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준모 "신산업혁신위, 규제 완화로 포장한 국민 건강 매매"
약사들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이하 약준모)이 국무조정실 신산업혁신위원회가 화상투약기 품목 확대 및 동물병원 인체용 의약품 직접 구매를 추진하는 권고안을 통과한 것에 대해 강력히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다. 약준모 상임이사회는 28일 성명서를 통해 국무조정실의 신산업혁신위원회가 전달한 권고안에 대해 "국가 경제나 국민 경제에 도움이 되지 않는 사안에 대해 무분별하게 법적 규제를 무시하는 정책을 시행하는 것은 명백한 월권 행위"라고 지적했다. 특히 동물병원의 인체용 의약품 직구 사안과 관련해 "인체용 약이 사용돼야 할 우선순위는 사람에
조해진 기자25.03.28 11:01
약준모 "원산협 규제 완화 요구 강력 규탄"
약사의미래를준비하는모임(이하 약준모)이 24일 원격의료산업협회가 23일 개최한 좌담회를 두고 비판의 목소리를 담은 성명서를 발표했다. 약준모는 "원산협은 대통령 탄핵정국이라는 혼란을 틈타, 사기업 플랫폼의 입장을 대변하는 사람들을 모아 일방적인 주장을 펼치는 좌담회를 개최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들의 주장대로 국민의 편의성만 생각한다면 비대면 진료로 논스톱 처방을 받는 약들은 일반의약품으로 전환해 진료없이 바로 구매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합당하지 않는가?"라고 반문했다. 약준모는 "타국의 비대면 진료는 의료서비스 제공자와 환자
조해진 기자25.01.24 10:46
의료진들 "의료 AI, 현장에선 부정확"…규제 완화에 우려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인허가에서 나타난 의료 인공지능(AI) 기술 성능이 실사용에선 그대로 재현되지 않는다는 의료 전문가들의 냉정한 평가가 나왔다. 특히 의료AI 기술을 가장 많이 접하는 국내 영상의학 전문가들의 지적이란 점에서 뼈아프다. 이에 전문가들은 최근 정부가 실시한 선진입의료기술 규제 완화를 두고 의료 질 하락을 우려했다. 대한영상의학회는 17일 가톨릭의과대학 의생명산업연구원에서 '진단보조 AI의 적절한 적용'에 대한 포럼을 개최했다. ◆ AI 통한 진단 일반화, 현재로선 한계 우선 영상의학회 박성호(서울아산병원
최성훈 기자25.01.18 05:58
약사회 "안전상비약, 문제점 보완 없이 규제 완화 불가"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안전상비의약품의 품목을 늘리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김은혜 대한약사회 홍보이사는 28일 서울 서초구 대한약사회관 기자실에서 진행한 전문지기자단과의 브리핑 중 최근 다시 고개를 들고 있는 일명 '편의점 약'과 관련한 규제완화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앞선 국정감사에서 김예지, 백종헌 국회의원은 보건복지부에 안전상비약 품목 확대 필요성을 제기했고, 복지부가 이를 인정하며 의정사태가 마무리 되는 시점에 논의하겠다는 계획을 언급했다. 또한, 지난 27일 규제개혁위원회에서 약국 외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안
조해진 기자24.10.29 06:00
"FDA 바이오시밀러 규제 완화로 상호교환성 확대 방향"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바이오시밀러 제품 허가에 대한 규제 완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허가 신청에 적극적인 국내 제약바이오 업체들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사라 임(Sarah Yim) 미국 FDA 치료용바이오의약품 및 바이오시밀러 국장은 5일 열린 국제 바이오 컨퍼런스에 참석해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미국 FDA 규제 접근방법의 변화'를 주제로 발표했다. 사라 임 FDA 국장은 "기존 의약품과 바이오시밀러 전환에 대한 안전성이나 면역학적 우려는 FDA 승인된 바이오시밀
장봄이 기자24.09.06 05:56
약준모 "대한상공회의소, 무분별한 규제 완화 주장 규탄"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발표한 올해 킬러·민생규제 100대 개선과제에 '의약품 온라인 유통 허용 건' 등을 포함하면서 약사사회의 반발을 낳고 있다. 약사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이하 약준모)은 25일 상공회의소의 규제 완화 주장을 규탄하는 성명문을 발표했다. 약준모는 "안전상비의약품 온라인 유통 허용 및 의약품 제조관리자 기준 완화가 담긴 어처구니 없는 내용을 정부에 제안한 것은 한국 보건의료계의 현실 및 특수성을 외면한 주장"이라고 비판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해당 주장을 펼치며 프랑스와 독일 등의 사례를 든 것에 대해서
조해진 기자24.04.25 11:10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공공의대 다시 고개…의료계 수용성 '면허 분리' 관건
2
비상장 제약기업 99개사, 평균 매출 795억…1위 동아제약 6787억
3
의약품유통업계, 지난해 영업실적 소폭 상승…매출 5.4% 증가
4
식약처, 교육·홍보로 '맞춤형 건기식 제도' 안정화 꾀해
5
알츠하이머 치료제 '레켐비' EU서 승인
6
'최대 매출 경신' 다산제약, 제형기술 기반 CDMO 본격화
7
"지출 6000억, 효과는 불확실"‥'콜린제제'에 칼 빼든 건보공단
8
건보공단, 고가약 지출에 '결단'‥전담부서 신설·협상·모니터링 총동원
9
"재정절감 효과적"…건보공단, '사용량약가연동인하' 강화 시동
10
PA 제도화에 변화하는 수련환경…수련총괄기관 필요성 확대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