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한 엔데믹 여파…다국적제약사 매출·수익성 악화

39개사 집계, 매출 10조·영업익3953억…전년比5.2%·13.9%↓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갖고 있는 제약사 매출 감소폭 커  
국내 매출 탑5, 화이자·노바티스·MSD·AZ·사노피 순

최성훈 기자 (csh@medipana.com)2025-04-14 05:57

[다국적 제약사 2024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①영업실적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다국적제약사 한국법인들이 올해도 엔데믹의 여파를 피해가지 못했다.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를 유통하는 회사를 중심으로 전기대비 매출이 하락하면서 외형과 수익성 모두 악화됐다.  

메디파나뉴스가 13일 외부 감사 대상으로 금감원에 공시된 39개 다국적제약사 한국법인(의료소모품이나 의료장비 주력 기업 일부 포함)의 2024년도 감사보고서를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매출은 10조349억원을 올려 전기(10조6047억원)대비 5.2% 역성장했다. 

수익성 역시 하락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기(4909억원)대비 13.9% 하락한 3953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하락은 한국화이자제약이 전체 평균을 끌어내렸기 때문이다. 한국화이자는 코로나19 효과로 지난 2022년 국내 진출한 다국적 제약사 중 최초 연매출 3조원을 돌파한 3조2253억원을 기록했지만, 매출은 지속 급감하고 있다. 

2023년 매출 1조6017억원에 이어 지난해에는 7837억원으로 매출 51.1%가 감소했다. 영업이익 역시 2022년 1200억원을 기점으로 2023년 638억원, 지난해 271억원 등 지속 감소 추세에 있다. 

여기에 자사 코로나19 백신이나 치료제 등을 유통하는 다른 회사들도 실적 악화가 두드러졌다. 

코로나19 치료제 '라게브리오'를 갖고 있는 한국엠에스디(MSD)의 지난해 매출은 6678억원으로 전기(7609억원)대비 12.2% 감소했다. 

'베클루리'를 갖고 있는 길리어드사이언스코리아도 역성장했다. 지난해 회사 매출은 3198억원으로 전기(3839억원)대비 16.7% 감소했다. 영업이익 역시 160억원에서 134억원으로 16.3%가 줄어들었다. 

모더나코리아의 매출폭 감소도 눈에 띈다. 코로나19 백신인 '스파이크박스'의 수요 감소로 지난해 회사 매출은 257억원을 기록, 전기(344억원)대비 25.1% 감소했다.  다만 코로나19 포트폴리오를 갖고 있지 않은 다국적 법인들의 매출과 수익성은 상위 제약사 중심으로 개선된 추세를 보였다. 

의정 갈등의 장기화 여파로 인해 상급종합병원 매출 비중이 높은 다국적 제약사 특성상 작년 매출이 감소할 거란 전망이 있었지만, 상위 제약사 중심으로 비교적 선방한 모습을 보인 것이다.  
특히 노보 노디스크제약의 약진이 눈에 띈다. 노보노디스크제약은 블록버스터 비만치료제 '위고비' 국내 출시와 자사 의약품들의 공급 재개 효과를 누리며, 첫 연매출 3000억원 시대를 열었다. 

이 회사의 지난해 매출은 약 3746억원으로 전년 2302억원 대비 약 62.7% 증가했다. 매출에 비례해 회사 수익률도 개선됐다. 노보 노디스크제약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136억원으로 전년 83억원 대비 63.8% 증가했다.

글로벌 상위 제약사 중 사노피아벤티스코리아와 한국애브비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간판 제품인 '듀피젠트'의 매출이 오르긴 했지만, 회사 흡수합병에 따른 외형성장 효과를 봤다. 사노피코리아는 작년 4월 회사 백신 사업부인 사노피 파스퇴르를 합병한 바 있다. 

한국애브비는 자사 자가면역질환 간판 치료제인 '린버크', '스카이리치' 등이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며, 매출 3000억원을 돌파했다.

한편 다국적제약사 한국법인들의 매출 탑5는 한국화이자(7837억원), 한국노바티스(6787억원), 한국MSD(6678억원), 한국아스트라제네카(6027억원), 사노피코리아(5926억원) 순으로 집계됐다. 

이어 머크(5238억원, 6위), 한국로슈(4394억원, 7위), 한국얀센(4304억원, 8위), 비아트리스코리아(4149억원, 9위), 글락소스미스클라인(4071억원, 10위) 순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보기

다국적제약사 한국법인 CEO에게 '기회의 땅' 되는 코리아

다국적제약사 한국법인 CEO에게 '기회의 땅' 되는 코리아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다국적 제약사 한국법인을 총괄하는 최고경영자(CEO)로선 한국이 '기회의 땅'이 되는 모습이다. 갈고 닦은 경영능력을 발판 삼아 본사 고위직군으로 영전하는 사례가 많아지면서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다국적 제약사 한국 법인 대표를 거쳐 글로벌 승진한 사례가 속속 나타나고 있다.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 한국릴리, 사노피 한국법인, 한국 베링거인겔하임, 한국얀센(최근 순) 등 총 5곳이다. 사노피 배경은 대표를 제외하면 모두 외국인 출신 대표다. 우선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 사샤 세미엔추크(S

다국적제약사 한국 출신 임원…글로벌 주요 보직 이동 러시

다국적제약사 한국 출신 임원…글로벌 주요 보직 이동 러시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다국적 제약사 한국법인에서 근무 중인 임직원들이 잇따라 글로벌 법인 중책을 맡아 눈길을 끌고 있다. 해외 임원이 과거 한국법인으로 오던 사례와 비교해보면, 국내 인재들이 해외로 역수출 되는 셈이다. 업계에선 국내 제약 인력풀이 글로벌 단에서도 핵심 자원으로 분류될 정도로 위상이 올라갔다는 의견이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아스텔라스 항암제사업부 문수미 이사, 의학부 박경아 이사, 마켓엑세스 이고운 상무 등은 해외 지사로 승진 및 보직을 발령받았다. 문수미 이사는 아스텔라스 인터내셔널 리전의 파드셉

다국적제약사 지난해 직원 명퇴금  346억원 지급‥AZ, 257억

다국적제약사 지난해 직원 명퇴금 346억원 지급‥AZ, 257억

한국시장에 진출해 있는 다국적 제약기업 직원들의 명예퇴직은 지난해에도 계속됐다. 메디파나뉴스가 45개 다국적 제약사(일부 의료기기·진단기업 포함)를 대상으로 파악한 자료에 따르면 이중 4개사가 지난해 ERP(조기희망퇴직 프로그램) 등에 따라 퇴사하는 직원들에게 법정퇴직금 외에 총 346억 여원을 명예퇴직금으로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별로는 한국아스트라제네카(AZ)가 257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한국노바티스가 2022년에 186억원 규모에 이어 지난해에도 63억원을 지급했다. 노바티스는 "글로벌 조직개편으로 인

다국적제약사, 지난해 국내 임상연구에 총 8178억 원 투자

다국적제약사, 지난해 국내 임상연구에 총 8178억 원 투자

지난해 다국적제약사는 국내 임상연구에 총 8178억 원을 투자한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5년간 R&D 투자 총비용은 연평균 14.8% 증가했으며, 초기 1·2상 임상시험 및 중증·희귀질환 연구건수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 확인됐다. 그러나 국내 R&D 투자의 지속적인 증가세에도 신약 도입율은 낮아, 환자 접근성 향상을 위한 제도적 개선 필요성이 제기됐다.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이하 KRPIA)는 국내에 진출한 33개의 글로벌제약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2023년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R&D

전공의 집단사직 장기화에 다국적제약사 영업·마케팅 '암초'

전공의 집단사직 장기화에 다국적제약사 영업·마케팅 '암초'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대학병원 전공의 집단사직 장기화로 인해 제약사 영업 활동 역시 차질을 빚고 있다. 일선 교수들의 업무강도가 높아지면서 의료진과 직접적으로 스킨십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점차 사라졌기 때문이다. 1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상급종합병원들이 비상진료체계에 들어감에 따라 제약사 영업활동은 사실상 '멈춤'에 들어갔다. 특히 가장 영향을 받고 있는 곳은 다국적제약사 한국법인들이다. 다국적제약사는 항암 신약이나 오리지널 품목이 많아 이들의 주요 영업무대는 상급종합병원일 수밖에 없는 실정. 하지만 의대 증원 방침에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