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양제약, 순환기 사업 매출 4년 새 2배…매출 1000억 돌파

매출 2020년 495억→ 지난해 1154억원으로 지속 증가
영업이익 동반 상승해…안정적인 수익 구조 이어가
순환계 및 소화기관 의약품 매출도 매년 증가세 
R&D 비용은 매년 10억원대, 고지혈증치료제 등 임상 추진

장봄이 기자 (bom2@medipana.com)2025-02-10 05:54

진양제약 사옥. 메디파나뉴스 최인환 기자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진양제약이 순환계와 소화기관용약 등 전문의약품의 고른 상승세에 힘입어 지난해 매출 1000억원을 돌파했다. 특히 순환기계 의약품은 매출이 4년 새 2배 가까이 급증하며, 회사의 외형 성장세를 견인했다.

7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진양제약은 지난해 개별기준 매출액 1154억원, 영업이익 13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각각 23%, 51% 증가한 수치다. 당기순이익은 같은 기간 141% 상승한 305억원으로 집계됐다.

진양제약은 매년 최대 매출 경신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5년 간 실적을 살펴보면, 2020년 매출 495억원에서 지난해 1154억원으로 꾸준히 성장했다. 매출이 4년 새 133% 증가한 셈이다. 

영업이익도 동반 상승하며 안정적인 수익성을 나타내고 있다. 회사의 영업이익은 2020년 43억원에서 지난해 137억원으로 늘어났다.

진양제약이 지속적인 외형 성장을 이룬 데는 전문의약품(ETC) 매출 증가가 한 몫하고 있다. 회사 측은 공시를 통해 실적 상승과 관련, "전문의약품의 종합병원 처방량 증가로 인한 매출 상승"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ETC 매출은 전 분야에서 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가장 매출 비중이 큰 순환계 의약품의 경우, 2020년 매출 187억원에서 2023년 291억원으로 상승했다. 지난해에도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이 260억원으로 집계됐다. 분기별 매출을 감안하면, 지난해 매출은 3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된다.

순환계 의약품은 항응고제인 '크리빅스정(클로피도그렐)'이 대표적이다. 사노피 '플라빅스(클로피도그렐)'의 제네릭 제품이며, 경구용 항혈전제 의약품이다.
또한 위식도 역류질환치료제 '에스졸정(에스오메프라졸)'을 포함한 소화기관용약 매출도 매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소화기관용약 매출은 2020년 65억원에서 2023년 117억원으로 증가했다. 

소화기관 의약품 매출은 수출에서도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지난해 3분기까지 소화기관 제품 수출액은 3억원으로, 순환계 제품 2억8000만원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출 측면에서는 소화기관 의약품 매출이 가장 많은 셈이다.

이 외에 대사성 의약품 매출도 지난 4년 동안 2배 넘게 늘어났다. '미라릴정' 등 기타 대사성 의약품의 매출은 2020년 44억원에서 지난해 3분기 누적 100억원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연 매출은 150억원에 근접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진양제약은 개량신약 등 의약품 추가 개발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개량 신약은 당뇨병 치료제 'JY303'에 대한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며, 소화성궤양용제 제네릭 'JY304'는 허가 신청을 완료한 상태다.

지난해부터 고지혈증치료제 'JY409', 'JY408'와 소화성궤양용제 'JY403'에 대한 임상시험계획(IND) 신청을 준비하고 있다. 

고지혈증치료제 JY409에 대한 IND는 이날 신청했다. 회사 공시에 따르면, 진양제약은 고지혈증 치료 복합제 구강붕해정 JY409(로수바스타틴+에제티미브)의 안전성과 약동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 1상 시험 계획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했다. 

회사 연구개발(R&D) 비용은 10억원 대를 지속하고 있다. 전체 R&D 비용은 2022년 19억원, 2023년 18억원, 지난해 3분기까지 13억원을 투입한 것으로 집계됐다. 

관련기사보기

진양제약, 지난해 영업익 137억…전년比 51%↑

진양제약, 지난해 영업익 137억…전년比 51%↑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진양제약은 지난해 개별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이 137억원으로, 전년 91억원 대비 51%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154억원, 당기순이익은 305억원으로 각각 전년 941억원, 127억원 대비 23%, 141% 늘어났다. 회사는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변동 주요원인에 대해 '전문의약품의 종합병원 처방량 증가로 인한 매출 상승 및 투자부동산 취득 후 재평가에 따른 이익 반영'이라고 설명했다.

진양제약, 매출 1000억 앞둔 성장세 이면 수익성 전략 요구돼

진양제약, 매출 1000억 앞둔 성장세 이면 수익성 전략 요구돼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진양제약이 급격한 외형 성장을 수년째 이어오면서 1000억원대 매출 달성을 눈앞에 둔 가운데, 수익성 개선을 위한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진양제약은 별도재무제표 기준 올해 상반기 매출 549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454억원 대비 20.9% 증가한 수치다. 2분기로 한정지으면 매출 27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8% 증가했다. 진양제약은 최근 5년간 급격한 외형 성장세를 기록했다. 별도재무제표 기준 2019년 451억원이던 매출은 지속 성장해

[제약공시 책갈피] 7월 2주차 - 진양제약·신풍제약 外

[제약공시 책갈피] 7월 2주차 - 진양제약·신풍제약 外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2024년 7월 2주차(7.8~7.12)에는 진양제약이 서초동에 위치한 850억원 건물과 토지에 대해 대금을 완납하고, 이를 양수했다. 12월에 양수키로 했던 기존 공시보다 5개월 가량 앞당겨진 셈이다. 이에 따라 진양제약이 하반기 중에 해당 건물로 사옥을 옮길지 여부도 주목된다. 이를 포함한 주요 공시는 아래와 같다. 이 시기 실적(잠정포함), 기업설명회 등은 제외한다. - 진양제약, 서초동 850억 건물 대금 완납…사옥 이전 주목 - 신풍제약, 골관절염 주사요법제 ‘하이알플

진양제약, 서초동 850억 건물 대금 완납…사옥 이전 앞당기나

진양제약, 서초동 850억 건물 대금 완납…사옥 이전 앞당기나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진양제약이 사옥 이전 계획을 앞당길지 주목된다. 진양제약은 10일 '주요사항보고서(유형자산양수결정)' 정정을 통해 서초동 건물·토지를 이날부로 양수했다고 공시했다. 이전까지 진양제약은 올해 12월 10일에 해당 건물과 토지를 양수할 예정이었다. 이보다 5개월 빠른 시점에 양수가 이뤄진 것은, 진양제약이 건물·토지 대금을 완납한 것에 따른다. 서초중앙로 42에 위치한 이 건물과 토지 양수금액은 총 850억원이다. 진양제약은 자기자본과 차입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했다. 등기는 이

진양제약, 올해 1천억 정조준…전문의약품 매출 증가 힘 컸다

진양제약, 올해 1천억 정조준…전문의약품 매출 증가 힘 컸다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진양제약이 전문의약품 부문 매출 증가에 힘입어 올해 1분기 성장세를 이어갔다. 진양제약는 지난 16일 공시를 통해 올해 1분기 별도기준 매출 272억 9800만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22.1% 성장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22억 600만원, 18억 6700만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36.7%, 32.4% 감소했다. 진양제약의 매출액은 2019년 450억 8100만원, 2020년 495억 2500만원을 기록한 뒤 점차 가파른 성장세를 지속하며 2023년에는 매

현금 쌓은 진양제약, 외형적 성장 결실로 '신사옥 이전' 주목

현금 쌓은 진양제약, 외형적 성장 결실로 '신사옥 이전' 주목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진양제약이 신사옥 이전을 통해 외형적 성장을 표면적으로 드러낼지 주목된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진양제약은 서초동에 위치한 기존 사옥 매매를 추진 중이다. 현재 진양제약 사옥은 350억원에 매물로 나와 있다. 이와 병행해 지난달 남부터미널역 부근에 위치한 서초동 건물 '블루핀타워'를 850억원에 매입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양수 기준일은 오는 12월 10일이다. 현 사옥 매매와 타 건물 매입은 신사옥 이전 가능성을 의미한다. 진양제약은 현 사옥을 매매한 후에 신사옥으로 이전할 가능성이 높다. 신사옥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