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 1조원대 혈장분획제제-'I&I' R&D로 성장전략 구축

알리글로 미국 진출을 통해 PD제제 Full Value Chain 확보, 지속 수익 성장 기대
I&I 확장성 및 시장성 큰 분야, 지난해 6개 신규 과제 시작
2025년 10% 이상 매출 성장, 2배 이상 영업이익 성장 기대

조해진 기자 (jhj@medipana.com)2025-02-14 05:57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GC녹십자가 혈장분획제제 2030 매출 1조원 달성 목표를 선언했다. 이와 함께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면역 및 염증 질환(I&I, Immunology&Inflammation) 치료제 개발을 새로운 주요 사업으로 삼아 기업 성장 기반을 다지고 있다.

GC녹십자가 지난 12일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기업설명회(IR) 자료에 따르면, 기업의 성장 전략은 크게 ▲'알리글로'의 성공적인 미국 시장 진입과 함께 ▲혈장분획(PD, Plasma Derivatives)제제 글로벌 성장 가속 ▲고수익 제품 국가 확대 ▲사업 포트폴리오 안정화 ▲혁신신약의 미국·유럽 임상 진입 등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제고 등 5가지 영역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는 전 세계 모든 면역글로불린(IG, Immuno Globulin) 시장의 견고한 장기 성장세와 글로벌 알부민 시장의 안정적인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수익 창출이 증대될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다. 

GC녹십자는 IG 주력 시장을 창출 및 견인하기 위해 장소·시간에 구애 받지 않는 SC제형 개발을 통해 약가를 높이고, 부산물 개발을 통한 PD 포트폴리오를 강화해 수익성을 강화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또한, 혈액원 확장을 통해 자체 혈액 조달 비중을 증대함으로써 안정적인 혈장 공급 체계를 확립하고, 단기적으로 생산 캐파(Capa)를 증가시키되, 중장기적으로는 신규 생산 캐파를 확대해 PD제제의 성장을 만들어갈 방침이다. 목표는 오는 2030년까지 혈장분획제제 매출 1조원 달성이다. 

GC녹십자 관계자는 메디파나뉴스와의 통화에서 "PD제제 시장에 선제적으로 진출한 글로벌 경쟁사의 경우, 미국에 진출 후 연 10% 이상 성장했다"며 "GC녹십자도 알리글로를 주축으로 미국에 진출하고, 생산부터 공급까지 모두 가능한 IG 시장 구조(Full Value Chain)를 확보한 만큼, 향후 수익이 안정적으로 창출되는 사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GC녹십자는 신성장동력으로 '헌터라제'를 앞세운 희귀의약품 사업, 제2의 지씨플루로 불리는 차세대 수두 백신 '배리셀라' 등 GC녹십자의 백신 시장 확대와 함께 프라이머리 케어(Primary Care)와 CHC(Consumer Health Care) 사업구조 개선, CMO(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글로벌 사업 본격화 등을 신성장 동력으로 삼을 것임을 밝혔다. 

다만, 제약사의 꾸준한 펀더멘탈 개선은 결국 R&D에서 비롯된다. 이에 GC녹십자는 기존의 주요 R&D 전략이었던 혈장분획제제, 백신, 희귀질환과 함께 면역 및 염증 질환(I&I)에 대한 부분을 추가했다. 

GC녹십자가 IR 자료에 인용한 KDDF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10대 제약사의 파이프라인 1047개 중 204개(19%)가 면역과 관련돼 있다. 

Biocentury analysis 자료에서는 지난 1년간 글로벌 상위 21개사 중 15개 회사가 I&I 프로젝트를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C녹십자 관계자는 "확장성 및 시장성이 큰 글로벌 I&I 분야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면서, 지난해 하반기 I&I 분야에서 ▲만성기관지염 이중특이항체 치료제 ▲염증성 장질환 단일클론/이중특이항체 치료제 ▲만성기관지염 mRNA/LNP 치료제 ▲ICI-불응성 고형암 항체 기반 치료제 ▲진행성 고형암 이중특이항체 치료제 ▲지도모양위축증(황반변성) 생물학적 치료제 등 6개 과제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 6개 중 만성기관지염 이중특이항체 치료제와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를 제외한 4개 과제는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연구개발을 진행하기로 한 상태다. 

GC녹십자 관계자는 "현재 시작된 과제들은 대부분 지난해 말 오픈 이노베이션을 체결했다"며 "초기 연구개발 단계로 현재까지는 타깃 질환 탐색 단계다. 각 파이프라인의 진행 정도는 매해 IR 자료를 통해 업데이트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밖에도 백신 포트폴리오를 업데이트하고, 국내 유일 조류 인플루엔자 백신인 'H5N1'의 균주 변경을 통한 팬데믹 대응 준비, '헌터라제'의 글로벌 임상 연구 및 허가 확대, 산필리포증후군 A형(MPS IIIA) ICV(뇌실 내 약물 직접 투여 방식) 치료제 개발, 파브리병 치료제 개발, mRNA/LNP 인프라를 바탕으로 기업 가치 제고 등의 방침을 세웠다.

2025년 R&D 분야에서 기대되는 부분은 탄저·BCG 백신의 식약처 품목 승인, 해외 7개국 제품 품목 허가, 연구개발 중인 치료제들의 임상 진입, mRNA 번역 효율 증대, 신규 lipid 개발 및 타겟 기관 전달 효율 개선, 신규과제 전임상 후보물질 식별 및 진행 여부 결정 등이라고 밝혔다.

또한, 실적 면에서는 2025년 10% 이상의 매출 성장과 2배 이상의 영업이익 성장, 현금흐름 안정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GC녹십자 관계자는 "알리글로 성장 및 고마진 제품의 외형 확대와 함께 자회사 경영효율화를 통한 이익 구조를 개선해 매출 및 영업이익 성장을 이뤄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보기

상위 전통 제약사 매출 상승세…유한·GC녹십자·보령 약진

상위 전통 제약사 매출 상승세…유한·GC녹십자·보령 약진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코스피(KOSPI) 상위 제약사 매출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며 순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특히 유한양행, GC녹십자, 보령의 약진이 주목된다. 메디파나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12일까지 발표된 코스피(KOSPI) 상위 7개 전통 제약사의 2024년도 연결재무제표 기준 실적을 집계한 결과, 실적 발표가 나오지 않은 광동제약을 제외하고, 유한양행·GC녹십자·한미약품·대웅제약·보령 등 5개 기업의 매출액이 증가했다. 지난해 가

GC녹십자, WORLD심포지엄서 희귀질환치료제 연구 성과 공유

GC녹십자, WORLD심포지엄서 희귀질환치료제 연구 성과 공유

GC녹십자(대표 허은철)가 지난 3~7일 미국 샌디에고에서 진행된 'WORLD Symposium 2025'에서 리소좀축적질환(LSD, Lysosomal Storage Disorder) 관련 치료제 개발 동향을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WORLD Symposium 2025'은 리소좀 질환 관련 전문가들이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 더 나은 치료법에 대해 연구하는 국제포럼이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GC녹십자는 자사의 'GM1 강글리오시드증(GM1 gangliosidosis, 이하 GM1)'의 경구용 샤페론 치료제 'GC2126A'의 비임상

GC녹십자 '헌터라제 ICV', 국내 희귀의약품 지정

GC녹십자 '헌터라제 ICV', 국내 희귀의약품 지정

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자사의 중증형 헌터증후군 치료제인 '헌터라제 ICV(intracerebroventricular)'가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됐다고 5일 밝혔다. GC녹십자는 '헌터라제 ICV' 치료제로 2017년 러시아, 2020년 일본, 2021년 유럽에서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됐다. '헌터라제 ICV'는 머리에 삽입한 디바이스를 이용해 약물을 뇌실에 직접 투여함으로써 중추신경 증상을 개선시킨 전세계 유일한 방식의 치료법이다. 이러한 투여 방식을 통해 환자의 뇌혈관 및 중추신경 세포까지 전달된 약물은 인지능

지씨셀 부진에 GC녹십자 순손실↑…올해 실적 개선에 주목

지씨셀 부진에 GC녹십자 순손실↑…올해 실적 개선에 주목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지씨셀의 당기순이익이 적자전환하면서 모기업인 GC녹십자의 순손실이 115.2% 늘었다. 지난해 실적은 아쉽지만, 지씨셀과 녹십자는 모두 올해 충분한 성과를 바탕으로 실적 개선 및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24일 GC녹십자는 전자공시시스템에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대규모 법인 15%) 이상 변경'에 따라 공시 의무가 발생, 연결재무제표 기준 지난해 실적을 공시했다. 해당 공시에 따르면, GC녹십자의 2024년 매출액은 1조6799억원, 영업이익은 321억원, 당기순손실은 426억원

GC녹십자, 올해에도 성장세 지속 전망…'알리글로' 매출 주목

GC녹십자, 올해에도 성장세 지속 전망…'알리글로' 매출 주목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GC녹십자가 올해 1조8000억원대 연매출을 기록하면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알리글로'의 코페이 프로그램 지원에 따른 미국 매출 확대 등이 긍정적인 요인이 될 것으로 관측됐다. 20일 증권가에서는 GC녹십자 올해 연매출이 1조8183억~1조8361억원, 영업이익 741억원~779억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실적을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알리글로 매출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데 더해 연결회사도 파이프라인 축소, 인력 감축 등을 통해 비용을 통제, 영업손실 폭 감소에 노

한미약품-GC녹십자, 파브리병 혁신신약 국내 임상 1/2상 승인

한미약품-GC녹십자, 파브리병 혁신신약 국내 임상 1/2상 승인

한미약품과 GC녹십자가 세계 최초 월 1회 피하투여 용법으로 공동 개발 중인 파브리병 치료 혁신신약의 글로벌 임상에 본격 돌입한다. 한미약품과 GC녹십자는 지난 9일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파브리병 치료제 'LA-GLA(HM15421/GC1134A)' 임상 1/2상 시험계획서(IND)를 승인 받았다고 13일 밝혔다. 작년 8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임상 1/2상 진입을 위한 IND 승인을 받은 데 이어, 이번 식약처 승인으로 다국가 임상 개발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임상 시험에서는 파브리병 환자를 대상으로 L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