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 호르몬 치료 즉시 받아야 골다공증·심혈관 예방"

김미란 교수 "폐경 여성 중 35.9%만이 폐경으로 병원 찾아"
60세 전까진 에스트로겐 수치 높여야 골밀도 개선   
국내선 저용량 호르몬 요법 못 써…약가 산정 방식 개선 지적

최성훈 기자 (csh@medipana.com)2024-11-12 05:56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우리나라 4050 여성에서 폐경기 증상 관리가 중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폐경 전문가는 국내 폐경 치료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점을 지적하며, 호르몬 치료만 적절히 받는다면 건강 수명을 늘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11일 서울성모병원 산부인과 김미란 교수(대한폐경학회 회장)는 한국오가논이 주최한 'Her Health(허헬스)' 미디어 세션에 나와 이같이 밝혔다. 

김 교수에 따르면 월경이 불규칙해지는 폐경 이행기를 거쳐 1년 동안 월경이 완전히 중단됐을 때 폐경으로 진단된다. 

현재 국내 여성 폐경 연령은 약 50세로, 전체 여성 10명 중 4명이 폐경기를 맞고 있다. 문제는 관련 여성 10명 중 약 3명(35.9%)만이 심한 폐경 증상으로 인해 병원을 찾을 정도로 치료 의지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하지만 폐경 증상이 지속되면 여성호르몬 변화로 인해서 골다공증이나 심혈관 질환 등 삶과 직결되는 위험에 노출된다.  

김 교수는 "폐경 여성 2~3명 중 1명은 골다공증을 경험하는데, 이는 폐경이 되면 골밀도가 1년에 1.5%씩 감소하기 때문"이라면서 "또한 젊은 여성은 에스트로겐 분비로 인해 심혈관 질환 예방효과를 보지만, 폐경기 여성은 에스트로겐 수치 감소로 더 노출되기 쉽다"고 말했다.  

따라서 대한폐경학회도 폐경 증상이 나타날 경우 호르몬 치료를 즉시 시행할 것을 권고한다고 했다.

호르몬 치료는 대표적으로 조직 선택적 에스트로겐 활성 조절제(STEAR)가 쓰인다. STEAR는 폐경과 연관된 주요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토겐, 안드로겐의 효과를 모두 나타낸다. 유방과 자궁내막에선 에스트로겐 작용을 억제하면서도 뼈와 생식기 등에선 에스트로겐 효과를 보여 기존 호르몬 치료제보다 유방통과 질 출혈 빈도가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 교수는 특히 골밀도가 낮다면, 호르몬 치료를 바로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폐경 호르몬 치료는 부족해진 에스트로겐 호르몬을 증가시켜 골다공증 치료 및 예방을 79%(5.51점/7점) 개선시키기 때문이다. 

폐경 호르몬 치료에 따른 암 발생도 우려할 수준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국내 폐경 질환 인식 및 치료 실태조사 결과에서 폐경 여성 75.4%는 폐경 호르몬 요법 시 가장 우려하는 점으로 '암 발생 위험'을 꼽은 바 있다. 

이에 대해 김 교수는 "WHI(Women's Health Initiative) 스터디 결과, 폐경 호르몬 치료와 유방암 발생 상관관계는 연간 1만명 중 8명꼴로 발생한다"라며 "호르몬 치료에 대한 걱정으로 폐경 치료 이점을 놓쳐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폐경 호르몬 치료는 60세 미만 또는 폐경 후 10년 이내까지 받는 게 좋다고 했다. 60세 이후부턴 단계적으로 호르몬을 감량해 중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다만 조기 난소부전(폐경)의 경우, 골다공증과 관상동맥질환이 조기 발생할 수 있으므로 최소 평균적인 자연폐경 나이까지 호르몬요법을 지속해야 한다고 했다. 

또 국산 호르몬제에 대한 약가 혜택도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건복지부가 성분 함량에 따라 약가를 조정하다 보니 저용량 호르몬제는 채산성이 안 맞아 시장에서 사라졌다는 이유에서다. 

김 교수는 "국산 에스트로겐 약 중에 0.625mg이나 0.45mgm 0.3mg 짜리도 있었지만, 약가를 너무 인하하다 보니 생산을 중단했다"면서 "사실 저용량이 더 만들기 어려운데 정부는 성분 함량에 따라 약가를 조정한다. 의료진 입장에선 저용량 호르몬 요법을 하고 싶은데도 하지 못하는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에선 에스트로겐 패치 등 다양한 제형과 용량이 나오는데 우리나라는 있던 약도 공급을 안 해주는 상황이 됐다"면서 "환자들은 맞춤형 호르몬 치료가 중요한데 예전보다 치료제 선택의 폭이 훨씬 줄어들었다"고 부연했다. 

마지막으로 김 교수는 '폐경' 대신 '완경'이라는 표현 사용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폐경은 '학술용어'인 만큼, 이를 부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선 안 된다는 이유에서다. 

김 교수는 "폐경이라고 하면 부정적어서 완경이란 말을 쓰자고 하는데 폐경이 왜 나쁜 말인가. 아카데믹한 용어기 때문에 거부감을 안 가졌으면 좋겠다. 다른 말로 불러야 한다라는 주장에 대해선 공감을 못 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보기

30대인데 6개월 이상 생리 없으면 '조기폐경' 의심

30대인데 6개월 이상 생리 없으면 '조기폐경' 의심

여성의 월경 주기는 보통 26일에서 35일이다. 사람마다 월경 주기가 다르지만 보통 한달에 한번씩 월경이 찾아온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여러 원인에 의해 여성의 생리 주기는 더 짧아지거나 길어질 수 있고, 불규칙한 생리를 일컫는 생리 불순이 생길 수도 있다. 여성이 나이가 들면서 난소가 노화돼 기능이 떨어지면 배란 및 여성호르몬의 생산이 더 이상 이뤄지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을 폐경이라고 하며 대개 40대 후반부터 시작돼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폐경이행기에 우리나라 여성의 60% 정도는 급성 여성호르몬 결핍 증상으로 안면홍조, 발한

한미약품 '라본디', 폐경 후 골감소증 치료에 유용한 처방 옵션

한미약품 '라본디', 폐경 후 골감소증 치료에 유용한 처방 옵션

한미약품은 자체 개발한 골다공증 치료제 '라본디'의 임상 4상 연구 결과가 미국골대사학회(ASBMR)의 오픈 엑세스 저널인 JBMR Plus(Impact Factor : 3.4) 최신호에 등재됐다고 23일 밝혔다. '라본디캡슐'(라록시펜, 콜레칼시페롤)은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이하 SERM)와 비타민D를 결합한 복합제로, 세계 최초로 SERM 계열의 라록시펜염산염(Raloxifene HCl)에 비타민D의 콜레칼시페롤농축분말(Cholecalciferol)을 결합한 제품이다. 라본디는 국내 골다공증 경구제 시장에서 5년 연속

폐경 이후 여성, 고혈압 유병률 높고 합병증에 취약해

폐경 이후 여성, 고혈압 유병률 높고 합병증에 취약해

5월 17일은 '세계 고혈압의 날'로 고혈압에 대한 경각심과 관련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지정됐다.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는 고혈압은 우리나라 사망원인 10위권 내에 있는 심장, 뇌혈관, 당뇨 등 주요 질환을 유발하는 핵심 원인으로 꼽힐 만큼 위험하다. 특히 여성은 남성에 비해 혈압이 낮더라도 심혈관 질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만큼 고혈압 유병률이 높아지는 50대 이상 여성이라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2년 본태성 고혈압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수는 약 699만 명이다. 전체 환자의 남녀 비율은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