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엘케이, 딥러닝 기반 뇌출혈 진단 장치 특허
제이엘케이(대표 김동민)는 회사의 뇌졸중 AI 솔루션에 활용되는 딥러닝 기반 뇌출혈 진단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국내 기술 특허 취득에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제이엘케이가 출원한 '딥러닝 기반 뇌출혈 진단 장치 및 방법'은 이달 초 최종 등록이 결정됐다. 제이엘케이는 기존 3차원 의료 영상의 분석 및 진단 속도가 느려 응급 환자에게 적용하기 어려웠던 문제에 주목해 이번 특허 기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특허는 복수의 CT 영상을 딥러닝 모델로 분석해 뇌출혈 병변을 검출하고, 3차원으로 재구축해 환자의 뇌출혈 확률을 신속하
최성훈 기자25.02.18 08:53
심전도 노화 분석 인공지능(AI) 딥러닝 모델 개발
AI가 분석한 심전도 노화 정도를 바탕으로 심방세동 발병 위험성 예측이 가능해졌다. 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 심장내과 정보영‧유희태 교수, 조승훈 강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유승찬 교수, 대학원 의생명시스템정보학과 엄수정 석사과정 졸업생은 심방세동 위험성 및 조기 발병률을 예측하기 위한 심전도 노화 분석 인공지능 딥러닝 모델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심장학 분야 권위있는 학술지인 유럽심장학회지(European Heart Journal, IF 39.3)에 게재됐다. 심장 박동을 전기 신호로 기록하
김원정 기자24.12.06 10:03
뷰노, 신기능장애 딥러닝 알고리즘 연구 성과 네이처 자매지 게재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뷰노(대표 이예하)는 최근 세계적인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가 출간하는 SCIE급 국제 학술지 Scientific reports에 자사 논문 ‘심전도 기반의 고칼륨혈증 및 저칼륨혈증 탐지 딥러닝 알고리즘’(Deep learning algorithm for detecting dyskalemia based on Electrocardiogram)이 게재됐다고 14일 밝혔다. 고칼륨혈증 및 저칼륨혈증은 혈중 칼륨 농도가 정상 범위인 3.5 ~ 5.5 mEq/L를 벗어난 상태를 의미한다
최성훈 기자24.10.14 10:20
서울대병원,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진단·예측 딥러닝 모델 개발
서울대병원은 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동국대일산병원·DGIST 공동 연구팀이 딥러닝을 활용한 CT 영상 분석을 통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 진단과 중증도를 예측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기존의 수면다원검사보다 더 빠르고 비용 효율적인 대안을 제시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진단의 새로운 표준을 정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병원 융합의학과 공현중 교수와 이비인후과 김현직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김정훈 교수, 동국대일산병원 이비인후과 박석원 교수와 김진엽
이정수 기자24.10.04 14:57
눈물로 코로나19 진단…딥러닝 기반 라만산란 기술 활용
눈물을 통해 코로나19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 플랫폼에 관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안과 한지상 교수, 강동경희대병원 문상웅 교수, 경희대 의공학교실 최삼진 교수, 한국재료연구원 정호상 박사 공동 연구팀은 이황화몰리브데넘을 이용한 다층 적층 금나노입자의 자발적 형성과 이를 딥러닝과 통합한 표면 증강 라만 산란 기술을 개발하여 코로나19를 확인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했다. 표면증강라만산란기술은 은이나 금과 같은 금속 표면에서 국소적으로 발생하는 표면 플라스몬 공명 현상을 이용해 라만 신호를 비약
김원정 기자24.09.25 10:32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주.사.기] 일양약품, R&D·공장 증축으로 기업 이념 실천 이어가
2
잠잠했던 제약바이오 IPO 올 1분기 '활황'…1163억 자금 조달
3
'수련센터' 신설, 참여주체화…전공의 수련 내실화 방안 쏟아져
4
공보의 급감에도 느긋…지자체 85% 대체인력 채용 예산 전무
5
[제약공시 책갈피] 4월 2주차 - 에이비엘바이오·GC녹십자 外
6
美 FDA 대규모 인력 감축…신약 리뷰·현장실사 차질 우려
7
권영희 대약회장 "국민과 회원 신뢰받는 전문가 조직 만들 것"
8
글로벌 제약사 R&D 비용 가중…AI 신약개발로 개발 효율성↑
9
의정 갈등 1년‥정원 논쟁에 가려진 의학교육·연구의 붕괴
10
"펄스장 절제술, 심방세동 치료서 가장 효과적인 시술"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