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FDA 신약 10% '유전자치료제'…신속 프로그램 활용 ↑

지난해 FDA 승인 신약 50건 중 5건이 유전자치료제…바이오 의약품 혁신 주도
신속 프로그램 활용으로 개발·승인 속도 단축…첨단 기술과의 결합 주목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1-21 05:54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지난해 FDA 승인 신약 50개 중 10%가 유전자치료제로, 혁신적인 치료제 개발에서 유전자치료제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이 확인됐다. 아울러, FDA의 다양한 신속 프로그램 활용도가 높아지며 유전자치료제의 개발과 승인 속도가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재생의료진흥재단 '美 FDA 유전자치료제 허가 및 신속 프로그램 지정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FDA에서 승인된 신약 50개 중 5개가 유전자치료제로, 전체의 10%를 차지했다. 승인된 치료제는 ▲Autolus 테라퓨틱스 '오베카브타진 오토류셀(Aucatzyl)' ▲어댑티뮨 'TECELRA' ▲PTC 테라퓨틱스 'KEBILIDI' ▲화이자 'Beqvez' ▲오차드 테라퓨틱스 'Lenmeldy' 등으로, 대부분 희귀질환과 유전병 치료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들 치료제는 유전자편집 기술, 바이러스 벡터를 활용한 전달 기술 등 첨단 바이오 기술이 결합된 사례로, 유전자치료제가 최근 바이오 의약품 개발의 주요 분야 중 하나로 자리잡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유전자치료제 개발 과정에서 FDA의 신속 프로그램이 적극 활용된 점도 눈길을 끈다. FDA는 유전자치료제 등 혁신 신약의 개발을 촉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신속 심사/승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실제 많은 유전자치료제들이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FDA 허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재생의료진흥재단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7월 기준 FDA에서 허가된 유전자치료제 20개 모두가 최소 2개 이상의 신속 프로그램을 활용했으며, 95%가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았다. 가장 많은 지정을 받은 신속 프로그램은 ▲Orphan drug였으며, 그 뒤를 이어 ▲Priority Review Designation과 ▲Breakthrough Therapy Designation ▲Fast Track 등이 이름을 올렸다.

또한, RMAT(Regenerative Medicine Advanced Therapy)와 같은 프로그램은 첨단재생의료 분야 치료제의 개발을 촉진하며, FDA의 혁신적 심사 체계가 의약품 개발 속도와 품질을 모두 끌어올린 사례로 평가됐다.

해당 보고서는 "FDA의 신속 프로그램은 유전자치료제 개발에 있어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핵심 도구로 자리잡고 있다"며 "개발 기업들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환자들에게 빠른 치료 접근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재생의료진흥재단은 보고서를 통해 유전자치료제의 성공 배경으로 첨단 기술 발전을 꼽았다. CRISPR-Cas9 기반 유전자 편집, 고효율 바이러스 벡터,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치료제 설계 기술 등이 유전자치료제 개발의 효율성을 크게 높였다는 평가다.

유전자치료제의 평균 임상개발 기간은 84.4개월로 이전보다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최근 승인된 치료제들의 개발 기간은 초기 제품 대비 절반 이하로 단축됐다. 이는 CRISPR-Cas9 같은 최신 유전자 편집 기술의 발전과 신속 프로그램의 효과가 결합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아울러 Ex-vivo 치료제 임상개발 기간은 평균 68.6개월로 In-vivo 치료제 임상개발 기간(103.6개월)보다 짧은 개발 기간을 보였다.

다만, 재생의료진흥재단은 "유전자치료제의 임상개발 기간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신속 프로그램 지정 여부와 임상개발 기간 간 명확한 연관성은 분석 자료 등 요인으로 인해 파악할 수 없었다"며 "신속 프로그램에 지정 및 승인됐다고 해서 의약품의 정식 품목허가를 담보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신속 프로그램 별로 지정 요건 및 혜택 등 특징이 상이하기 때문에 개발 중인 의약품의 특성을 고려해 임상시험 설계 단계에서부터 FDA 신속 프로그램 지정을 염두에 두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보기

국내 보건의료‧산업 기술수준, 미국과 2년 이상 격차 여전

국내 보건의료‧산업 기술수준, 미국과 2년 이상 격차 여전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우리나라의 보건의료‧산업 기술수준이 2024년도를 기준으로 최고기술 보유국인 미국 대비 질환 분야는 80.3% 수준(기술격차 2.2년), 산업 분야는 79.1% 수준(기술격차 2.5년)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우리나라는 2022년 기술수준과 비교하면 질환 분야는 80.1%(기술격차 2.2년)에서 0.2%p 향상(기술격차 변동 없음)되고, 산업 분야는 78.9%(기술격차 2.8년)에서 0.2%p 향상(기술격차 0.3년 단축)된 것으로 분석된다. 국가별로는 한

첨단재생바이오법 개정안, 환자와 산업 위한 기준 마련 필요

첨단재생바이오법 개정안, 환자와 산업 위한 기준 마련 필요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15년 전 망막색소변성증 진단을 받아 저시력시각장애를 갖고 있다. 진단을 받았을 때는 치료법이 없어 절망적이었지만, 첨단재생바이오법(이하 첨생법)이 제정되고 새로운 치료기술들이 나오고 있고, 이 자리에 앉아서 발언할 수 있다는 것이 감개무량하다." 소아희귀난치안과질환협회 최우주 공동대표는 13일 서울 코엑스(COEX)에서 첨단재생의료산업협회(CARM) 주관으로 열린 '제5회 첨단재생의료 발전전략 포럼'의 토론자로 참석해 희귀난치질환자들에게 첨생법은 '희망'이라고 강조했다. 희귀난치질환을 가진 환자들

개정된 첨단재생바이오법, 바이오 기업 간 기대·우려 공존

개정된 첨단재생바이오법, 바이오 기업 간 기대·우려 공존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첨단재생바이오법, 첨생법)이 지난 2월 개정돼 내년 2월부터 시행됨에 따라, 바이오 기업들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고 있다. 서울 코엑스(COEX)에서 진행된 '바이오 코리아 2024(BIO KOREA 2024)'(이하 바이오코리아)의 마지막 날인 10일, '첨생법 도입 이후 아시아 국가들의 규제 및 산업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하는 컨퍼런스가 열렸다. 컨퍼런스에서 발제를 맡은 황유경 유아바이오컨설팅 대표는 '

2025년 상반기 주목할만한 FDA 신약 승인 결정 5가지

2025년 상반기 주목할만한 FDA 신약 승인 결정 5가지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은 글로벌 신약 탄생의 바로미터다. 지난해 FDA 승인 신약은 50개로, 최근 10년간 연평균 승인 신약 건수(46.5개)보다 풍년을 이뤘다. 올해도 승인을 노리는 글로벌 신약 기대주들이 줄줄이 FDA 결정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 특히 상반기에는 비마약성 통증치료제 '수제트리진'을 비롯한 국산 항암신약 HLB '리보세라닙' 등 다양한 신약들이 FDA 허가를 기다리고 있다. 메디파나뉴스는 올해 상반기 주목할 만한 FDA 신약 승인 결정 일정 5가지를 꼽아 소개한다. ◆ 비마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 성장 지속…미국 선두 유지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 성장 지속…미국 선두 유지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미국은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에서 독보적 지위를 유지했다. 2일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는 국내‧외 바이오의약산업 최신 환경 변화를 반영하고, 산업정보 및 동향을 수집‧분석해 '2024년 바이오의약품 산업동향 보고서'를 발간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 규모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13.1% 성장률을 보였다. 미국, 독일, 프랑스, 일본, 중국 등 국가들이 강세를 보였으며, 특히 미국 시장이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에서 약 65%로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