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의료사고 안전망방안, 필수의료 말살"…政 "확정 아냐"

의료소송 남발·합의금 폭등…필수의료 붕괴 우려

김원정 기자 (wjkim@medipana.com)2025-02-22 05:58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정부가 '의료사고 안전망 강화 종합방안'을 논의하는 가운데, 관련 내용이 언론을 통해 알려지자 의료계 일각에서는 '필수의료 말살법'이라고 비판했다. 또 의료 분쟁을 조장하고 필수의료 기반을 흔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아직 구체적인 방안이 확정되지 않았다고 해명했지만, 논란은 계속될 수 있을 전망이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의료사고안전망 전문위원회가 '의료사고 안전망 강화 종합방안'을 논의 중으로, 분만, 중증 외상, 심·뇌 질환, 중증 소아 등 필수의료 분야에서 의사 과실이 없는 불가항력적 의료사고 발생시 국가보상한도를 상향하는 방향에 대해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쟁점이 되는 부분은 의료사고 발생시 형사처벌 기준이다. 의사의 단순 과실일 경우, 필수의료 여부와 합의 여부에 따라 처벌 수위가 달라질 수 있다. 합의하면, 환자 사망 시에도 필수과 의사는 기소되지 않지만, 비필수과 의사는 합의가 이뤄져도 기소될 수 있다.

반면, 합의가 안 될 경우, 필수과 의사는 단순 과실로 환자가 중상해를 입으면 불기소되고 사망시 기소는 되지만 형을 감면하거나 면제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하지만 비필수과 의사는 단순 과실이라도 합의를 못 하면, 기소될 수 있다.

이날 보건복지부는 보도설명자료를 통해 "의료사고 안전망 강화방안은 의료개혁특위 논의를 거쳐 최종 확정·발표될 예정이며, 아직 구체적인 방안이 확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의료계는 아직 구체적 방안이 확정되진 않았지만 보도를 통해 알려진 해당 방안이 도입될 경우 의료 분쟁이 급증하고, 필수의료 기반이 무너질 수 있다고 난색을 표했다.

대한산부인과의사회 김재연 회장은 이날 메디파나뉴스와의 통화에서 관련 방안에 대해 "의료 분쟁을 조장하고, 필수의료를 말살하는 방안이다. 비필수 의료과에 대한 분쟁이 극대화될 것이며, 결국 우리나라 의료를 중단시키는 방안"이라고 날을 세웠다.

또, "대부분의 사망이 병원에서 발생하는 상황에서, 보도된 방안대로라면 의료사고 소송이 급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합의 여부에 따라 기소 여부가 달라지는 구조라면, 기소를 피하려는 의사들은 높은 합의금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결국, 필수의료뿐만 아니라 비필수의료도 지속하기 어려운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의사 과실이 없는 불가항력적 의료사고 발생시 국가보상한도 확대는 필수의료 보호 강화라는 취지와 달리, 소송의 남발로 의료현장 위축을 초래할 것이라는 시각도 나온다.

의사이자 작가인 모 전문의는 개인 SNS를 통해 "정부가 필수의료 법적 보호 강화를 추진한다고 한다. 뭔가 이상하지 않은가? 첫째, 어떻게 의사의 과실이 없는데 의료 사고가 되는 걸까? 둘째, 나이가 들어서 또는 심각한 질병이나 외상으로 병원에서 치료 받다 죽었는데 왜 배상을 해 주는가? 이 소식을 접한 사람들은 앞으로 무조건 병원에서 죽을 것이고, 소송을 걸 것"이라며 "이 상황에서 필수의료를 할 의사가 있을까? 의사의 선택은 포기다"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관련기사보기

의료개혁특위 '의료사고안전망 전문위원회' 17차 회의 개최

의료개혁특위 '의료사고안전망 전문위원회' 17차 회의 개최

보건복지부는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산하 '의료사고안전망 전문위원회'가 20일 오전 제17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이날 밝혔다. 지난 16차 회의(1월 16일)에서는 ▲공정한 감정 체계 구축방안 추진계획 ▲의료사고심의위원회 운영방안 등이 논의됐다. 이어 이날 회의에서는 ▲의료사고 공적 배상체계 구축방안 ▲의료사고 안전망 강화 종합방안 등에 대한 토의가 진행됐다. 최근 의료사고로 인한 고액 민사 배상 판결에도 불구하고 민간 보험 중심의 배상체계에서는 낮은 보장한도와 복잡한 지급 절차로 인해 고위험 필수의료 보호에 한계이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의료개혁특위 의료사고안전망 전문위, 24일 12차 회의 개최

의료개혁특위 의료사고안전망 전문위, 24일 12차 회의 개최

의료개혁특별위원회는 24일 오전 '의료사고안전망 전문위원회' 제12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이날 밝혔다. 위원회는 지난 10일 열린 11차 회의에서 ▲의료사고 형사 특례 방향과 검토사항 ▲의료사고 형사 특례의 사회적 필요성과 적정 범위 ▲형사 특례 법적 구조, 적용 범위, 유형별 효과 등 고위험 필수의료행위의 사법적 보호에 대한 사회적 필요성에 대해 구체적 논의를 진행한 바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난 회의에 이어서 ▲의료사고 수사리스크 완화 방안 ▲필수의료 사법적 보호를 위한 검토 방향 등에 대해 심층 논의했다. 첫째, 의료현장에서

급성 뇌졸중 인증의 505명 첫 선정…'검증된 안전망 구축해야'

급성 뇌졸중 인증의 505명 첫 선정…'검증된 안전망 구축해야'

검증된 급성 뇌졸중 인증의를 기반으로 전국 뇌졸중 치료 안전망을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학회로부터 나온다. 대한뇌졸중학회는 지난달 29일 서울 드래곤시티에서 열린 국제학술대회 ICSU 중 정책세션을 통해 '급성기 뇌졸중 인증의' 제도에 대한 기대감을 공유했다. 학회에 따르면, 급성 뇌졸중 인증의는 급성기 뇌졸중 진료에 전문적인 자격과 능력을 갖춘 신경과 의사를 인증함으로써 필수중증응급질환인 뇌졸중을 1년 365일 24시간 진료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향후 지속가능한 전문 인력 운용체계 확립하고자 대한신경과학회와 대한뇌졸중학

의료사고 감정부, 의료인 비중 확대 구성 두고 논란 

의료사고 감정부, 의료인 비중 확대 구성 두고 논란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의료사고 감정부에 의료인 1인을 추가해 2인 이상으로 구성하는 논의가 '의료사고안전망 전문위원회'에서 논의된 가운데 이를 둘러싼 논란이 일고 있다. 의료계 일각에서는 감정부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해당 사고의 전문의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반면, 감정부 구성에서 의료인 비중만 확대해 공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산하 '의료사고안전망 전문위원회'는 지난 16일 의료사고에 대한 객관적 실체 규명을 위해 감정위원인 의료인, 법조인, 소비자 위원 간 역할을 정립

의료사고 설명·주의의무 논란 반복…한국형 'EMTALA' 언제쯤

의료사고 설명·주의의무 논란 반복…한국형 'EMTALA' 언제쯤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설명·주의 의무가 대두되는 의료사고 판결 논란이 이어지며 의료계 반발이 커지고 있다. 일각에선 판사마다, 감정마다 판결이 달라질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형 'EMTALA(Emergency Medical Treatment and Labor Act)' 같은 명확한 가이드라인 마련을 시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2일 의료계에 따르면 최근 한 내과 전문의는 설명주의의무 위반 과실치사 소송에서 1·2심 실형을 선고받고 대법원 판결을 앞두고 있다. 사건은 2020년 5

신설 예고된 '의료사고심의위원회'에 수사당국 자료 공유되나

신설 예고된 '의료사고심의위원회'에 수사당국 자료 공유되나

보건복지부는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산하 의료사고안전망 전문위원회가 16일 오전 제16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이날 밝혔다. 지난 15차 회의(1월 3일)에서는 ▲(가칭) '환자 대변인' 및 국민 옴부즈만 시범사업 추진계획 ▲의료사고 배상보험·공제체계 개선 방향 ▲의료사고 특화 사법 체계 구축방안 등 논의를 진행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난 회의에 이어서 ▲공정한 감정 체계 구축방안 추진계획 ▲의료사고심의위원회 운영방안 등 의료사고 안전망 강화방안 전반에 대한 종합적 토의를 이어갔다. 첫째, 공정한 감정 체계 구축방안 논의에서는

政, 의료사고 관련 독립적 공적 배상체계 마련방안 검토

政, 의료사고 관련 독립적 공적 배상체계 마련방안 검토

보건복지부는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산하 '의료사고안전망 전문위원회'가 3일 오전 제15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날 전문위는 회의에서 ▲(가칭) '환자 대변인' 및 국민 옴부즈만 시범사업 추진계획 ▲의료사고 배상보험·공제체계 개선 방향 ▲의료사고 특화 사법체계 구축방안 등을 논의했다. 첫째, (가칭) '환자 대변인' 및 국민 옴부즈만 시범사업은 지난 8월 30일 '의료개혁 1차 실행방안' 중 의료분쟁 조정제도 혁신방안의 주요 사업으로 발표됐다. 특히, 의학적·법적 지식이 부족한 환자들을 조력하기 위해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