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진료 방식, 78.1%가 전화 진료…"부작용도 알려야"

약준모, 비대면 진료 이용자 및 찬성자 대상 설문조사 실시
비대면 진료 찬성자, 비대면 진료 부정적 요소 가능성 언급 시 '반대'로 의견 전환

조해진 기자 (jhj@medipana.com)2024-02-16 06:01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비대면 진료의 약 80%가 별다른 기술적 활용 없이 전화 진료로만 이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상담시간 또한 비대면 진료자 90.5% 이상이 5분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사의미래를준비하는모임(이하 약준모)은 "지난해 12월 정부가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을 확대하고, 최근 대통령이 약배송 허용을 주장하면서 국민들이 비대면 진료를 찬성한다는 설문조사 결과를 근거로 삼았지만, 제대로 된 정보 제공 후 이뤄진 설문조사인지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특히 비대면 진료를 주제로 한 방송 보도 등의 경우 친절한 의사에 의해 자세히 상담이 이뤄지는 것처럼 묘사되며 긍정적인 부분이 강조되고 있지만, 부실한 진료, 비대면 진료 확대로 인한 건강보험료 상승, 지역 의료기관 소멸 등과 같은 부정적 요소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는 전혀 이야기가 되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에 약준모는 비대면 진료 이용자 및 찬성자를 대상으로 지난 1월 11일부터 15일까지 5일간 DATAMOND에 의뢰해 비대면 진료 현황과 비대면 진료의 부정적 요소 발생 시 나타나는 의견 변화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대상자 선정은 스크리닝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비대면 진료 이용현황 조사를 위해 비대면 진료를 이용해 본 적이 있는 응답자를 필터링 조사해 총 480명을 대상으로 선정했다. 

먼저 '비대면 진료를 어떤 방식을 통해 이용했는지' 묻는 질문에 37.3%가 '병원에 직접 전화' 했다고 응답했으며, 40.8%가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화 진료'를 했다고 답변했다. 즉, 78.1%가 전화로만 진료를 진행한 것이다. 

'휴대폰 및 앱을 통한 문자 상담'을 한 응답자는 13.8%로 나타났으며,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상 진료'를 진행했다고 답한 응답자는 7.9%에 그쳤다. 기타 방법으로 0.2%가 있었다. 

약준모는 "비대면 진료의 이용 형태 설문조사 결과는 비대면 진료가 기술적인 발전과 무관하다는 것을 확인하는 내용"이라고 설명했다. 

두 번째 '비대면 진료 시 의사와 실제 상담이 진행된 시간'에 대해 묻는 질문에는 45%가 '1~3분'이라고 답했다. 

응답자의 25%는 '3~5분', 16.7%는 '1분 이내'라고 답했으며, 3.8%는 '상담 없이 처방'에 응답해 비대면 진료의 90.5%가 5분도 안 되는 상담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5분 이상 상담을 진행한 경우는 9.6%에 그쳤다. 

약준모는 "비대면 진료는 환자와의 상담을 통해서만 진료가 이뤄지는 만큼 더 상세한 상담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절반이 넘는 환자들이 3분 이내의 상담만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비대면 진료의 부정적 요소 발생 시 나타나는 의견 변화에 대한 조사를 위해 비대면 진료 확대에 '매우 찬성' 혹은 '찬성'으로 응답한 응답자를 필터링해 총 794명을 선정, 조사를 진행했다.

'비대면 진료 확대로 인해 지역 의료기관이 감소할 경우' 비대면 진료 확대에 대한 생각이 어떤지 묻는 질문에는 39.1%가 '반대' 의견(32.4% 반대, 6.7% 매우 반대)으로 돌아섰다. 

'비대면 진료 확대로 인해 건강보험료의 부담금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59.9%가 '반대' 의견(42.6% 반대, 17.3% 매우 반대)으로 전환했다. 

'비대면 진료로 초래될 부정적 영향에 대해 기존에 알고 있었는가'를 묻는 질문에는 41.4%가 '전혀 몰랐다'고 응답했으며, '비대면 진료의 부정적인 가능성에 대해 정부 및 언론이 관련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가'를 묻는 질문에는 97.1%가 '해야 한다'(51.3% 반드시 해야 한다, 45.8% 가능한 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또한 '비대면 진료 확대와 심야시간 응급실 및 달빛 병원, 공공심야약국 같은 오프라인 의료기관 확대 중 어느 정책이 더 우선돼야 하는가'를 묻는 질문에는 88.7%가 '오프라인 의료기관 확대'의 손을 들었다. 

약준모는 해당 설문조사 결과에 대해 "비대면 진료의 확대는 현재 비대면 진료 시 의사에 추가적인 진료비를 지급(재진진료비 30%)하고 있고, 일반의약품을 복용함으로써 충분히 해결 가능한 가벼운 감기나 단순 알러지와 같은 경질환에 대한 진료가 급증해 건강보험의 부담이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비대면 진료로 인해 지역 의료기관 감소, 비급여 처방의 급여 처방 변조, 위조 처방전, 마약제조 가능 의약품의 대량 판매, 의약품 지연 배송 및 누락, 전문의약품 불법 광고, 커피 쿠폰 등을 미끼로 한 불필요한 진료 유도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약준모는 "비대면 진료 확대를 찬성하는 사람들조차 비대면 진료에서 발생할 문제점을 인지했을 경우 의견을 변경할 수 있음이 조사를 통해 확인됐다"면서 "비대면 진료로 건강보험료 인상이 수반될 경우, 다수의 국민들이 비대면 진료 확대 찬성 의견을 철회하고 반대로 돌아서는 것을 고려할 때, 정부는 COVID19 시기 비대면 진료 확대로 인한 건강보험 재정에 대한 영향 등에 대해 충분히 국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비대면 진료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작용을 선제적으로 조사해, 국가의 보건의료정책이 흔들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면서 "비대면 진료 확대 반대를 무마시키는데 행정력을 소모하는 것이 아니라, 응급상황에서 대응할 수 있는 보건 의료체계 안정화에 기여하는 정책이 민의를 대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