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美 47대 대통령 당선…韓 제약바이오 기업 영향은

제약바이오, 반도체 못지 않은 자국 보호도 강한 영역
기업 기술 협력 등 진행 시에도 진입장벽 높아질 수 있어
초당적 지지받는 생물보안법, CDMO 부문 등은 기회로 삼을 수 있어

조해진 기자 (jhj@medipana.com)2024-11-07 05:59

사진=FOX NEWS 영상 캡처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미국 공화당 소속 도널드 트럼프가 제47대 대통령 당선이 확실시 됐다. 미국 우선주의를 강하게 주장하는 인물인 만큼 한국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미국 진출에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언론 폭스뉴스(FOX NEWS)에 따르면, 트럼프는 현지시간으로 6일 새벽 민주당 후보 카멀라 해리스와의 대결에서 승리했음을 선언했다. 

트럼프는 대통령 선거인단의 투표결과가 하루 만에 결판이 난 것을 두고 "사상 최고의 정치운동이라고 생각한다"고 자축하며 "우리는 우리나라가 치유되도록 도울 것이다. 우리는 우리나라의 모든 것을 고칠 것이다. 미국의 황금기를 만들 것"이라고 강경한 미국 우선주의에 대한 노선을 분명히 했다.

하나금융연구소가 지난 10월 발표한 2025년 일반산업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제45대 대통령이었던 트럼프가 재집권에 성공할 경우, 한 차원 높은 관세 중심 보호무역 기조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을 위대하게'라는 슬로건을 내세운 트럼프는 멕시코 생산 조차도 부정적으로 여길 정도로 철저히 자국 중심의 배타적인 공급망을 구축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중국 배제 정책은 유지할 전망이므로, 이 부분에서 기회를 찾아야 한다.

트럼프 재집권과 관련해 조원희 법무법인 디엘지 대표변호사는 메디파나뉴스와의 통화에서 "제약바이오 분야는 미국에서도 반도체 못지 않게 국가적으로 자국 보호가 강한 영역"이라며 "트럼프의 대통령 당선 영향으로 인해 미국 제약바이오 시장 허들도 높아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특히, 미국 기업과의 기술 협력 및 교류 계약 등을 진행 시 타국 기업에 대한 더욱 세밀한 검토가 이뤄져 진입장벽이 기존보다 더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조 대표변호사는 "미국 정권이 바뀐 만큼 각 산업별로 미국 제도 전체에 대한 리뷰가 다시 들어갈 것"이라며 "좀 더 세부적인 분석이 필요하겠지만, 각 기업들은 미국 진출이 더 어려워질 것을 기본으로 염두하고 미리 대비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산업연구원이 지난달 7일 발간한 '산업경제이슈'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의 바이오의약품 산업에 대한 주요 정책 기조는 ▲약가인하 ▲자국 내 필수의약품 생산 ▲공적부조·사회보험 개혁 ▲바이든 정부 헬스케어 정책 축소 또는 재편, 철회 등이다. 

2018년 트럼프가 미국 제45대 대통령으로 집권할 당시, 국내 혁신형 제약기업의 신약에 대한 약가 우대 조항을 한미FTA에서 삭제했던 바 있다. 이처럼 제약바이오 산업과 관련해 직·간접적 통상 압력이 예상된다.

보고서는 미국의 필수의약품 및 의료기기에 대한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될 것에 대비해 국내 필수의약품 적정 재고 관리, 바이오시밀러의 현지 시장가격에 대한 개입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협상력 제고 및 대응 논리를 마련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압력만 남은 것은 아니다. 트럼프 정부도 제네릭과 바이오시밀러 사용 촉진에 대해서는 우호적인 입장인 점으로 볼 때, 한국 바이오시밀러의 수요는 최소 현재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인도·유럽·일본 기업과 바이오시밀러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단기 관점의 가격 인하보다 중장기적인 혁신 바이오베터 특허·기술 확보와 경쟁력 제고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한, 공화당과 민주당의 공동 발의 생물보안법(Biosucure Act)이 초당적 지지를 받고 있기 때문에, 중국 CDMO 기업 입지가 위축되는 만큼 유전자 분석·CDMO 부문에서는 기회를 잡을 수 있다.

반면 기존 중국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기 위한 국가와 기업간 경쟁이 심화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의약품 제조환경의 특수성과 규제 및 전환 기간을 고려할 때 즉각적 수혜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에 기업은 생산 용량 규모 확보뿐만 아니라 서비스 품질 향상, 해외 파트너링 확보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강구하는 등 시장 변화에 선제적 대응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관련기사보기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