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첩] 바뀌길 원한다면…이전과 다른 게 필요하다

문근영 기자 (mgy@medipana.com)2025-02-17 11:59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업계에서 원하는 게 있다면, (정부가 받아들일 수 있는 내용에 관해) 솔직하게 무엇을 어떻게 바꿔 달라고 얘기할 필요가 있다."

최근 정부와 제약바이오 업체가 만난 자리에서 나온 말이다. 정부가 제약바이오 업계 애로사항을 모두 파악할 수 없기에, 업계에서 구체적인 개선안을 얘기하는 게 정책 등 변화를 끌어낼 수 있다는 얘기다.

특히 정부 관계자 A씨는 해당 사안을 자세하게 알고 있는 업계가 정부에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무리 좋은 제안이라도 업계 주장만 펼친다면, 제도 개선 등 변화가 나타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는 "업체에서 뭔가 해결해달라고 얘기하는데, 정부에서 처음 확인하는 내용이거나 업계만 아는 것인 경우에 처리하기 어렵다"면서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선) 회사에서 어느 정도는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예를 들어, 어떤 제품을 개발하려는 데 기존 제도가 맞지 않는다면, 이렇게 바꿔 달라고 구체적으로 전달하는 게 좋다"며 "그냥 이걸 어떻게든 해결해달라고 말하면, 정부도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덧붙였다.

정책 변화를 바라는 업계가 이전과 다르게 움직일 필요가 있다는 얘기가 나온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근무하고 있는 관계자 B씨는 최근 기자와 만나 관련 내용을 이야기한 바 있다.

고위직 공무원으로 퇴임한 B씨는 "업계에서 특정 주제에 대해 '이런 점이 불편하다', '저런 게 바꼈으면 좋겠다' 등 어려움을 토로하는데, 이건 업계가 원하는 걸 얻지 못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업계가 어떤 정책을 원하는 경우, '어떻게 하면 정부가 해당 정책을 추진하도록 만들 수 있을까'. '정책 변화 속도를 높이기 위해선 업계에서 어떤 대안을 제시하는 게 좋을까' 등 전략적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정부 관계자, 고위직 공무원 출신으로 제약바이오 업계에 종사하고 있는 관계자 사이에서 이런 얘기가 나오는 상황은 업계가 원하는 걸 얻기 위해 상호주관적으로 관련 내용을 파악해야 한다는 걸 보여준다.

제약바이오 업계가 주도적으로 움직여 정부 제도 개선 등 변화를 끌어낼 수 있을지, 아니면 기존 방식을 고수하며 어려움을 토로하는 상황에 머무를지 눈여겨볼 대목이다.
 

관련기사보기

[수첩] 일본 8위 제약사 미쓰비시다나베의 매각

[수첩] 일본 8위 제약사 미쓰비시다나베의 매각

미쓰비시다나베제약이 최근 미국 사모펀드에 매각됐다. 일본 미쓰비시화학은 지난 7일 자회사인 다나베미쓰비시제약을 미국 베인 캐피탈에 매각한다고 발표했다. 총 매각금액은 약 5100억엔. 우리나라 돈으로 약 4조8000억원 수준이다. 미쓰비시다나베의 매각 소식에 일본 현지는 충격적이란 반응이다. 회사 전신인 다나베제약이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제약사기 때문이다. 다나베제약은 1678년 설립됐다. 그러다 2007년 일본 최대 화학그룹인 미쓰비시화학의 자회사 미쓰비시제약과 합병을 통해 현재에 이르렀다. 업계는 합병 당시만 해도 두 기업 간

[수첩] 제약바이오, 기대감이 사치가 되지 않길

[수첩] 제약바이오, 기대감이 사치가 되지 않길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최근 제약바이오를 향한 정부 행보에 기대감이 서린다. 하지만 못 미더움도 못지않다. 절실한 제약업계 목소리가 전달되길 바래본다. 복지부는 올해 해외약가 비교재평가 추진에 앞서 사후약가관리 제도를 우선적으로 정비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사용량 약가연동제, 실거래가 약가인하, 리베이트 약가연동제, 급여적정성 재평가 등 의약품 급여 가격 관리를 위한 여러 제도가 2~3중으로 엮여 있는 상황에서, 부적절하게 약가가 인하되는 것을 막겠다는 의도다. 그렇다고 해서 기존 사후약가관리 틀을 바꾸겠다는 것은 아니다.

[수첩] '자금수혈' 제약바이오 IPO, 온기가 시급하다

[수첩] '자금수혈' 제약바이오 IPO, 온기가 시급하다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올해 들어 기업공개(IPO)에 도전한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지난해 말 심화된 IPO 혹한기가 연초까지 이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지난달 IPO 절차를 본격화 한 동국생명과학은 공모가 희망밴드 하단인 1만2600원보다 30% 정도 낮은 9000원에 공모가를 받았고, IPO 대어로 꼽히는 오름테라퓨틱 역시 희망밴드 하단인 2만4000원보다 17% 가량 낮은 2만원에 공모가를 확정 지었다. 당초 회사 계획보다는 낮은 가격대다. 이러한 흐름은 지난해 말부터 두드러졌다. 지난해 12월

[수첩] '중증' 분류의 새로운 기준 '적합질환자'

[수첩] '중증' 분류의 새로운 기준 '적합질환자'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지원사업'이 지난해 신청을 받아 전국 47개 상종이 참여를 확정지었다. 올해 본격으로 사업이 시행되는 첫해에 들어선 것이다. 이 사업은 수도권 대형병원 쏠림 등 왜곡된 의료 공급 이용체계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상급종합병원을 중증 중심으로 개편한다는 취지다. 이를 위해 중증 환자비중을 현행 50%에서 70% 단계적으로 상향하도록 했다. 주목되는 부분은 중중 중심 전환을 위해 '적합질환자'라는 새로운 분류기준의 등장이다. 이 적합질환자 분류기준에는 ▲DRG A(전문진료질병군)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 작성자 비밀번호 확인 취소

    ..**2025.02.18 12:53:41

    공무원 줄여달라는 말을 어떻게 해요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