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전공의 모집, 소청과·외과·흉부외과·산부인과 '빨간불'

소청과, 92명 모집에 29명 지원 그쳐…심각한 인력공백 불가피
외과·흉부외과, 상당수 정원미달…산부인과도 경쟁률 1:1 밑돌아
내과·비뇨의학과, 조사대상 병원 중 정원미달 1곳도 없어
인기과에선 경쟁률 4:1까지도…의료계 "근본적 해결 어렵다"

이정수 기자 (leejs@medipana.com)2022-12-08 06:09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이변은 없었다. 올해 전공의 모집에서도 지난해와 다르지 않은 상황이 전개됐다. 그 중에서도 소아청소년과 기피 현상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파악된다.

7일 메디파나뉴스는 수도권 내 15개 주요 수련병원을 대상으로 2023년도 레지던트 모집 지원 현황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소청과, 외과, 심장혈관흉부외과, 산부인과 등은 비교적 타 과에 비해 지원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반면 안과, 성형외과,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등은 모집 규모에 비해 더 많은 지원자가 발생했다.
소청과, 경쟁률 0.3대 1 최저…학회 고민에도 악화 여전

모집 인원 대비 지원 규모가 가장 낮았던 과는 소청과였다. 15개 병원 모집 정원은 총 92명이었지만 지원자 수는 29명에 그쳐, 경쟁률이 0.3대 1에 머물렀다. 

소청과 전공의 모집에 나선 14개 병원 중 서울아산병원을 제외한 13개 병원에서 모두 경쟁률이 1대 1을 밑돌았다.

이 중 절반에 가까운 6개 병원에서는 아예 지원자가 없었다. 세브란스병원에서는 11명 모집에 나섰지만, 지원자를 1명도 확보하지 못했다.

이대로라면 대다수 병원에서 소청과는 심각한 인력공백 상황이 불가피하다.

소청과는 수련과정이 어려운데다, 의료분쟁 위험부담이 크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돼왔다. 거기에 의료수가가 낮고, 저출산으로 소아인구가 줄면서 기피과로 전락했다.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는 2022년도 모집부터 수련기간을 4년에서 3년으로 단축했지만, 기피 현상 개선으로 이어지진 않았다.

외과·흉부외과도 저조…내과·비뇨의학과 안정세 뚜렷

외과와 심장혈관흉부외과도 경쟁률이 0.7대 1로 타 과에 비해 저조했다.

외과에서는 14개 병원 중 9개 병원에서, 심장혈관흉부외과에서는 13개 병원 중 9개 병원에서 정원 미달이 발생했다.

외과는 14개 병원이 총 103명 모집을 추진했지만, 지원자는 76명에 그쳐 약 30명에 가까운 인력 공백에 처하게 됐다.

산부인과는 15개 병원 모두 전공의 모집에 나선 상황에서, 총 98명 모집, 84명 지원으로 경쟁률 0.9대 1을 기록해 모집 정원을 채우는 데 실패했다. 15개 병원 중 정원 미달이 발생한 병원은 6개였고, 이 중 2개 병원에서는 지원자가 나오지 않았다.

이들과 달리 내과와 비뇨의학과는 각각 경쟁률이 1.2대 1, 1.3대1로 비교적 안정적인 상황이 연출되면서, 최근 수년새 나타난 흐름을 이어나갔다.

내과는 266명 모집에 326명이, 비뇨의학과는 27명 모집에 34명이 각각 지원했다. 특히 두 과에서는 모집에 나선 병원 모두 정원미달이 나타나지 않아, 안정감을 더하기도 했다.
안과·성형외과, 경쟁률 2대 1 최상위…인기과 추세 여전

기피과와 마찬가지로 인기과도 지난해와 비슷한 상황이 유지됐다.

안과는 42명 모집에 83명이 지원해 경쟁률이 2대 1을 기록하면서, 인기과로서 입지가 재확인됐다. 14개 병원이 모집에 나선 상황에서 2개 병원은 경쟁률이 3대 1을 기록하기도 했다.

성형외과도 34명 모집에 64명이 지원하면서, 경쟁률 1.9대 1로 안과와 함께 나란히 높은 인기를 드러냈다.

정형외과와 재활의학과는 15개 병원이 모두 전공의 모집에 나선 가운데, 경쟁률 1.7대 1를 나타냈다. 정형외과에서는 83명 모집에 137명이 몰려 50명 이상이 정원에 포함될 수 없는 상황에 놓였다. 특히 두 과에선 경쟁률이 4대 1 수준인 병원도 확인됐다.

피부과와 영상의학과도 경쟁률이 1.5대 1 이상을 나타내, 인기과 대열을 이어갔다.

이같은 기피·쏠림 현상이 계속되고 있는 점에 대해 일각에선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토로한다.

한 대학병원 관계자는 "세대 전환이 일어나면서 이제는 업무량이나 수익성에서 비교적 유리한 과를 선택하려는 경향이 더 뚜렷해진 듯하다"며 "필수의료 지원이나 수가 개선 등 각 과마다 전공의 확보를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는 못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의료계 관계자도 "정부가 필수의료 분야에 대한 지원 정책을 내놓겠다고 한 상황이지만, 정책이 나오더라도 현실적으로 체감되기엔 아무래도 한계가 있을 것"이라며 "해마다 반복되는 특정 과에 대한 쏠림 또는 기피 현상이 개선되려면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한 듯하다"고 평했다.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