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5년 4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삼성바이오로직스, 2위 셀트리온, 3위 유한양행 순으로 분석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2025년 3월 15일부터 2025년 4월 15일까지의 128개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6,157만3,530개를 분석하여 소비자와 브랜드의 관계 분석을 했다. 지난 3월 브랜드 빅데이터 6,340만7,741개와 비교하면 2.89% 줄어들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지수는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평판조사에서는 참여지수와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시장지수로 분석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브랜드의 마케팅 시장지표 분석과 정성평가를 포함했다. 정성적인 분석 강화를 위해서 ESG 관련지표와 오너리스크 데이터도 포함했다.
2025년 4월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유한양행, SK바이오팜, 한미약품, 삼천당제약, SK바이오사이언스, 종근당, 녹십자, 대웅제약, 셀트리온제약, 한미사이언스, 한올바이오파마, HLB제약, 에스티팜, 동국제약, 대웅, HK이노엔, HLB생명과학, 보령제약, 대화제약, 신풍제약, 광동제약,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코오롱생명과학, 바이넥스, 퓨쳐켐, JW중외제약, 녹십자웰빙, 비보존제약 순으로 분석됐다.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삼성바이오로직스 브랜드는 참여지수 289,622 소통지수 223,544 커뮤니티지수 355,989 시장지수 15,410,66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6,279,819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18,343,193과 비교해보면 11.25% 하락했다.
2위, 셀트리온 브랜드는 참여지수 913,336 소통지수 535,909 커뮤니티지수 835,872 시장지수 8,062,976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0,348,093으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9,577,565와 비교해보면 8.05% 상승했다.
3위, 유한양행 브랜드는 참여지수 560,265 소통지수 266,290 커뮤니티지수 652,528 시장지수 2,043,45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522,535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3,299,922와 비교해보면 6.75% 상승했다.
4위, SK바이오팜 브랜드는 참여지수 166,316 소통지수 89,292 커뮤니티지수 297,767 시장지수 1,698,819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252,194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2,472,800과 비교해보면 8.92% 하락했다.
5위, 한미약품 브랜드는 참여지수 138,354 소통지수 178,970 커뮤니티지수 492,776 시장지수 632,545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442,644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1,534,042와 비교해보면 5.96% 하락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5년 4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 존림)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3월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63,407,741개와 비교하면 2.89% 줄어들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19.70% 상승, 브랜드이슈 2.93% 상승, 브랜드소통 13.59% 하락, 브랜드확산 3.60% 하락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2025년 4월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한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유한양행, SK바이오팜, 한미약품, 삼천당제약, SK바이오사이언스, 종근당, 녹십자, 대웅제약, 셀트리온제약, 한미사이언스, 한올바이오파마, HLB제약, 에스티팜, 동국제약, 대웅, HK이노엔, HLB생명과학, 보령제약, 대화제약, 신풍제약, 광동제약,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코오롱생명과학, 바이넥스, 퓨쳐켐, JW중외제약, 녹십자웰빙, 비보존제약, 휴온스글로벌, 삼진제약, 동구바이오제약, 삼성제약, 한독, 부광약품, 박셀바이오, 휴온스, 영진약품, 일양약품, 유나이티드제약, 대원제약, JW생명과학, 동아에스티, 휴메딕스, 중앙백신, 현대약품, 코미팜, 경남제약,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동성제약, 콜마비앤에이치, 삼일제약, 동화약품, 제일약품, 한국파마, 유유제약, 알리코제약, 조아제약, 대봉엘에스, 이연제약,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제일바이오, 티움바이오, 국제약품, 대한약품, 압타바이오, 차백신연구소, CMG제약, 씨티씨바이오, 일동제약, 메드팩토, JW신약, 지놈앤컴퍼니, 이수앱지스, 엔지켐생명과학, AP헬스케어, 안트로젠, 하나제약, 환인제약, 큐라클, 경동제약, 신신제약, 안국약품, 그린생명과학, 대성미생물, 에스씨엠생명과학, 노바렉스, 경보제약, 삼아제약, 뉴트리, 에이치엘사이언스, 명문제약, 에이비온, 프롬바이오, 진양제약, 비엘팜텍, 카이노스메드, 대한뉴팜, 종근당바이오, 서울제약, 진바이오텍, 휴럼, 테라젠이텍스, 화일약품, 위더스제약, 네오이뮨텍, 하이텍팜, 국전약품, 고려제약, 아이큐어, 한국유니온제약, 신일제약, 일성아이에스, 비씨월드제약, 현대ADM, 아미노로직스, 코스맥스비티아이, 바이젠셀, 비피도, 코스맥스엔비티, 폴라리스AI파마, 우진비앤지, 드림씨아이에스, 더블유에스아이, 팜젠사이언스, 팜스빌, 씨엑스아이 등이다.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