에도 없을 듯…"3월, 패 열어봐야"

전공의 복귀, 2월에도 없을 듯…"3월, 패 열어봐야"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정부가 전공의 추가 모집에 나섰지만, 전공의 사회 분위기는 싸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국별로 '피어 프레셔(Peer pressure)'가 덜한 곳에선 소수 복귀가 이뤄질 수도 있겠지만, 사직 대오를 흐트릴 만한 규모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다. 일각에선 내달 2025학번 동맹휴학 여부와 미필 전공의 입대로 인한 대오 변동 정도란 두 가지 패를 열어봐야 서로 승리를 내다보고 있는 의정 스탠스가 재정립될 것이란 시각도 제기된다. 9일 의료계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10일부터 전공의 추가 모집을 실시한다.

전공의 복귀, 의대정원만 문제 아냐…이대론 제자리걸음

전공의 복귀, 의대정원만 문제 아냐…이대론 제자리걸음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정부와 국회가 의정갈등 해법 모색에 나선 가운데 의대정원에만 포커스를 맞춰선 전공의 복귀를 논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젊은 의사 요구 일부일 뿐인 의대정원에만 포커스를 맞추는 것으론 전공의 복귀를 담보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15일 의료계에 따르면 최근 정부·국회가 사태 해결을 위해 보이는 기조로는 전공의 복귀를 논하기엔 역부족이란 지적이 나온다. 이날 지역의사회 한 관계자는 메디파나뉴스와 통화에서 정부와 국회가 말하는 3월 전 사태 해결이 가능할지는 미지수로 봤다. 정부도 국회도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