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폭행 제대로 조사해" 사이버상 성토 러시

청와대 국민청원 하루만에 5000명 넘어‥사이버경찰청에 미흡한 수사 지적 이어져

박민욱 기자 (hop***@medi****.com)2018-07-04 11:59

[메디파나뉴스 = 박민욱 기자] 익산에서 술에 취한 환자가 의사를 폭행한 사건이 발생하면서 의료계가 공분하고 있다.

대한의사협회(회장 최대집, 이하 의협)를 비롯한 대한개원의협의회(회장 김동석, 이하 대개협), 지역의사회 등은 성명서를 통해 "전북 익산 병원에서의 폭행사건은 수십 수백명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행위이다"고 규정하며 "진료의사 폭행이 재발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식 의사단체의 입장뿐만이 아니라, 사이버 상에서도 담당 경찰의 미흡한 대처를 질타하며, 응급실 폭행자를 구속수사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먼저 청와대 국민청원 및 제안 게시판에 이와 관련된 청원이 여러 건 진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술에 취해 응급실 의료인을 폭행한 사건, 철저한 조사가 필요합니다', '응급실 폭행자를 구속수사' 등의 제목으로 해당 사건에 대한 엄밀한 조사를 촉구했다.

아울러 "감옥에 갔다 와서 칼로 죽여버리겠다"는 제목의 청원에는 청원시작 하루만에 5,885명(7월 4일 10시 기준)이 찬성의 뜻을 보였다.

해당 글의 제목은 술에 취한 한 환자가 응급실 의료인을 폭행한 후에 내뱉은 말로 청원자는 "자신을 치료해주는 의료인을 무자비하고 잔인하게 폭행하는 세상이다. 기가 막혀 말도 안 나올 지경이다.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사이버 경찰청 자유게시판에는 사건이 발생한 익산 응급실 담당 경찰에 대한 성토글들이 대량으로 올라왔다.

'익산 응급실 담당 경찰은 직무유기' '주취자에 의한 응급실 내 의료인 폭행 강력처벌' '전북지방 경찰청의 안일한 대처 규탄'의 제목으로 담당 경찰의 조치가 아쉽다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개원의 A원장은 "이번 사건에서 응급실 폭행이라는 '특수 폭행'을 대하는 경찰의 태도가 안일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초동수사, 사후대처 모두 미흡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법만 있으면 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집행하는 경찰의 태도가 중요하다.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개정안'과 '의료인 폭행 방지법'의 취지를 반영해 관행을 바꿔 제대로 수사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보기

복지부 "응급실 의사 폭행 유감‥엄중처벌 적극 나설 것"

복지부 "응급실 의사 폭행 유감‥엄중처벌 적극 나설 것"

주취환자가 응급실 의사를 폭행사건이 또다시 발생, 의료계의 공분을 사고 있는 가운데 복지부가 가해자 엄중처벌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4일 보건복지부 전문기자협의회와 만난 이기일 보건의료정책관은 최근 익산 A병원에서 발생한 응급실 의사 폭행사건에 대해 유감을 표하며 강화된 현행법에 따라 처벌이 이뤄질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폭력과 협박에 시달리는 응급실 의료인들의 실태를 알리며 진료의사 폭행재발 대책을 촉구하는 청와대 청원계속됨은 물론, 의협이 응급실 의사 폭행 피의자에 대한 구속수사를 공식적으로 촉구한 상황에서 복

의료인 폭행 '국민청원'…청와대 답변 물 건너가나?

의료인 폭행 '국민청원'…청와대 답변 물 건너가나?

[메디파나뉴스 = 박민욱 기자] 의료기관 내 의료인 폭행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국민청원 마감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하지만 청원 참여 인원이 20만 명에 훨씬 못미치는 13만 5000여명을 기록하고 있어 청와대 공식답변은 사실상 어렵게 됐다. 특히 지난 한 달 동안 경찰청 앞 집회, 각 단체별 참여 유도, 국민청원 참여 퍼포먼스 등 각고의 노력을 경주한 대한의사협회(회장 최대집, 이하 의협) 입장에서는 아쉬운 마음을 달래야 하게 됐다. 지난 7월 1일, 전북 익산 소재 한 병원 응급실에서 의료인 폭행사건이 발생하자 다다음날인 7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