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미필 전공의 조사, 사실상 '입영대기 통보' 비판

입영의향 조사서 최대 4년 입영대기 가능성 안내
미래의료포럼 "입영의향 조사 아닌 강제적 입영대기 통보"

조후현 기자 (joecho@medipana.com)2025-02-21 15:42

국방부 의무사관후보생 입영의향 조사, 사진=미래의료포럼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지난해 전공의 사직으로 대거 발생한 의무사관후보생을 대상으로 한 국방부 입영의향 조사가 사실상 입영대기 통보였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국방부는 21일 언론 브리핑을 통해 의무사관후보생 입영대상자를 4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입영시키겠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국방부에 따르면 전공의 수련기관에서 퇴직한 의무사관후보생을 대상으로 입영의향 조사가 이뤄졌다. 입영의향 조사에서는 3480명 가운데 150여 명만 입영을 신청했다. 국방부는 이들 150여 명을 포함해 군의관과 공보의 수요에 따라 960명을 선발하고, 나머지는 다음 연도로 입영을 연기하겠다는 입장이다.

최근 국방부는 군의관이나 공보의로 선발되지 못하고 입영 대기하는 의무사관후보생을 현역 미선발자로 분류해 관리하는 훈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한 바 있다.

의료계에선 이날 언급된 국방부 입영의향 조사가 사실상 입영대기 통보였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래의료포럼이 공개한 의무사관후보생 입영의향 조사 항목으로는 네 가지가 확인된다. 전공의 수련기관에서 퇴직한 사람이 맞는지, 2025년 입영 의향이 있는지, 없다면 입영 시기가 언제인지를 묻고 있다. 답변 선택지로는 각각 예, 아니오나 2026년, 2027년 등 두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문제는 네 번째 항목이다. 네 번째 항목은 '위 답변에도 불구하고 본인 의사와 다르게 입영 일정이 결정될 수 있으며 입영까지 1년에서 4년까지 대기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인은 이러한 사실을 안내받았음을 확인한다'는 내용이다. 1~3번 문항과 다르게 답변 선택지도 '확인함' 하나로 확인된다.

의료계에선 동의를 받는 것이 아니라 강제적 통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사실상 최대 4년 입영 대기 가능성을 통보하기 위한 설문이었단 지적이다.

오는 22일 국방부 앞에서 항의 집회를 여는 군 미필 사직전공의들도 국방부 훈령 개정에 대해 설명하며 해당 조사를 언급한 바 있다. 지난해 연말 이미 입영대기 가능성에 동의하란 서류를 군 미필 사직전공의에게 보냈지만 원하는 만큼 답변이 모이지 않자 동의 없이 강제로 집행하기 위해 훈령을 개정하는 것이란 설명이다. 입대 시기를 최대 4년까지 임의로 연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평등권 박탈이자 병역 의무 이행자 차별이란 입장도 밝혔다.

미래의료포럼은 "해당 설문은 입영대기를 시키겠다는 통보를 위한 것"이라며 "국방부는 국방의 의무를 원칙대로 지키겠단 국민에게 계약위반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관련기사보기

전공의 복귀, 2월에도 없을 듯…"3월, 패 열어봐야"

전공의 복귀, 2월에도 없을 듯…"3월, 패 열어봐야"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정부가 전공의 추가 모집에 나섰지만, 전공의 사회 분위기는 싸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국별로 '피어 프레셔(Peer pressure)'가 덜한 곳에선 소수 복귀가 이뤄질 수도 있겠지만, 사직 대오를 흐트릴 만한 규모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다. 일각에선 내달 2025학번 동맹휴학 여부와 미필 전공의 입대로 인한 대오 변동 정도란 두 가지 패를 열어봐야 서로 승리를 내다보고 있는 의정 스탠스가 재정립될 것이란 시각도 제기된다. 9일 의료계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10일부터 전공의 추가 모집을 실시한다.

의협, '의무·수의 장교 선발 훈령 개정안' 반발…강경 대응 예고

의협, '의무·수의 장교 선발 훈령 개정안' 반발…강경 대응 예고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대한의사협회가 국방부의 '의무·수의 장교의 선발 및 입영 등에 관한 훈령' 개정안을 두고, 젊은 의사들의 권리를 심각하게 침해하고 병역 의무의 평등성과 공정성을 해친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의협은 해당 개정안이 군 의료인력 수급 악화를 초래하고 군 의료체계 신뢰를 무너뜨리는 '악법'이라며, 즉각적인 개정안 철회와 병역의무 이행에 대한 국민의 정당한 선택권 보장을 강력히 요구했다. 또한, 정책 강행 시 법적 조치를 포함한 강경 대응에 나설 것을 경고했다. 22일 대한의사협회는 보도자료

전공의 입대 문제 데드라인 온다…비대위에 손내민 집행부

전공의 입대 문제 데드라인 온다…비대위에 손내민 집행부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군대에 가야 할 인원은 3000명 정도인데, 1000명은 원래 가야 할 인원은 1000명 정도다. 2월 초가 지나면 원치 않는 2000명이 군대에 가게 될 수도 있다." 대한의사협회 집행부에서 비상대책위원회 역할론이 제기된다. 내년 2월 초면 전공의 군 입대 문제 데드라인이 도래해 새 집행부가 대응할 시간이 없는 만큼, 비대위 주도와 집행부 협조로 대응을 준비해둬야 한다는 지적이다. 의협 집행부 관계자는 13일 기자들과 만나 비대위와 소통에 아쉬움을 나타냈다. 새 회장이 선출될 때까지 활동기간이 짧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