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바이오, 생체에서 전이암 치료 효과 세계 최초 입증

자연발생 전이암 반려견 모델에서 'Penetrium' 및 기존 항암제 병용 투약 결과, 전이암 치료 효과 확인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4-21 11:36

현대바이오사이언스(대표이사 진근우)는 자연적으로 전이된 암을 가진 반려견 대상으로 '가짜내성 치료제' 페니트리움(Penetrium)을 기존 항암제와 병용투여한 결과, 항암제가 전이암 병소에 제대로 도달해 전이암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21일 발표했다.

전 세계 암 사망자의 약 90%는 전이암으로 인한 것임에도 지금까지 전이암은 '항암제에 반응하지 않고 면역세포가 접근하지 못해 치료 불능한 단계'로 여겨져 왔다. 이번 연구는 기존 항암제 반복 투약 후 치료 효과가 떨어진 '가짜내성'(pseudo-resistance) 상태에서 페니트리움을 기존 항암제와의 병용 투약한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 결과, 페니트리움이 종양 미세 환경을 재조정함으로써 기존 항암제와 면역세포가 전이암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해 전이암 병소를 뚜렷하게 축소시켜 전이암을 치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전이암은 치료 불능'이라는 고정관념을 극복한 세계 최초의 생체 입증 사례다.

전임상 전문기관인 컬프에서 진행된 이번 실험은 유선암을 앓고 있고, 유선암(원발암)으로부터 다양한 부위에 전이가 진행된 자연발생성 종양을 가진 반려견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1차 투약 단계에서는 폴리탁셀을 1주 간격으로 총 3회 투여했고, 이후 일정한 휴지기를 거친 후 2차 투약에 들어갔다. 2차 투약 단계에서는 대조군에는 폴리탁셀을 반복 투약했고 실험군에는 폴리탁셀과 Penetrium을 병용 투약했다. 그 결과 실험군의 모든 전이암의 종양 크기 감소가 확인됐고, 단독 투여군 대비 최대 1.45배의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됐다.

아울러 이번 실험에서는 병용 투여군의 전이암 병소에서의 반응이 원발암보다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병용 투여군에서는 원발암 병소에서는 최대 38.7%의 종양 축소율를 보였고, 전이암 병소에서는 이보다 1.47배 높은 최대 56.9%의 감소율을 보였다. 이는 Penetrium이 '전이 전 니치'(pre-metastatic niche) 형성을 차단하고, 암조직 주변의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을 연화시켜 기존 항암제와 면역세포가 도달하지 못했던 전이암 깊숙한 병소에 약물을 침투시켰기 때문이다.

기존에는 항암제 반복 투여시 치료효과가 감소하는 것은 암세포가 유전자 변형을 통해 항암제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진짜내성'(True-resistance)으로 인한 것으로 간주됐지만, 현대바이오는 '가짜내성'(pseudo-resistance) 즉, '약물 도달 실패'에서 그 원인을 찾았다. 반복된 항암제 투여는 ECM을 더욱 단단하게 경화시키고, 전이 전 니치 형성과 간질압 상승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약물과 면역세포의 암세포 도달'이 차단된다는 것이다.

Penetrium은 ECM을 연화시켜 항암제와 면역세포가 종양 중심부까지 도달하도록 유도하는 미세환경 조절제다. Penetrium의 병용 요법은 전이암 치료 실패의 원인을 '진짜내성'이 아닌 '가짜내성', 즉 '도달 실패'에서 찾는 것을 전제로 '도달의 통로를 열어주는 전략'이다. 이번 반려견 실험은 사고의 전환만으로 기존 항암제의 치료 효과가 회복된다는 사실을 실제 생체 내에서 증명한 최초의 사례로 평가된다.

현대바이오와 현대ADM은 이번 반려견 실험에 앞선 삼중음성유방암(TNBC) 마우스 실험에서 면역항암제와 Penetrium 병용 투여 시 전이 억제율 87.8%, 종양 괴사율 최대 37.5%라는 탁월한 결과를 확인했다. 이는 가짜내성을 조기에 해소함으로써 전이 자체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다.

반면, 이번 반려견 실험은 이미 전이된 암이 존재하는 생체 환경에서 그 병소까지 실질적으로 치료 가능하다는 점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Penetrium 병용 요법의 전이암 예방 효능뿐 아니라 그 치료 효능까지 입증한 것이다.

현대바이오 진근우 대표는 "이번 반려견 실험은 Penetrium 병용 요법이 이미 전이된 암도 치료할 수 있음을 생체에서 최초로 실증한 것"이라며 "가짜내성 치료제 Penetrium은 기존 항암제가 종양 깊숙이 도달할 수 있도록 종양 미세 환경을 조절해 전이 자체를 사전에 차단함과 동시에 전이된 병소까지 실질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첫 해답을 제시한 것"이라고 말했다.

의학계는 반려견을 사람과 가장 유사한 대동물 모델로 평가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Penetrium 병용 요법이 반려견 모델을 통해 치료 효과가 확인됐다는 사실은, '사람에게도 그 치료 효과가 높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현대바이오는 '가짜내성(Pseudo-resistance) 극복을 통한 전이암의 예방 및 치료'를 주제로 이번 반려견 전임상 결과를 비롯해, 마우스 모델에서의 전이 예방 데이터를 포함한 'Penetrium 병용 요법의 전임상 성과'를 오는 25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공식 발표할 계획이다.

관련기사보기

현대바이오 '페니트리움', 전립선암 임상 승인

현대바이오 '페니트리움', 전립선암 임상 승인

현대바이오사이언스(대표이사 진근우)는 모회사 씨앤팜이 신청한 '거세저항성 전립선암(CRPC) 환자를 대상으로 항암 신약 페니트리움(Penetrium, CP-PCA07)과 호르몬 치료제 엔잘루타마이드를 병용 투여했을 때의 안전성, 내약성 및 유효성을 평가하는 다기관 임상 1상 시험'이 지난 3월 2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았다고 31일 밝혔다. 현대바이오는 씨앤팜으로부터 '페니트리움의 전립선암 사업권'을 공식 이전받아, 이번 임상은 물론 향후 개발과 상업화를 직접 주도한다. 이번 임상은 기존 호르몬 치료제인 엔잘루타마

현대바이오, 가짜내성 치료제 '페니트리움' 전립선암 대상 임상 신청

현대바이오, 가짜내성 치료제 '페니트리움' 전립선암 대상 임상 신청

현대바이오사이언스는 전립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가짜내성 치료제 '페니트리움'(Penetrium) 임상시험(1/2a상)을 신청한다고 25일 밝혔다. 당초 모회사인 씨앤팜이 해당 임상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청한 바 있으나, 씨앤팜과 현대바이오는 이 IND를 현대바이오가 진행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씨앤팜은 기존 IND를 자진 철회할 예정이다. 이번 임상의 대상인 전립선암은 전 세계에서 연간 약 120억달러 규모 시장을 형성한 대표적인 고형암이다. 전립선암 환자에 기존 항암제를 투여하면 일시적으로 항암효과가 나타나다가 반복 투

현대바이오, 베트남 보건당국자 등 본사 방문..."뎅기열 임상 협력 논의"

현대바이오, 베트남 보건당국자 등 본사 방문..."뎅기열 임상 협력 논의"

현대바이오사이언스(대표 오상기)는 지난 베트남 보건당국자 및 국립열대병병원(NHTD) 주요 관계자가 지난 20일부터 24일 일정으로 현대바이오 마곡 본사 및 국내 의료기관 방문 일정 등을 순조롭게 마치고 베트남으로 귀국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방문은 지난 1월 국립열대병병원의 '뎅기열 및 유사질환 대상 제프티(XAFTY) 임상연구 시험' 관련 국가 레벨의 EC(Ethics Committee) 를 받은 이후 진행된 일정으로, 향 후 진행될 베트남 보건부의 최종승인을 앞두고 이뤄졌다. 주요 방문단 인사로는 국립열대병병원 임상센터장과 임상

현대바이오·현대ADM, "AACR서 새 항암치료 패러다임 제시"

현대바이오·현대ADM, "AACR서 새 항암치료 패러다임 제시"

현대바이오와 현대ADM은 오는 4월 25일부터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2025년 미국암연구학회(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AACR)에서 '가짜내성(Pseudo-Resistance)'을 '진짜내성(True-resistance)'으로 잘못 인식해 온 80년 항암치료 역사상 최대 오류를 세계 최초로 과학적으로 실증하고 가짜내성을 치료하는 '페니트리움(Penetrium)'의 연구결과를 발표한다고 17일 밝혔다. 최초의 항암제가 개발된 후 80여 년 동안 세계 의학계와 제약업계는 '처음에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