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ST 매출↑중심엔 'ETC'…그로트로핀·주블리아, 희비 갈려

전문의약품 매출, 전년比 4.8%↑…동아ST 매출 확대 이끌어
인성장호르몬제 '그로트로핀', 매출 증가세…연간 1000억↑
지난해 편의성 높인 펜 타입 제품 출시…성장클리닉 매출↑
손발톱 무좀치료제 '주블리아' 매출, 지난해 처음으로 감소
제네릭 출시·판매 가격 인하, 주블리아 매출↓ 영향 미쳐

문근영 기자 (mgy@medipana.com)2025-02-11 05:58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전문의약품(ETC) 매출액 성장세가 동아에스티 실적 증가를 이끌고 있다. 인성장호르몬제 '그로트로핀투주(소마트로핀)'는 ETC 매출액 확대를 이끈 주요 품목으로 꼽힌다. 반면, 제네릭이 등장한 손발톱 무좀치료제 '주블리아외용액(에피나코나졸)'은 매출액이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동아에스티는 별도 재무제표 기준 지난해 매출액이 6407억원으로, 전년 6052억원 대비 5.9%(355억원)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어 전문의약품과 해외 사업 부문 성장이 연간 매출액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회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문의약품 매출액은 전년 4232억원 대비 4.8%(203억원) 증가한 4435억원이다. 같은 기간 해외 사업 매출액은 1511억원으로, 전년 1394억원 대비 8.3%(117억원) 늘었다.

특히 전문의약품은 매출액 증가세를 이어가며 동아에스티 매출액을 견인하고 있다. 

동아에스티는 그간 실적 발표 자료를 통해 전문의약품 매출액이 2019년 3193억원에서 지난해 4435억원으로 늘었다고 밝힌 바 있다. 연평균 성장률로 환산하면, 지난 5년간 매년 6.8%가량 증가한 셈이다.

전문의약품은 동아에스티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늘었다. 2019년 동아에스티 매출액에서 전문의약품 비중은 52.2%였으나, 최근 들어 70%에 육박했다.
◆ 그로트로핀 매출액 대폭 늘어…연간 1000억 고지 밟아

품목별로 구분하면, 동아에스티 ETC 매출액 확대를 이끈 의약품은 인성장호르몬제 '그로트로핀투주(이하 그로트로핀)'다. 해당 품목은 뇌하수체 성장호르몬 분비 장애로 인한 소아 성장부전, 소아 특발성 저신장증(ISS) 등 치료에 쓰인다.

공시 자료에 따르면, 그로트로핀 매출액은 2019년 246억원에서 지난해 1189억원으로, 최근 5년간 5배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2023년 그로트로핀 매출액은 949억원으로, 전년 615억원과 비교해 54.3% 늘었다.

아울러 지난해 그로트로핀 매출액은 사상 처음으로 1000억원을 넘어섰다. 이는 그로트로핀 첫 번째 제품이 모습을 드러낸 지 20여 년만에 거둔 성과다.

회사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메디파나뉴스와 통화에서 "지난해 편의성을 높인 펜 타입 '그로트로핀-Ⅱ 주사액 아이펜' 출시로 라인업을 늘렸으며, 아이들 성장에 관련된 클리닉이 증가하면서 매출액이 증가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외 학회, 지역별 임상 포럼, 심포지엄 등 행사를 통해 그로트로핀을 알리고 있다"면서 "안정적인 캐시카우를 창출할 수 있는 ETC 부문을 강화하는 가운데, 그로트로핀을 Best-in-Class 제품으로 육성하고자 노력하는 중"이라고 부연했다.
◆ 주블리아 매출 증가세 꺾여…제네릭 출시·판매가↓ 영향

그로트로핀과 달리 매출액이 감소한 품목도 있다. 일례로 손발톱 무좀치료제 '주블리아외용액(이하 주블리아)' 지난해 매출액은 253억원으로, 전년 290억원과 비교해 12.7%(37억원) 줄었다.

이는 2023년까지 이어진 주블리아 매출액 증가세가 감소로 전환한 모습을 보여준다. 실적 발표 자료에 따르면, 주블리아 매출액은 출시 첫해부터 2023년까지 매년 증가했다.

주블리아 매출액 감소는 제네릭 출시와 판매 가격 인하에 따른 결과다. 최근 주블리아 특허를 회피한 제네릭 개발 업체는 지난해부터 주블리아 제네릭을 선보이며, 오리지널 제품과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에 동아에스티는 경쟁력을 확보할 목적으로 지난해 6월부터 '주블리아 8ml' 가격을 기존 대비 17% 낮췄다. 곧이어 같은해 7월부터 '주블리아 4ml' 가격도 15% 인하했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메디파나뉴스와 통화에서 "대웅제약 '주플리에외용액' 등 제네릭이 모습을 드러낸 게 주블리아 매출액 감소에 영향을 미친 가장 큰 요인으로 보인다"면서 "향후 손발톱 무좀치료제 경쟁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보기

동아에스티, 지난해 영업익 325억…전년比 0.8%↓

동아에스티, 지난해 영업익 325억…전년比 0.8%↓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동아에스티는 지난해 별도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이 325억원으로, 전년 327억원 대비 0.8%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고 10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6407억원으로 전년 6052억원 대비 5.9% 늘었다. 당기순이익은 162억원으로 전년 173억원 대비 6.3% 감소했다.

동아에스티, 지난해 실적↑ 기대…올해까지 성장 이어지나

동아에스티, 지난해 실적↑ 기대…올해까지 성장 이어지나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지난해 동아에스티 영업실적이 전문의약품(ETC), 해외 사업 부문 성장에 힘입어 증가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동아에스티는 '자큐보', '이뮬도사' 등 품목 매출을 추가해 영업실적 성장을 올해까지 이어갈 전망이다. 31일 증권업계 전망을 종합하면, 지난해 동아에스티 매출액(별도 재무제표 기준)은 64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전년 6052억원 대비 5% 이상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동아에스티 영업이익(별도 재무제표 기준)도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증가할 전망이다. 증권업계는 영업이익

동아에스티, 4분기 부진 속 ETC 성장 전망…그로트로핀 성장 영향

동아에스티, 4분기 부진 속 ETC 성장 전망…그로트로핀 성장 영향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동아에스티가 해외사업 부진 영향으로 4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하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다만 성장호르몬제 '그로트로핀'의 매출 성장에 힘입어 ETC(전문의약품) 부문은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14일 증권가에서는 동아에스티가 2024년 4분기 별도기준 1600억원 대 매출과 함께 영업이익 약 62억원을 기록하며 컨센서스 매출 1907억원, 영업이익 108억원을 하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시장 컨센서스를 각각 14%, 43% 하회하는 수준으로, 4분기 박카스 성장 둔화로 인한 해외사업

동아ST, 손∙발톱무좀 치료제 '주블리아' 누적 순매출 1,500억 돌파

동아ST, 손∙발톱무좀 치료제 '주블리아' 누적 순매출 1,500억 돌파

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정재훈)는 손∙발톱무좀 치료제 '주블리아'의 국내 누적 순매출액이 1,500억을 돌파했다고 22일 밝혔다. 주블리아는 2017년 6월 출시 이후 의사와 환자들에게 효과와 안전성을 인정받으며 손∙발톱무좀 치료제 시장을 주도하는 치료제로 자리 잡았다. 2023년 손∙발톱무좀 외용제 시장에서 59%(2023년 유비스트 기준)의 시장점유율을 달성했으며, 올해 3분기 누적 순매출 1,500억을 돌파했다. 주블리아는 에피나코나졸(Efinaconazole) 성분의 항진균제로 손∙발톱무좀 치료에 사용된다. 한국인 대상 임

발톱무좀약 '주블리아' 우판권 제네릭 연이어…매출 영향 주목

발톱무좀약 '주블리아' 우판권 제네릭 연이어…매출 영향 주목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연이은 제네릭 허가로 에피나코나졸 성분 제제 경쟁이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최근 동아에스티 발톱무좀약 '주블리아외용액'(에피나코나졸) 매출 흐름이 바뀐 상황에서 제네릭 등장으로 추가 변화가 나타날지 주목된다. 지난 5일 주블리아외용액 제네릭으로 제뉴원사이언스 '케이졸외용액'(에피나코나졸), 오스코리아제약 '에피니아외용액'(에피나코나졸) 등 2개 제품이 식품의약품안전처 우선 판매 품목허가 의약품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이번 허가는 주블리아외용액 제네릭이 국내 손발톱무좀 외용액 시장에서 에피나코나졸 성분

주블리아 제네릭, 속속 허가·출시…손발톱무좀 시장 격변 예고

주블리아 제네릭, 속속 허가·출시…손발톱무좀 시장 격변 예고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손발톱무좀치료제 '주블리아(성분명 에피나코나졸)' 제네릭이 속속 허가 및 출시되고 있다. 첫 번째 제네릭이 지난 2월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 허가 목록에 이름을 올린 데 이어 최근 두 번째 제네릭이 식약처 허가 심사를 통과했다. 이 중 우선판매품목인 첫 번째 제네릭 대웅제약 '주플리에외용액(에피나코나졸)'은 우선판매기간이 약 7개월 남은 시점에 의약품 시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오리지널 주블리아를 보유한 동아에스티는 제품 용기 개선 등 제네릭 출시에 대비하고 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식약처는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