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독, AACR 2025서 항암신약 연구 3건 포스터 발표

표적단백질 분해 플랫폼과 이중표적 플랫폼을 활용한 항암신약 연구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뛰어넘는 신약으로 개발 중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4-23 11:21

한독(대표이사 김영진, 백진기)이 오는 25일부터 30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항암신약 연구 3건에 대한 포스터 발표를 진행한다.

이번 포스터 발표는 차세대 EGFR 돌연변이 분해 폐암 치료 신약물질, KRAS G12D변이 단백질 분해 신약물질, 신규 FGFR/HDAC 이중 저해 신약물질에 대한 연구다. 한독은 표적단백질 분해 플랫폼과 이중표적 플랫폼을 활용해 BNJ 바이오파마, 파이메드바이오와 각각의 항암제를 공동 개발하고 있으며, 해당 연구들은 비임상 개발 단계에 있다.

EGFR 돌연변이 분해 폐암 치료 신약물질은 오시머티닙(Osimertinib) 내성을 극복하는 신약으로 개발 중이다. 3세대 EGRF 저해제인 오시머티닙은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1차 치료제로 범위가 확장됐지만, 내성 돌연변이 발생이라는 한계가 존재해왔다. 연구 결과, 한독의 신약물질은 다양한 EGFR 돌연변이 단백질을 분해해 암세포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물 실험을 통해 오시머티닙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치료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했다.

KRAS 돌연변이는 가장 흔한 종양 유발 요인 중 하나로, 고형암의 약 30%에서 발생한다. 특히, KRAS G12D 돌연변이는 췌장암, 대장암, 폐암 등 여러 암종에서 빈번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한독에서 개발하고 있는 KRAS G12D 돌연변이를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새로운 단백질 분해 항암신약은 다양한 암종에 적용 가능한 잠재력을 갖고 있다. 한독은 이번 AACR에서 개발 물질이 KRAS G12D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분해하며 강력한 항종양 활성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동물 실험에서는 간헐적 투여로도 경쟁약물 대비 우수한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포스터 발표한다.

신규 이중 저해 항암신약은 FGFR과 HDAC에 동시에 작용하는 작용기전을 가지고 있다.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FGFR)의 유전자 변이는 다양한 고형암에서 자주 관찰되며 특히, 방광암과 담관암의 주요 종양 유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 결과, 이 신규 물질은 FGFR과 HDAC를 동시에 저해하고 우회 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한독중앙연구소 문병곤 소장은 "작년 AACR에서 1건의 포스터 발표를 진행했는데, 올해는 3건으로 더 많은 연구결과를 보여주게 됐다"며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뛰어넘는 항암신약 개발에 집중해 암환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독은 자체 연구뿐 아니라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을 통한 신약개발에도 주력하고 있다. 한독이 미국 컴퍼스 테라퓨틱스와 공동개발하고 있는 HDB001A(토베시미그)는 담도암 2차 치료 환자 대상 글로벌 임상 2/3상 톱라인 결과에서 1차 평가지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했다. 또한, 한독은 항암 비즈니스 경쟁력을 강화하며 글로벌 회사들과 협업해 미충족 의료 수요가 높은 영역에서 다양한 항암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다. 현재 간정맥폐쇄증 치료제 '데피텔리오', 고위험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빅시오스', 간내 담관암 치료제 '페마자이레',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치료제 '민쥬비'를 국내에 독점 공급하고 있다.

관련기사보기

한독, '제4회 인터스텔라 심포지엄' 개최

한독, '제4회 인터스텔라 심포지엄' 개최

한독(대표이사 김영진, 백진기)이 지난 19일과 20일 양일간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제4회 인터스텔라(Inter Stellar)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한독은 2022년부터 다양한 신장질환을 다루는 심포지엄을 진행해오고 있다. 인터스텔라 심포지엄은 한독의 신장 질환 포트폴리오를 한 자리에서 다루고 심도 깊은 토론을 하는 학술의 장이다. 올해 인터스텔라 심포지엄은 신장 관련 희귀질환인 파브리병, 신성빈혈, 고인산혈증, 고혈압 신질환 등 4가지 신장질환 주제를 중심으로 다채로운 내용이 다뤄졌다. 또 만성 신질환 환자의 빈혈치료제

한독, 산불 피해 지역에 8000만원 상당 의약품 및 성금 기부

한독, 산불 피해 지역에 8000만원 상당 의약품 및 성금 기부

한독(대표이사 김영진, 백진기)이 최근 경상도 지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로 피해를 입은 이재민과 지역사회를 돕기 위해 총 8000만원 상당의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및 성금을 기부했다. 이번 성금은 4월 7일부터 13일까지 일주일간 진행된 사내 긴급 모금 캠페인을 통해 마련됐다. 한독 임직원들은 급여의 일정 금액을 자발적으로 기부했으며, 회사는 매칭 그랜트 방식(Matching Grant)으로 동일한 금액을 더해 구호 성금을 마련했다. 특히, 휴직 중인 임직원들도 모금에 적극 동참해 나눔의 의미를 더했다. 한독은 산불 피해 복구를

한독테바, 아조비 활용 '두통 아카데미' 성료

한독테바, 아조비 활용 '두통 아카데미' 성료

한독테바는 편두통 예방 치료제 '아조비(프레마네주맙)'의 국내 출시 3주년을 기념해 국내 의료진을 대상으로 편두통 예방 치료의 중요성을 조명하고 편두통 치료의 최신 지견을 공유하기 위한 '두통 아카데미'를 마쳤다고 15일 밝혔다. 아조비는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 리간드에 결합해 수용체와의 결합을 차단하는 단일클론 항체 약물이다. 국내 편두통에 대해 허가받은 약물 중 유일하게 분기별 투여가 가능해 1년에 단 4일만 사용해도 되는 항-CGRP 치료제이다. 로딩

한독 파트너 테라퓨틱스, 담도암 글로벌 2/3상 톱라인 결과 발표

한독 파트너 테라퓨틱스, 담도암 글로벌 2/3상 톱라인 결과 발표

한독 파트너사 미국 컴퍼스 테라퓨틱스(Compass Therapeutics)가 4월 1일(미국 시간) 전이성 또는 재발성 담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토베시미그(Tovecimig) 글로벌 임상 2/3상인 COMPANION-002의 톱라인 결과를 발표했다. 한독과 컴퍼스 테라퓨틱스는 담도암 치료제로 잠재력이 높은 혁신적인 이중항체 신약 토베시미그(HDB001A, CTX-009, ABL001) 개발에 협력해오고 있다. 컴퍼스 테라퓨틱스는 한독이 진행한 한국 임상 2상을 토대로 글로벌 임상 2/3상인 COMPANION-002를 진행해왔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