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보건의사 제도, '복무기간 단축' 없이는 존속 어려워"

복무기간 24개월 단축하면 공중보건의사 94.7%, 군의관 92.2% 복무 희망

김원정 기자 (wjkim@medipana.com)2025-04-17 13:37

 
공중보건의사 제도의 존속을 위해 복무기간 단축이 불가피하는 의견이 제시된다.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는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복무기간이 줄어들수록 공중보건의사, 군의관에 대한 지원 의향이 크게 높아지는 경향을 들며 제도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복무기간 단축을 정부에 촉구했다.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회장 이성환)는 2024년 의료정책연구소의 연구 용역으로 수행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하며 의과대학생 246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를 통해 복무기간 단축이 공중보건의사 및 군의관 제도의 존속에 결정적 변수임을 밝혔다.

이 조사에 따르면, 복무기간이 24개월로 단축될 경우 공중보건의사 복무 희망률은 94.7%, 군의관은 92.2%에 달했다. 협의회는 "복무기간 단축이 지원율을 끌어올릴 유일한 해법임이 수치로 입증됐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공중보건의사 복무 희망률은 현행 37~38개월에서 26개월로 단축 시 62.9%, 24개월일
경우 94.7%로 상승했다. 

군의관 또한 같은 조건에서 각각 55.1%, 92.2%로 급등했다. 특히 '일반의무병' 복무를 희망했던 응답자들조차 복무기간이 24개월로 단축되면 약 94% 이상이 공중보건의사나 군의관 복무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성환 회장은 "복무기간을 줄이면 단순히 지원율이 올라가는 수준이 아니라, 지금 단축하지 않으면 머지않아 아무도 지원하지 않게 될 것이라는 경고"라며 "이미 공중보건의사 제도의 붕괴는 시작됐으며 지금이 마지막 기회"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복무기간에 대한 부담은 압도적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74.5%가 부담 정도를 10점 만점 중 10점(매우 부담됨)으로 평가했으며 '9점'까지 포함하면 84%에 달했다. 

복무기간이 짧아질수록 복무 희망률은 가파르게 상승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전공의·공중보건의사·군의관 희망자 모두에게서 공통적으로 관찰됐다.

그러나 보건복지부는 이를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 대응은 미흡한 상태다. 군복무
단축 논의는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으며 공중보건의사 제도 개선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도 제시되지 않은 상황이다. 협회는 수차례 복무기간 단축과 처우 개선을 요청해왔으나, 예고된 2025년 지침서 개정안에서도 관련 내용은 제외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회장은 "정부가 공공의료를 진정으로 지키려는 의지가 있다면 협회와 즉각 대책회의를 열어야 한다"며 "이대로 개선 없이 방치된다면 더는 후배들에게 공중보건의사를 권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협의회는 지자체들의 책임 회피도 강하게 비판했다. 전국 지자체의 85%가 민간의사 채용 예산을 전혀 책정하지 않고 있으며 진료공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도 공중보건의사에만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실정임을 밝혔다. 

협회는 "의료공백을 말하기에 앞서, 지자체가 무엇을 해왔는지부터 돌아봐야 한다"며 "이제는 책임을 전가할 때가 아니라 직접적인 행정을 보여줄 때"라고 강조했다.

또 "공중보건의사 제도의 존속 여부는 결국 복무기간 단축에 달려 있다"며 정부와 국회에 조속한 제도 개선 논의를 공식 촉구했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